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I 노화의 기초 1
Chapter 1 노화, 신체적 건강, 신체활동 2
노화에 대한 정의 2
노화와 관련된 일반적인 상태 5
Chapter 2 노화 이론 11
진화 역학 이론 13
단순 손상 및 기본 한계 이론 13
진화적 비프로그램 노화 이론 14
진화적 프로그램 노화 이론 15
프로그램 노화와 비프로그램 노화의 논쟁 17
노화 이론의 의학적 함의 18
수명 연장 연구 19
항노화제 19
노화 이론에 관한 정책, 윤리 및 사회적 문제 20
Chapter 3 고령화 인구의 세계적 변화 21
인구 증가의 역사 22
오늘날 인구 고령화의 패턴 24
출산율 감소가 인구 고령화에 미치는 영향 26
인구 고령화에 대한 사망률 감소의 영향 32
이환율의 감소 39
Part II 노화의 물리적 차원 43
Chapter 4 신체 구성 및 연령 관련 변화 44
신체 구성 변화 측정 45
제지방량 49
골량 51
지방량 53
비만, 근감소증, 골다공증의 동반 발생 56
관점 56
Chapter 5 근골격계 변화 59
골격근 개요 59
노화에 따른 근력 및 근파워 손실 62
근섬유와 노화 64
근파워와 노화 65
근력 손실의 생리학적 메커니즘 67
근파워 상실의 생리학적 메커니즘 69
근력, 근파워를 향상시키기 위한 저항훈련 70
Chapter 6 심혈관계 변화 81
심장과 혈관의 해부학적 변화 82
심혈관계의 기능적 변화 84
지구력 운동 훈련에 대한 심혈관 적응 88
미래 방향 97
Chapter 7 폐의 변화 99
건강한 노화를 동반한 휴식 폐기능 99
호흡기 근력 및 기능의 변화 101
건강한 노화로 운동에 대한 환기 반응 103
폐순환, 혈류 및 가스교환 108
Chapter 8 내분비계의 변화 113
노화에 따른 내분비계의 변화 114
노화에 따른 신체활동, 생활습관 및 내분비계 기능 122
노인의 급성 운동 유발 호르몬 반응 125
미래 연구 126
Part III 노화의 물리적 영향 129
Chapter 9 균형, 이동, 낙상 130
연령과 관련된 다중체계의 변화 130
체성 감각 132
연령에 따른 보행 변화 135
균형의 다중 차원 평가 136
실험실 환경에서 균형 측정 138
임상 또는 현장 환경에서의 균형 측정 140
보행 주기 개요 143
임상 또는 현장 환경에서 보행 측정 144
균형 및 낙상 자기효능감 측정 146
균형 실패로 인한 낙상 146
낙상 발생률을 낮추기 위한 운동 프로그램 설계 149
Chapter 10 운동 제어 153
운동 학습 153
신경가소성 155
노화로 인한 운동 기술 저하 158
운동기능 개선을 위한 운동의 역할 167
미래 연구 173
Chapter 11 신체적 기능 175
신체적 기능 및 허약성 정의 176
낮은 신체적 기능의 결과 177
노화와 관련된 신체적 기능 178
신체적 기능 측정 182
허약성 측정 185
신체적 기능에서의 신체활동의 역할 187
Part IV 운동: 강력한 예방 도구 189
Chapter 12 노인에게 구체화된 운동 측정방법 190
임상적 관점 191
연습 전 스크리닝 및 고려 사항 194
약물 고려 201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가능한 임상 복잡성 201
운동검사 204
균형 및 보행 평가 212
Chapter 13 실천 준수를 위한 장애요인 및 해결책 215
사회 생태학적 기준 216
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권장사항 216
신체활동 준수 요인 217
장애요인 및 촉진요인을 위한 선별 및 평가 도구 226
신체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 230
노인의 일반적인 관행 설정 및 진단에 대한 고려사항 239
Chapter 14 기능적 건강을 위한 신체활동 및 운동 권장 사항 243
일반인을 위한 신체활동 권장사항 244
앉아서 하는 행동과 신체적 기능 248
만성 질환에 따른 기능적 건강 개선 258
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구현 260
Chapter 15 마스터스 선수를 위한 운동 권고 사항 263
마스터스 선수 263
장기적인 체계적인 훈련의 신체적 이점 265
마스터스 선수를 위한 훈련 고려 사항 268
지구력 수행능력 및 연령 269
스프린트 수행능력 및 연령 273
근력과 근파워 수행능력 및 연령 277
마스터스 선수 생활 방식의 전체적인 건강 이점 280
마스터스 스포츠에서 고급 훈련의 잠재적 부정적 영향 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