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4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十四卷)
제50편 자요론(刺要論篇第五十)/16
1. 침(鍼)을 놓는 요법(要法)…16
2. 침놓을 때 주의할 점…17
제51편 자제론(刺齊論篇第五十一)/20
1. 침놓을 때의 법칙…20
2. 침을 놓는 옳은 도(道)…21
제52편 자금론(刺禁論篇第五十二)/23
1. 경맥(經脈)에 침을 놓을 때의 금기(禁忌)…23
2. 침을 놓을 때 주의할 부위(部位)…24
3. 침을 잘못 놓아 일어나는 현상…27
제53편 자지론(刺志論篇第五十三)/30
1. 침을 놓을 때 보허사실(補虛瀉實)하는 법…30
제54편 침해(鍼解篇第五十四)/33
1. 구침(九鍼)에 대한 해법과 허실(虛實)의 도…33
2. 침(鍼)이 자연과 순응하는 이치…36
제55편 장자절론(長刺節論篇第五十五)/39
1. 병에 따라 침을 놓는 방법…39
2. 아랫배에 침놓는 법…41
3. 근(筋)과 기부(肌膚)와 골(骨)에 침놓는 법…42
4. 풍(風)에 침놓는 법…43
제15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五十卷)
제56편 피부론(皮部論篇第五十六)/48
1. 피부에 연관된 삼음(三陰)과 삼양(三陽)…48
2. 사기(邪氣)가 피부로 들어오는 과정…52
3. 질병은 피(皮)를 통해 침투한다…53
제57편 경락론(經絡論篇第五十七)/55
1. 경락에 나타나는 색으로 진단…55
제58편 기혈론(氣穴論篇第五十八)/58
1. 365개의 기혈(氣穴)의 부분(部分)…58
2. 각 부위(部位)에 소속된 기혈(氣穴)…61
3. 손락(孫絡)과 계곡(谿谷)…64
제59편 기부론(氣府論篇第五十九)/68
1. 족태양맥기(足太陽脈氣)가 발하는 78혈…68
2. 족소양맥기(足少陽脈氣)가 발생하는 곳은 62혈…70
3. 족양명맥기(足陽明脈氣)가 발생하는 68혈…71
4. 수태양맥기(手太陽脈氣)가 발생하는 36혈…73
5. 수양명맥기(手陽明脈氣)가 발생하는 22혈…74
6. 수소양맥기(手少陽脈氣)가 발생하는 32혈…75
7. 독맥기(督脈氣)가 발생하는 28혈…76
8. 임맥기(任脈氣)가 발생하는 28혈…77
9. 충맥기(衝脈氣)가 발생하는 22혈…78
제16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十六卷)
제60편 골공론(骨空論篇第六十)/82
1. 풍병(風病)을 침으로 치료하려면…82
2. 임맥(任脈)과 충맥(衝脈)의 역할…85
3. 독맥(督脈)의 역할…86
4. 무릎 관절 부위의 치료…88
5. 수수(水?)는 57혈(五十七穴)…90
6. 한열(寒熱)에 뜸을 뜨는 법…92
제61편 수열혈론(水熱穴論篇第六十一)/96
1. 수수(水?)의 57혈과 수병(水病)의 치료…96
2. 신수(腎?수)의 57혈…98
3. 봄과 여름 가을 겨울의 치료법…101
4. 열병(熱病)을 치유하는 59혈(五十九穴)…103
제17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十七卷)
제62편 조경론(調經論篇第六十二)/108
1. 유여(有餘)와 부족(不足)함의 10가지…108
2. 신(神)의 허(虛)와 실(實)…110
3. 기(氣)의 허(虛)와 실(實)…112
4. 혈(血)의 허(虛)와 실(實)…114
5. 형(形)의 허(虛)와 실(實)…115
6. 지(志)의 허(虛)와 실(實)…116
7. 기혈(氣血)이 허하고 실한 원인…118
8. 허(虛)와 실(實)에 의한 질병…120
9. 음양허실(陰陽虛實)에 따른 한열(寒熱)…123
10. 침을 놓아 보(補)하고 사(瀉)하는 법…125
11. 허(虛)와 실(實)의 열 가지…128
제18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十八卷)
제63편 무자론(繆刺論篇第六十三)/132
1. 무자(繆刺)의 개념…132
2. 무자(繆刺)하는 방법…135
3. 수양명(手陽明)과 족양교(足陽?)의 무자(繆刺)…137
4. 추락으로 생긴 어혈은 무자(繆刺)한다…139
5. 경(經)에 따른 무자(繆刺)…141
6. 각각의 낙(絡)에 대한 무자(繆刺)…144
7. 무자(繆刺)의 술수(術數)…147
제64편 사시자역종론(四時刺逆從論篇第六十四)/150
1. 삼음경(三陰經)의 허실(虛實)에서 오는 병…150
2. 삼양경(三陽經)의 허실(虛實)에서 오는 병…152
3. 네 계절에 따른 인체의 변화…153
4. 네 계절을 역(逆)하여 일어나는 병…155
5. 어떤 장기 때문에 죽는가…157
