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커버스토리
▷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서 웹툰 콘텐츠 IP의 지향점
: 김민태(만화평론가)
▷ 이게 된다고? AI 시대에서 웹툰작가로 현명하게 살아가는 방법 ∞가지
: 김한재(강동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 콘텐츠학과 교수)
▷ 웹툰 NFT, 과연 미래의 투자가치를 만들 수 있을까?
: 박석환(만화평론가)
▷ 인공지능이 추천하는 만화가 독자를 바꿀 거라고?
: 이재민(만화평론가)
■ 인터뷰
▷ 창작자와 개발자가 함께 윈윈하는 글로벌 AI 조직을 향해서
: 네이버웹툰 AI 김대식 리더
■ 크리틱
▷ NFT는 웹툰 향유 방식의 일원이 될 수 있을까?
한진서, 진세하의〈빈껍데기 공작부인〉
: 최윤주(만화평론가)
▷ 웹툰의 새로운 도약, 지면 밖으로
〈2018 재생금지〉
: 손유진(만화평론가)
▷ 디지털 무한캔버스의 가능성
스콧 맥클라우드의〈The Right Number〉
: 임재환(만화평론가)
▷ 네이버웹툰, AI와 만나다
하일권의〈마주쳤다〉를 중심으로
: 김성훈(만화평론가)
■ 인터뷰
▷ 지식 교양 웹툰 플랫폼 ‘노틸러스’로 한국 웹툰의 바다 위를 날다
: 지식 교양 웹툰 플랫폼 노틸러스와 이만배 서비스
이성업 스키퍼(대표), 이정헌 내비게이터, 박종훈 인벤터
■ 이슈
▷ OTT는 왜 웹툰을 선호하는가?
OTT와 웹툰산업에 대하여
: 최윤석(만화평론가)
▷ 인공지능 기반의 웹툰 창작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 최진우(위딧 콘텐츠 제작팀 PD)
■ 에세이
▷ 팩트는 어떻게 만화가의 영감이 되는가?
〈사채꾼 우시지마〉와 일본 직업물에 대한 몇 개의 생각
: 고나무(팩트스토리 대표)
▷ 전형적인 조금산 표 웹툰!
조금산의〈옆집 이방인〉
: 김정영(연성대학교 웹툰만화콘텐츠학과 교수)
▷ 돌이킬 수 없는 세계를 위한 위로
LICO와 비가의〈화산귀환〉
: 한기호(만화평론가)
■ 이럴 땐 이런 만화 : 기후위기 시대 속에서 보면 좋은 만화
▷ 우리가 건넸고, 우리에게 되돌아온 동전에 관하여 〈노루〉: 김민경(만화평론가)
▷ ‘음식을 먹는다는 것’의 의미〈22XX〉: 최기현(인천아트플랫폼 팀장, 만화평론가)
▷ 종말을 감각하기〈물위의 인간〉: 한유희(만화평론가)
▷ 기후변화의 불평등함과 불가피한 파국의 “이상한 때”〈청년혁명전〉:이현재(만화평론가)
▷ 일상에서 만나는 기후위기〈기후위기인간〉: 윤정선(만화평론가)
■ 만화 속 인생 명대사 명장면
▷ 21세기에 좌파는 유효한가?〈만화로 보는 좌파의 역사〉: 이봉호(대중문화평론가)
▷ 산다는 게〈라스트 서브 미션〉과 〈살어리랏다〉: 신경진(대중문화평론가)
▷ “우리가 지금 여기 살아 있다는 것만으로도 삶은 이미 기적이에요.”
〈숨을 참는 아이〉
: 박민지(만화평론가)
■ 만화 VS 영화
▷ 현실과 상상, 어디에도 없는 우리의 ‘자리’
만화〈자리〉 VS 영화〈소공녀〉
: 김희경(한국경제신문 기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겸임교수)
■ 만화 VS 애니메이션
▷ 각색은 자품을 고르는 선구안에서 시작합니다.
만화 〈귀멸의 칼날〉 VS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무한열차편〉
: 김한영(만화평론가)
■ 이런 만화는 밀어줘야 해
▷ 회귀도, 환생도 아닌 ‘재생’〈재생력〉
: 김득원(만화평론가)
■ 방구석 그래픽노블
▷ 기괴한 은유로 바라본 이곳의 삶〈SPA〉
: 문종필(만화평론가)
■ 지금만화 pick평!
▷ 죽은 자의 길 위의 트리니티〈원자폭탄〉
: 주다빈(만화평론가)
■ 만화 뉴스 인사이드
■ 신작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