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갑상선암
제2장 갑상선암의 발생 빈도와 종류
1. 갑상선암의 발생 빈도
2. 갑상선암의 예후
3. 갑상선암의 종류
가. 유두암 / 나. 소포암 / 다. 호산성갑상선암 / 라. 고위험소포세포유래갑상선암 / 마. 그 외의 갑상선암
제3장 분화갑상선암의 치료와 예후
1. 분화갑상선암의 치료
가. 적극적 감시 / 나. 수술적 치료 / 다. 방사성요오드 치료 / 라. TSH 억제요법 / 마. 국소적 치료법 및 전신적 치료법
2. 분화갑상선암의 예후
가. 분화갑상선암 병기 / 나. 분화갑상선암 수술 후 초기 위험도분류 / 다. 갑상선암의 동적 위험도분류 / 라. 분화갑상선암의 조직형에 따른 예후
제4장 갑상선의 역사와 해부
1. 갑상선의 역사
2. 갑상선의 발생
3. 갑상선의 해부
4. 갑상선의 조직
제5장 갑상선의 요오드대사
1. 갑상선소포세포의 요오드대사
2. 갑상선암세포의 요오드대사
3. 갑상선암의 유전자변이와 요오드대사
가. MAPK 신호전달경로 / 나. PI3K/Akt 신호전달경로 / 다. Notch 신호전달경로 / 라. TGF-β/Smad 신호전달경로 / 마.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receptor-α / 바. NF-κB 신호전달경로 / 사. Wnt/β-catenin 신호전달경로
4. 유전자변이 표적 갑상선암 요오드대사 개선
제6장 안정요오드와 방사성요오드
1. 안정요오드의 역사
2. 방사성요오드의 역사
3. 방사성요오드의 물리적 특성
4. 방사성요오드와 환경
제7장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생물학적 원리, 목적, 적응증 및 금기증
1.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생물학적 원리
2.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목적
3.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적응증
4.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금기증
제8장 방사성요오드 치료 전처치
1. 체내 요오드풀 감소
가. 저요오드 식사 / 나. 과량의 안정요오드 노출 시 대응
2. 갑상선자극호르몬 상승
가. 갑상선호르몬 중단법 / 나. 유전자재조합인간 TSH 주사법
3. 기타 처치법
제9장 방사성요오드 치료용량
1. 경험적 고정용량법
2. 선량계산법
3. 소아의 방사성요오드 용량
제10장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스캔
1. 방사성요오드 치료 후 스캔 시행 목적
2. 영상 방법(평면촬영법과 단층촬영법)
3. 영상 판독 주의 사항
가. 분화갑상선암 병소의 방사성요오드 축적 / 나. 방사성요오드의 생리적 축적 / 다. 방사성요오드의 병리적 축적 / 라. 방사성요오드 오염에 의한 분화갑상선암 오인
제11장 방사성요오드 투여 후 관리
1. 방사성요오드 입원 치료 중 관리
2. 체내피폭 저감법
3. 방사성요오드 치료 부작용 대처
가. 침샘염 및 침샘손상 / 나. 골수억제 / 다. 불임 / 라. 이차암 / 마. 그 외 기타 부작용
4. 방사선안전과 환경보호
제12장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효과
1. 잔류 정상 갑상선조직 제거(Remnant ablation)
2. 보조치료(Adjuvant therapy)
3. 암치료(Cancer treatment)
가. 폐전이 치료 / 나. 뼈전이 치료 / 다. 뇌전이 치료 / 라. 기타 전이 치료
제13장 방사성요오드 치료의 부작용
1. 침샘염과 구강건조증
2. 유루증
3. 골수억제
4. 임신 영향 및 불임
5. 이차암
6. 기타 부작용
제14장 방사성요오드불응성 갑상선암
1. 방사성요오드불응성 갑상선암의 정의
2. 방사성요오드불응성 갑상선암 국소재발 치료
3. 방사성요오드불응성 갑상선암의 원격전이 치료
가. 폐전이 치료 / 나. 뼈전이 치료 / 다. 뇌전이 치료
제15장 방사성요오드불응성 갑상선암의 표적치료제 치료
1. 표적치료제 치료
가. Sorafenib / 나. Lenvatinib / 다. Cabozantinib / 라. 그 외 표적치료제
2. 표적치료제 이상반응의 예방, 평가 및 관리
가. 이상반응 예방 / 나. 이상반응 평가 / 다. 이상반응 관리
제16장 탈분화갑상선암의 재분화 요법
1. 재분화 요법의 기전
2. 재분화 요법 종류
가. 레티노산 / 나.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억제제 / 다. PPARγ 작용제 / 라. 키나아제 억제제
3. 재분화 요법의 향후 전망
제17장 NIS 유전자를 이용한 종양 유전자치료
1. 방사성핵종 기반 유전자이입을 통한 종양 유전자치료
2. 치료용 유전자의 선택적 이입
3. 치료용 유전자의 선택적 전사 및 발현
4. 치료용 유전자의 발현증폭
5. 진단·치료유전자를 이용한 유전자치료
부록 1. 분화갑상선암 치료의 실례
부록 2. 방사성요오드 스캔상 발견될 수 있는 위양성 원인 및 감별
부록 3. 대한갑상선학회의 갑상선결절 및 암 진료 권고안 권고수준
부록 4. 방사성요오드(I-131) 붕괴도식
부록 5. 약물부작용의 중증도 분류(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CTCAE)
부록 6. 키나아제 억제제의 대표적 부작용과 중증도 분류
부록 7. 암환자의 전신수행능력 분류(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ECOG) performance)
부록 8. 탈분화갑상선암의 재분화 관련 전임상 및 임상연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