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청소년ㆍ청년암의 개요
1장 청소년ㆍ청년 종양학의 역사와 현주소
1. 북미의 청소년ㆍ청년 종양학 프로그램
2. 영국과 유럽의 청소년ㆍ청년 종양학 프로그램
3. 호주의 청소년ㆍ청년 종양학 프로그램
4. 요약 및 제언
2장 한국 청소년ㆍ청년암의 역학
1. 청소년ㆍ청년암의 발생빈도
2.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율
3. 요약
3장 한국 청소년ㆍ청년암 환자를 위한 제언
1.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과제
2. 국내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현실
3. 청소년ㆍ청년암 환자를 위한 제안
4. 맺음말
2부 청소년ㆍ청년 호발암
4장 청소년ㆍ청년암의 생물학적 특성
1. 청소년ㆍ청년암의 생물학적 특성
2. 청소년ㆍ청년 시기의 생리적, 약리적 특성
3. 암소인유전자
4. 결론
5장 백혈병
1. 급성림프모구백혈병
2. 급성골수성백혈병
6장 림프종
1. 호지킨림프종
2. 비호지킨림프종
7장 육종
1. 골종양
2. 연조직육종
8장 생식세포종양
1. 연령별 특징
2. 병리학
3. 종양표지자
4. 원발부위별 특징
5. 치료
6. 결론
9장 중추신경계 종양
1. 교종
2. 뇌실막세포종
3. 두개내생식세포종
4. 머리인두종
5. 수모세포종
6. 요약
10장 암종
1. 발생빈도
2. 생존율
3. 암종별 특성
11장 이차암
1. 위험인자
2. 이차종양
3. 이차암의 감시 및 예방
3부 청소년ㆍ청년암의 특수성
12장 청소년ㆍ청년의 생물학적 특징 및 청소년ㆍ청년암 치료체계
1. 청소년ㆍ청년의 생물학적 특징
2. 청소년ㆍ청년의 생물학적 특징에 따른 치료 차이
3. 청소년ㆍ청년 치료체계
13장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임상연구 및 기타 연구
1.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임상연구
2. 임상연구란 무엇인가
3. 청소년ㆍ청년 환자의 낮은 임상연구 참여율
4. 청소년ㆍ청년암 환자들의 임상연구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
5.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임상연구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
6. 요약
14장 치료 관련 급성 합병증
1. 항암제 부작용
2. 조혈모세포이식 부작용
3. 치료 관련 부작용의 지지요법
4. 맺음말
15장 치료 순응 및 처방준수
1. 청소년ㆍ청년의 처방준수
2.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처방준수
3. 처방 불이행의 평가
4. 처방준수를 증진하는 중재방법
16장 성기능 및 가임력 보존
1. 종양 완치자의 성 및 생식기능
2. 여성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자의 생식기능 및 임신 결과
3. 남성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자의 생식기능 및 임신 결과
4. 가임력의 대리지표
5. 청소년ㆍ청년에서 특별히 고려할 문제
17장 심리사회적 문제
1. 청소년ㆍ청년암 진단과 치료에 따른 영향
2. 심리적 지원과 사회적 지지
3. 심리사회적 검사와 평가 방법
4. 심리사회적 지원의 적용
5. 결론
4부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자 관리
18장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후기 합병증
1. 후기 합병증
2. 장기 추적 관찰
19장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및 건강행태
1. 신체적 삶의 질
2. 사회적 삶의 질: 학교 및 직장복귀
3.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가족 지원
20장 재활치료
1. 암 환자 재활 영역
2. 청소년ㆍ청년암 재활의 목표 및 포괄적 치료
3. 청소년ㆍ청년암 재활치료의 특징
4. 치료로 인한 장애와 재활치료
5. 청소년ㆍ청년기 암종별 흔한 장애 및 재활치료
6. 기타 장애에 대한 재활치료
7. 암 재활 시 주의점
8. 맺음말
21장 생존자 관리의 실제
1. 소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에서 성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의 이행
2.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자의 심리사회적 문제
3.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자의 주요 후기 합병증 문제
4.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자 관리 시스템의 구축
5. 청소년ㆍ청년암 생존자 관리 모델
5부 완화의료
22장 완화의료
1. 증상 관리
23장 환자 및 가족의 임종 돌봄
1. 죽음에 대한 상실반응
2. 청소년ㆍ청년암 환자의 죽음에 대한 가족의 반응
3. 말기암의 완화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