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추천사
1부 왜 표준화를 해야 하는가?
1장 어느 병원의 하루
1. 명칭의 불명확성으로 인한 처방 혼동
2. 정보 부족으로 인한 중복 처방
3. 같은 의미ㆍ다른 명칭의 코드로 인한 중복 처방
4. 다른 의미ㆍ같은 약어의 코드로 인한 처방 혼동
5. 의료데이터 통계 및 분석의 어려움
6. 인적ㆍ물적 자원 낭비
7. 의사소통의 어려움
2장 데이터 비표준화의 원인
1. 코드 관리기준의 부재
2. 심평원 고시에 대처해야 할 때
3. 시스템 호환이 불가능한 환경
2부 행위기준정보 표준화, 이렇게 하면 된다!
1장 프로젝트 1단계 - 표준화 프로젝트 계획 수립하기
1. 프로젝트 대상과 기간 정하기
2. 프로젝트 인력 구성하기
3. 표준체계/관리체계 개념 정립하기
2장 프로젝트 2단계 - 참조모델 선정하기
1. 행위기준정보 표준화 참조모델 선별과정
2. 행위기준정보 표준화 참조모델, ICHI 알아보기
3장 프로젝트 3단계 - 행위기준정보 표준체계 설계하기
1. 분류체계 설계하기
2. 속성체계 설계하기
3. 식별체계 설계하기
4장 프로젝트 4단계 - 데이터 정비하기
1. 미사용코드 정리하기
2. 행위기준정보가 아닌 코드 정리하기
3. 유효코드 정비하기
4. 데이터 정비 유형 다섯 가지
5. 이미 정비된 코드가 변경될 때 대처하는 법
5장 프로젝트 5단계 - 데이터 전환하기
1. 데이터 전환의 개념
2. 데이터 전환 유형 여섯 가지
3부 미래를 향해 힘찬 걸음을 내딛다
1장 기준정보 관리시스템 운영법 알아보기
1. 기준정보 관리시스템 운영 원칙과 프로세스
2. 행위기준정보 관리조직
3. 서울아산병원 기준정보 관리(MDM) 시스템 소개
4. 지속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의 중요성
2장 ‘행위기준정보 표준화’의 의미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