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말
서
범례
일러두기
제1장 서론
1.1 문법
1.2 중국어 구어
1.3 음운론
제2장 문장론
2.1 개설
2.2 토막문
2.3 갖춤문의 구조
2.4 주어와 술어의 문법적 의미
2.5 논리 술어
2.6 질문과 대답으로서의 주어와 술어
2.7 토막문으로 이루어진 갖춤문
2.8 주어의 유형
2.9 술어의 유형
2.10 갖춤문 (주-술) 술어
2.11 중문
2.12 복문
2.13 겸어 구조
2.14 계획된 문장과 계획되지 않은 문장
제3장 단어와 형태소
3.1 개설
3.2 자립과 비자립 어형
3.3 잉여적인 측면
3.4 대체와 분리
3.5 기능적인 틀 안에서의 단어
3.6 의미 단위로서의 단어
3.7 단어와 형태소의 동일성
3.8 통사론적인 단어의 정의와 판별
3.9 단어 비슷한 단위들의 요약표
제4장 형태론적인 유형
4.1 개설
4.2 중첩
4.3 접두사
4.4 접미사
4.5 접요사
제5장 통사론적인 유형
5.1 어구와 구조
5.2 병렬
5.3 종속
5.4 동사-목적어 구조
5.5 연동식
5.6 동사-보어 구조
제6장 복합어
6.1 복합어의 성질과 분류
6.2 주-술 복합어
6.3 병렬 복합어
6.4 종속 복합어
6.5 동사-목적어 복합어
6.6 동사-보어 복합어
6.7 복잡 복합어
제7장 품사: 실사
7.1 품사 개관
7.2 명사
7.3 고유 명칭
7.4 장소어
7.5 시간어
7.6 한정어-양사 복합어
7.7 명사-방위사 복합어
7.8 한정어
7.9 양사
7.10 방위사
7.11 대명사
7.12 다른 대사
제8장 동사와 다른 품사
8.1 동사(형용사를 포함한)
8.2 개사(K)
8.3 부사
8.4 접속사
8.5 조사
8.5.1 조사, 접미사와 감탄사
8.6 감탄사
참고문헌
[부록] 성조 병음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