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판 머리말
머리말
I. 자아 개념과 의사소통 불안
1. 의사소통과 자아 개념
1) 자아 개념의 형성 과정
2) 자아 개념과 의사소통 방식
2. 의사소통 불안
1) 의사소통 불안의 개념
2) 의사소통 불안의 유형
3) 의사소통 불안의 원인
4) 의사소통 불안의 대처 방법
II. 자기 노출과 공감적 대화
1. 자기 노출
1) 자기 노출의 개념
2) 자기 노출의 효능
3) 자기 노출의 차원
4) 자기 노출의 방법
2. 공감적 대화
1) 공감적 듣기의 개념
2) 공감적 듣기의 방법
3) 감정 표현의 방법: 비폭력 대화
III. 대화의 원리
1. 협력의 원리
1) 협력의 원리
2) 대화 함축
2. 예의의 원리
1) 예의 규칙
2) 공손성의 원리
3) 예의 이론
IV. 비언어 의사소통
1. 비언어 의사소통의 본질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개념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유형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1) 비언어 의사소통의 기능
2) 비언어 의사소통의 사용 원리
V. 의사소통 문화와 언어 공동체
1. 문화적 차원
1) 고-맥락 문화와 저-맥락 문화
2) 문화적 차원 이론
2. 언어 공동체
1) 언어 공동체의 사전적 정의
2) 언어 공동체의 변수
3) 언어 공동체의 조건: 담화 관습
4) 언어 공동체의 범위: 중층과 중복
5) 담화 공동체
VI. 발표와 연설을 위한 설득 메시지 조직
1. 동기화 단계 조직
1) 설득 메시지 조직의 유형
2) 동기화 단계 조직의 기원
3) 동기화 단계 조직의 세부 단계
4) 동기화 단계 조직의 특성
5) 청자 입장에 따른 동기화 단계
2. 내용 연결 표현
1) 내용 연결 표현의 개념
2) 내용 연결 표현의 성격
3) 내용 연결 표현의 유형
4) 내용 연결 표현의 기능
VII. 청자 분석
1. 청자 분석의 원리
1) 청자 분석의 중요성
2) 정교화 가능성 모형
2. 청자 분석과 메시지 조직
1) 메시지 조직의 핵심 변인
2) 핵심 변인의 종합적 적용
VIII. 화자의 공신력과 감성적 설득 전략
1. 화자의 공신력
1) 화자의 공신력의 기원
2) 화자의 공신력의 개념
3) 화자의 공신력의 차원
4) 화자의 공신력 신장 방안
2. 감성적 설득 전략
1) 감성적 소구의 개념
2) 감성적 소구의 중요성
3) 감성적 소구의 유형
4) 감성적 소구의 사용 전략
IX. 논증: 이성적 설득 전략
1. 논증의 원리
1) 논증의 개념
2) 논증의 조건
3) 논증의 요소
4) Toulmin의 논증 모형
2. 논증의 방법과 오류
1) 연역 논증
2) 귀납 논증
3) 인과 논증
4) 유추 논증
5) 기타 오류 유형
X. 토론
1. 토론의 본질
1) 토론의 성격
2) 토론의 목적
3) 토론의 논제
4) 토론의 규칙
5) 토론의 유형
2. 토론의 방법
1) 입증 책임
2) 필수 쟁점
3) 입론 모형
4) 반대 신문
XI. 토의와 협상
1. 토의
1) 토의의 개념과 유형
2) 토의 참여자의 역할과 태도
3) 토의의 절차
4) 토의의 소통 방법
5) 토의 문제 상황 대처 방법
6) 집단사고의 증상과 예방
7) 회의의 원칙
2. 협상
1) 협상의 개념
2) 협상의 원리
3) 협상의 절차
4) 협상의 전략
XII. 면담과 발표(프레젠테이션)
1. 면담
1) 면담의 본질
2) 면담의 절차
3) 면담 질문 방법
4) 면접
5) AI 면접
2. 발표
1) 발표의 본질
2) 발표의 내용 구성
3) 매체 자료 설계와 제작
4) 발표의 표현 전략
5) 청중과 상호작용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