목차
프롤로그
1장 자동차의 디지털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1-1. 자동차 통신의 기초
1-2. OSI 모델
1-3. 토폴로지
1-4. 제어장치와 버스라인 연결
1-5. 라인 코딩과 버스라인의 길이
1-6. 데이터 전송
1-7. 버스 액세스
1-8. 버스 연결 - Wired-OR
1-9. 커뮤니케이션 유형
2장 센서-액추에이터 버스 시스템
2-1. PSI 5 시스템
2-2. SENT 시스템 - (SAE J2716)
2-3. ASRB 시스템 2.0 - (ISO 22898)
2-4. DSI 시스템
3장 CAN-Bus 시스템
3-1. CAN-Bus 라인의 장·단점
3-2. CAN-Bus의 작동 원리
3-3. CAN-Bus 데이터 시스템
3-4. CAN 데이터 프로토콜(텔레그램)
3-5. 데이터 전송 우선순위
3-6. 저속 CAN-Bus
3-7. 고속 CAN-Bus
3-8. CAN-FD
3-9. CAN-XL
3-10. CAN-Bus 에러 혹은 오류 진단
3-11. CAN-Bus 전압 오류 파형 진단
4장 LIN-Bus 시스템
4-1. LIN-Bus의 개요
4-2. LIN-Bus 네트워크 구성과 물리 계층 구조
4-3. LIN-Bus 프로토콜
4-4. 메시지(프레임) 타입
4-5. LIN-Bus의 진단
4-6. LIN-Bus의 진단 파형의 예
5장 FlexRay-Bus 시스템
5-1. FlexRay-Bus와 기존 시스템과의 차이
5-2. FlexRay-Bus의 물리 계층
5-3. FlexRay-Bus의 레이아웃과 토폴로지
5-4. FlexRay 데이터 프로토콜과 물리적 기본 특성
5-5. FlexRay-Bus의 커뮤니케이션 사이클
5-6. FlexRay Frame-Format
5-7. FlexRay-Bus 오실로스코프의 파형과 진단
6장 MOST-Bus 시스템
6-1. 고 대역폭 오토모티브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6-2. 자동차에서 광섬유 통신의 장·단점
6-3. MOST-Bus의 기본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크
6-4. MOST-Bus의 프레임 구조와 데이터 링크 계층
7장 오토모티브 이더넷 시스템
7-1. 자동차 전용 이더넷 - Automotive Ethernet 100BASE-T1
7-2. 오토모티브 이더넷 인터페이스
7-3. 오토모티브 이더넷의 물리 계층
7-4. 오토모티브 이더넷 메시지
7-5. 오토모티브 이더넷 진단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