제65편 표본병전론(標本病傳論篇第六十五)/159
1. 표본(標本)과 역종(逆從)을 숙지(熟知)…159
2. 음양(陰陽)과 표본(標本)과 역종(逆從)의 도…161
3. 질병(疾病)이 옮겨지는 과정…163
제19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十九卷)
제66편 천원기대론(天元紀大論篇第六十六)/168
1. 오행(五行)과 오기(五氣)…168
2. 오운(五運)은 주관하는 시기가 없다…171
3. 기(氣)는 많고 적음이 있다…173
4. 1천4백40기(千四百四十氣)가 60세(六十歲)…177
5. 오운(五運)과 육원(六元)…180
제67편 오운행대론(五運行大論篇第六十七)/184
1. 오운(五運) 육기(六氣)와 음양의 불합(不合)…184
2. 28수(二十八宿)의 운행…187
3.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이 있는 곳…190
4. 육기(六氣)의 작용과 간기(間氣)의 응함…194
5. 육기(六氣)가 하는 일…197
6. 만물을 화생(化生)하는 오기(五氣)…200
7. 서방과 북방에 소속된 기(氣)…204
제68편 육미지대론(六微旨大論篇第六十八)/208
1. 하늘의 순서에 따라 성하고 쇠하는 시기…208
2. 변화가 발생하면 발병(發病)한다…213
3. 천부(天符), 세회(歲會), 태일천부(太一天符)…218
4. 육기(六氣)의 시작과 끝…223
5. 어떤 것이 기교(氣交)인가?…234
6. 기(器: 事物)는 우주(宇宙)와 같다…237
제20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二十卷)
제69편 기교변대론(氣交變大論篇第六十九)/244
1. 오운(五運)의 태과(太過)와 불급(不及)…244
2. 오운(五運)이 태과(太過)한 상태…247
3. 오운(五運)의 목(木)과 화(火)가 불급인 상태…254
4. 오운(五運)의 토(土)와 금(金)과 수(水)의 불급…259
5. 오운(五運)의 시기(時期)…263
6. 오기(五氣)의 덕화와 정령과 재해의 변화…269
7. 오기(五氣)가 오성(五星)과 응함…271
8. 오성(五星)에 재앙이 응하면…275
제70편 오상정대론(五常政大論篇第七十)/279
1. 오운(五運)의 평기(平氣)…279
2. 이러한 것이 평기(平氣)이다…281
3. 불급(不及)인 위화(委和)와 비감(卑監)…287
4. 불급의 비감(卑監)?종혁(從革)?학류(?流)…293
5. 오운(五運)의 태과(太過)…300
6. 지리(地理)의 고하(高下)와 인간의 수명…309
7. 사천(司天)과 재천(在泉)의 육화오미(六化五味)…313
8. 육기(六氣)와 오류(五類)의 승제(勝制)…318
9. 모든 것은 하나의 기(氣)에서 성취한다…323
10. 독이 있고 독이 없는 것을 복용할 때의 규칙…327
제21권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第二十一卷)
제71편 육원정기대론(六元正紀大論篇第七十一)/332
1. 오운(五運)이 주관하여 치료하는 기화(氣化)…332
2. 태양(太陽)의 정사(政事)…336
3. 양명(陽明)의 정사(政事)…346
4. 소양(少陽)의 정사(政事)…355
5. 태음(太陰)의 정사(政事)…362
6. 소음(少陰)의 정사(政事)…370
7. 궐음(厥陰)의 정사(政事)…377
8. 정상적이지 않은 것을 재앙이라 한다…383
9. 오운(五運)과 육기(六氣)의 동화(同化)…386
10. 60년 운기(運氣)의 승복(勝復)과 상수(常數)…392
11. 오운(五運)의 생수(生數)와 성수(成數)…410
12. 토운(土運)의 울발(鬱發)…411
13. 금(金)과 수(水)의 울발(鬱發)…413
14. 목(木)과 화(火)의 울발(鬱發)…416
15. 육기(六氣)는 다소(多少)가 있다…420
16. 기(氣)의 선후(先後)와 태과와 불급…422
17. 육기(六氣)의 정상적인 기(紀)와 변화…424
18.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기화(氣化)…426
19.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변화…427
20. 삼음과 삼양의 변화…429
21.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일반적인 질병…431
22. 육기(六氣)의 작용(作用)…434
23. 약재의 사용에 시령(時令)을 범하지 말 것…438
24. 임신(姙娠) 때 독약(毒藥)을 사용하면…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