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어의 어휘와 단어
1. 한국어의 어휘
1.1. 어휘의 개념
1.2. 한국어 어휘의 특징
1.3. 한국어의 어휘 분류
2. 한국어의 단어
2.1. 형태소와 단어
2.2. 단어의 구조
2.2. 파생어와 합성어
제2부 한국어 어휘 학습
3. 어휘 학습(1):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3.1. 한국어의 3중 체계
3.2. 고유어와 한자어
3.3. 외래어
4. 어휘 학습(2):표준어와 방언
4.1. 표준어와 방언
4.2. 지역 방언의 유형과 실례
4.3. 사회 방언의 유형과 실례
5. 어휘 학습(3):높임 표현, 의성어와 의태어
5.1. 높임 표현
5.2. 의성어와 의태어
6. 어휘 학습(4):관용 표현과 속담, 신어
6.1. 관용 표현과 속담의 개념
6.2. 관용 표현의 형성과 예
6.3. 신어의 개념과 실제
7. 어휘 학습(5):상황에 따른 표현의 차이
7.1. 명사와 명사의 수 세기
7.2. 형용사의 개념과 적절한 사용
7.3. 부사의 개념과 적절한 사용
7.4. 접속 표현의 개념과 적절한 사용
8. 어휘 학습(6):전문어, 사전
8.1. 전문어의 개념과 유형
8.2. 사전과 사전의 활용
제3부 한국어의 어휘 학습 방법
9. 어휘 학습 방법(1):연상을 통한 어휘 학습
9.1. 연상의 개념
9.2. 연상의 종류
9.3. 연상을 통한 어휘 학습 방법
10. 어휘 학습 방법(2):어휘장을 이용한 어휘 학습
10.1. 어휘장(낱말밭)
10.2. 어휘장의 분류
10.3. 어휘장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11. 어휘 학습 방법(3):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
11.1. 의미 관계
11.2. 의미 관계의 종류
11.3. 의미 관계를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제4부 한국 문화와 어휘
12. 한국의 전통문화와 어휘
12.1. 한국의 명절
12.2. 한국의 잔치
12.3. 한국의 민속놀이
13. 한국의 생활 문화와 어휘
13.1. 한국의 의생활
13.2. 한국의 식생활
13.3. 한국의 주생활
14. 한국인의 정신 문화와 어휘
14.1. 한국인의 정신과 한국어 어휘
14.2. 멋과 맛
14.3. 정(情)과 우리
14.4. 신과 흥(興)
15. 인터넷 문화, 소통 그리고 한국어 어휘
15.1. 한국 인터넷의 발전
15.2.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통
15.3. 인터넷 문화를 통해 등장한 새로운 어휘
참고문헌
[부록] 고급 어휘 목록 5,00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