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4
제1장 현실을 관통하는 희극적 소명 15
제2장 고대 그리스 희극의 성격과 특징 31
1. 고대 그리스 희극 이론 33
1) 희극의 본질과 드라마의 형태 33
2) 웃음을 통한 해체의 형이상학 47
2. 구희극과 아리스토파네스 68
1) 구희극의 지향점 68
2) 위기의식에 대한 토로 97
제3장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의 형태 및 구조 119
1. 위선적 권위에 도전하는 웃음의 미학 121
2. 현실 인식을 개진하는 본질적 사고 132
3. 현실 세계의 문제해결을 위한 폭로의 공간 146
제4장 아리스토파네스 희극의 핵심 요소 157
1. 희극의 논쟁 양식 162
1) 경쟁으로서 아곤의 본능 162
2) 아곤의 희극적 테크닉 170
3) 아곤의 적용 177
2. ‘파라바시스’의 등장 188
1) 파라바시스의 규범과 일반화된 충고 188
2) 기발한 착상에 의한 중재 역할 196
3) 파라바시스의 적용 203
제5장 평화운동 실현을 위한 일탈 211
1. 「아카르나이의 사람들」 218
2. 「평화」 235
3. 「리시스트라테」 255
4. 소결: 대외전쟁에 대한 능동적인 반대 의지 278
제6장 삶의 가치 기준에 대한 동시대의 해석 285
1.「구름」 288
2.「테스모포리아 축제의 여인들」 325
3.「개구리」 343
4. 소결: 불평등 사회의 모순에 대한 충고 370
제7장 부패한 정치사회제도에 대한 저항 377
1. 「기사들」 381
2. 「말벌」 395
3. 「새들」 416
4. 소결: 권력의 속성에 대한 경종 431
제8장 불완전한 이상과 공상 437
1. 「여인들의 민회」 440
2. 「부의 신」 459
3. 소결: 불완전한 인간의 본색 475
제9장 삶의 본질과 마주한 희극 481
1. 고단한 삶에서의 휴식과 여가의 텍스트 483
2. 동시대가 수용한 연극적 교육공간 489
3. 사회제도의 본질적 변화를 위한 정치 참여 495
4. 어리석은 인간 행동의 결점에 대한 반성과 성찰 502
인용문헌 511
찾아보기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