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역자 서문
■ 서문
■ 감사의 말
1장 / 문법 교수의 흐름
서론
문법 교육의 변화
문법 기반 접근법
문법 번역식 교수법과 청화식 교수법
문법 기반 접근법의 부적절성
의사소통 기반 접근법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접근법의 부적절성
최근 전개된 논의들
형태 초점 교수를 바라보는 최근의 관점
과제 기반 접근법의 재고
형태 초점 교수에 대한 우리의 이해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1부 문법 초점에서 입력에 기반한 선택들
Input-based Options in Focus on Grammar
2장 / 처리 교수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입력 그리고 언어 학습에서의 입력의 역할
입력 처리
처리 교수
처리 교수의 실증적인 증거
구조화된 입력
구조화된 입력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지침들
교실 활동: 구조화된 입력 활동의 예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3장 / 텍스트 강화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 배경
입력 강화
입력 강화의 유형
외부적 입력 강화 기법으로서의 텍스트 강화
텍스트 강화의 다양한 형태
텍스트 강화의 효과
교실 활동: 텍스트 강화의 추가적인 예시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4장 / 담화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담화 및 담화 능력이란 무엇인가?
문장 수준 대 담화 수준 문법
문법 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초점의 필요성
코퍼스 언어학과 문법 초점
담화 분석과 문법
구어 담화 문법 대 문어 담화 문법
문법에 초점을 두는 교실에서 담화 기반 활동의 효과적인 사용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2부 문법 초점에서 상호작용 그리고 출력에 기반한 선택들
Interaction-and Output-based Options in Focus on Grammar
5장 / 상호적인 피드백을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인 배경
상호작용적 피드백
여러 가지 유형의 상호작용적 피드백
쓰기 오류에서의 상호적인 피드백
어떤 오류가 수정되어야 하는가?
상호작용적 피드백에 대한 경험적 연구
교사를 위한 제안들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6장 /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배경과 근거
구조 기반 초점 과제
암시적인 문법 초점 과제
명시적인 문법 초점 과제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를 위한 목표 형태 선정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 중의 학습자 출력
암시적·명시적으로 구조화된 문법 초점 과제의 예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7장 / 협력적 출력 과제를 통한 문법 초점
서론
이론적 근거
출력 가설
사회문화적 관점
협력적 출력 과제
협력적 출력 과제의 효과
교실 활동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3부 교수의 맥락과 문법에 초점 두기
Instructional Contexts and Focus on Grammar
8장 / 문법 초점에서의 맥락의 역할
서론
제2언어 맥락과 외국어 맥락
비원어민 화자 대 원어민 화자: 세계 영어
EFL 학습자의 숙달도 수준
학습자의 연령
사춘기 이후
교실 학습 환경: 무교육 몰입 환경, 몰입, 별도 편성 수업, (내용) 보호 영어
결론
■생각해 볼 문제
■유용한 자료
9장 / 결론: 제2언어 교실에서의 문법 초점
요점 1: 모든 문법 형태와 구조가 교수에 동일하게 반응하는 것은 아니다
요점 2: 성공적인 교육은 다차원적이다
요점 3: SLA 이론과 연구는 언어 교실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제안을 제공할 뿐이지 최종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요점 4: 교사는 교수 접근법에 있어서 절충적이어야 한다
요점 5: 교사는 방법론을 학습하고 적용하는 주체가 아니라 전문성을 갖춘 결정자이다
맺음말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