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배움은 아이들이 선택할 때 이루어진다
PART 1. 왜 하필 보드게임일까?
보드게임 안에 특별한 것이 숨어 있다
보드게임은 시스템이다
보드게임은 체험이다
보드게임은 공평하고 자유롭다
보드게임은 마음의 문턱을 넘게 한다
보드게임은 학생 아닌 그 아이를 만나게 한다
보드게임은 아이들에게 문화를 만들어 준다
PART 2. 보드게임으로 아이의 ‘지능지수’ 높이기
■ 수학 능력
수학과 친해지기 <크로싱>
숫자 익히기 <아이씨 텐>
수 세기 능력 <다빈치 코드>
수학적 사고력 <수모쿠>
■ 언어 능력
책을 통한 핵심 파악 능력 <독서질문카드>
■ 학습 능력
학습을 위한 전략적 사고 <당나귀 다리>
지루하지 않게 반복하는 능력 <트랩워드>
■ 감각 능력
소근육을 사용하는 능력 <스틱스택>
PART 3. 보드게임으로 아이의 ‘감성지수’ 높이기
■ 자신에 대한 이해
나를 이해하는 능력 <알려줘 너의 TMI>
나를 존중하는 능력 <자아선언문>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 <딕싯>
■ 타인에 대한 이해
감정을 읽는 능력 <이모션 큐레이터>
공감하는 능력 <너도? 나도! 파티>
소통하는 능력 <헬로우 Q 카드>
■ 우리에 대한 이해
서로 돕는 능력 <하나비>
협업하는 능력 <재치와 눈치>
PART 4. 교실 ‘게이미피케이션’
심리적 거리감 좁히기 <아이 마음을 여는 보드게임>
나와 너를 일으키는 격려 에너지 <당신을 응원합니다>
함께 만들어 가는 문화 <학급 회의>
발표 시간, 틀려도 괜찮아 <경험 복사하기>
협력, 기여, 그리고 책임감 <모둠 협력시스템>
쓸모와 사연을 팔아요 <알뜰시장>
함께 공부하고 배우는 관계 <멘토-멘티>
재미있게 쓰레기 줍기 <줍깅 챌린지>
PART 5. 보드게임, 하나의 문화로
보드게임을 한다? -진정한 정의 알기
보드게임 준비 단계 –보드게임에 숨 불어넣기
보드게임 진행 단계 –보드게임으로 문제 해결하기
사람 대 사람으로 만나는 시간 –아이에 대한 진짜 이해
룰 마스터 말고 플레이어 –실수 인정하기
나만의 시스템을 만드는 룰 크레이터 –스캠퍼(SCAMPER) 기법
보드게임으로 만드는 건강한 ‘아이 문화’ -에너지 조절하기
에필로그 보드게임에는 아이들을 움직이는 ‘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