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임진강, 더 이상 변방이 아니기를 4
임진강 기행지도 10
임진강 푸른 물은 흘러내리고 12
태풍전망대에서
골짜기도 너무 골짜기야 임진강 남쪽 첫 마을 횡산리
괴미소를 찾은 마지막 발걸음 24
삼곶리에서 선곡리까지
누런 물이 지나간 물 맑은 둠밭나루 32
나룻배의 고장 북삼리
이념보다 앞선 삶 40
북 소설 림진강의무대 삼거리
수직의 지향과 수평의 힘 48
남계리 화진벌
강을 떠나는 아이들 56
문 닫은 마전분교에서
고려의 흥망, 돌배가 떠내려간 길 66
썩은소에서 숭의전까지
역사위에 얹어진 삶, 숭의전사 왕우지
정약용의 적성촌과 임진강 전원마을 80
구미리 학곡리
죽음을 위로하지 못하는 불온한 역사 88
적성 칠중성에서
삭녕바위가 흘러온 까닭 98
장단곡과 고창춤, 장단나루와 호로탄 사이
화석이 된 사람들 108
고랑포와 장자못과 적군묘
예스러움과 세련됨이 공존하는 퓨전농촌 118
장마루
파산서원과 화석정, 조선성리학의 절정 126
우계에서 율곡까지
선조의 피란길, 나무꾼의 고향길 138
임진나루를 건너
민통선으로 들어온 사람들 146
해마루촌과 초평도
저것들은 다만 철지난 위력일 뿐인가 154
임진각과 통일촌
정자는 고층건물 아래서 왜소했다 162
반구정과 문산
남과 북, 포구와 도시의 경계에서 170
내포리어선단
사람만이 배제된 생명의 땅 178
임진강 하구 오금리벌
물이 되어 강을 건넌 사람.
만나고 섞이고 나아가는 강물 188
교하, 오두산통일전망대
북녘 임진강 196
북녘 임진강을 그리며
법동군 지역
대동수경이 기록한 임진강 발원지 - 노인령
임진강의 시작 - 룡포리
말도 구르는 험준한 곳 - 마전리
수달의 집중살이터 - 률동리
물은 영풍방장동에서 흘러온다 - 법동읍
물고기 노니는 못 - 어유리
임진강에서 만나는 약수와 온천 - 로탄리
판교군지역
세종이 찾아낸 갈산온천과 온천폭포 - 구당리
임진강 정자 벽서정 - 하린원리 판교읍
고미탄천이 합수하는 덕진 - 룡당리 군한리
이천군지역
임진강을 건너는 청년이천선 - 문동리 성북리
부엉바위와 별아리 - 신흥리
율곡이 찾은 사견대 - 우미리 산참리
철원군 토산군지역
임진강 물돌이동 - 문암리, 황강리
임진강 수운의 종점 안협 - 류대포리 철원읍
만동강과 장자못 - 북포리, 월성리
바위가 떠내려간 삭녕, 갓이 떠밀려온 관모봉 - 백로산리
장풍군지역
돛배들이 정박하던 마을 - 석둔리
천연기념물 자라 - 장학리
북한소설 림진강의 무대 - 귀존리
개풍군지역
임진강하구 - 대룡리 림한리 조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