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UNIT 1 국제간호의 이해 및 실제
01 간호의 세계화
1. 국제간호의 이해
2. 국제간호의 역량
3. 전문직 간 국제보건 역량
02 국제간호 리더십과 네트워킹
1. 국제간호 리더십
UNIT 2 국제보건의 이해
03 세계화, 건강과 국제보건
1. 국제보건과 국제개발의 이해
2. 국제보건의 철학과 원칙
3. 국제보건의 목표와 전략
4. 국제보건의 실행, 성과관리 및 평가
04 건강형평성과 건강결정요인
1. 건강형평성
2.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05 국제보건과 지속가능한 발전목표
1. 새천년개발목표의 성과 및 한계
2. 지속가능한 발전목표
3. 공적개발원조
06 보건의료체계 강화
1.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2. 보건의료체계의 구성
3. 보건의료체계 강화 모니터링과 평가
4. 보편적 건강보장과 보건의료체계 강화
5. 국제보건사업의 효과성 증진을 위한 접근 전략
07 국제보건 거버넌스
1. 국제보건 거버넌스의 정의와 특징
2. 국제보건과 거버넌스의 주요 기구
UNIT 3 국제보건 현황과 질병부담
08 여성과 아동청소년 건강
1. 여성과 아동청소년 건강의 이해
2. 여성과 아동청소년 건강 현황
3. 여성과 아동청소년 건강관련 주요 정책
4. 우리나라의 여성과 아동청소년 국제보건사업
09 감염성 질환
1. 감염성 질환의 정의 및 전파 경로
2. 감염성 질환의 현황과 변화 추이
3. 주요 감염성 질환
10 비감염성 질환
1. 비감염성 질환의 정의
2. 비감염성 질환의 현황
3. 주요 비감염성 질환
4. 비감염성 질환의 위험요인
5. 비감염성 질환 국제 전략
11 국제보건과 환경
1. 글로벌 맥락에서의 환경과 건강
2. 환경적 위해요인의 분류
3. 환경과 지속가능한 발전목표
UNIT 4 국제간호 전략
12 파트너십 구축
1. 국제보건과 파트너십
2. 파트너십의 정의와 원칙
3. 국제보건 파트너십의 유형
4. 국제보건 파트너십 구축 전략
13 문화역량 증진
1. 문화역량의 실무지침과 사정
2. 문화역량의 사정
3. 문화와 건강행위
14 국제보건 프로젝트 기획
1. 보건프로젝트 기획의 범위
2. 보건프로젝트 기획의 과정
3. 보건사업의 논리모형접근법
4. 보건사업 기획의 실제
UNIT 5 국제간호의 실제
15 국제보건과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사례
사례1. 베트남 꽝찌성 행복프로그램: 지역사회 보건역량 강화 사업
사례2. 키르기스스탄 이주민 마을 지역사회기반 예방중심 건강증진사업
사례3. 페루 도시빈민지역 여성자립형 건강가족자활센터 구축사업
사례4. 국제보건 전문가 과정
사례5. 개발도상국 현장에서의 전문가훈련
사례6. 스리랑카 간호학사학위 교육과정개발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