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 1 100년 전, 1913년 청주의 김치 하는 이야기
1 〈반찬등속〉에 실린 100년 전 김치 9종
2 무김치, 깍독이, 짠지, 고추김치 1, 오이김치, 고추김치 2, 갓데기, 외이김치, 배추짠지
3 100년 전 김치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4 고조리서와 고문헌으로 본 김치의 발달사
5 100년 전 김치, 양념의 기본 공식
6 〈반찬등속〉이 김치에 고추를 쓰는 법
Part 2 100년 후, 2022년 다시 만드는 〈반찬등속〉 김치
1 맛김치 혹은 막김치, 오이열무 물김치, 알타리무 고추김치
2 해물배추김치, 옛날동치미, 국물깍두기, 해물백김치
3 고추김치로 만드는 반찬 7가지
Part 3 100년 후 오늘, 후손들의 김치
1 밀양 손씨의 손녀 강청자의 외손녀 류묘순의 열무김치
2 상신동의 강씨 집안 며느리 김민서의 배추김치
3 밀양 손씨의 손자 강규형의 며느리 이영애의 나박김치
Part 4 조기로드, 서해안에서 청주 상신까지
1 서해안 조기는 어떻게 청주의 김치 속으로 들어왔을까
2 조기와 그의 친척들
3 조기를 김치에 쓰는 법
Part 5 〈반찬등속〉 문자집에 실린 1910년 전후의 음식 용어 사전
Part 6 〈반찬등속〉의 저자 밀양 손씨와 편저자 손주 강규형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