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잉크가 바랠수록 추억은 빛이 난다』는 식품위생 역사의 산 증인인 신광순 박사의 회고록을 담은 책이다. 1933년 지금은 북한 땅인 평양에서 노산으로 태어난 출생 이야기에서부터 6ㆍ25전쟁의 혼란기 속에서도 학업에 정진하였던 대학생활, 직장생활과 동시에 보건대학원을 다니며 스스로 나아갈 길을 모색하였던 사회초년기, 교수, 연구, 봉사를 실현하였던 교수생활, 삶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 힘썼던 정년퇴임 이후 등 인생을 시기별로 구분하여 되돌아보고 있다.《잉크가 바랠수록 추억은 빛이 난다》는 팔순을 맞은 원로학자가 자신의 인생역정을 반추하면서 후대에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을 기록하는 한편, 우리나라 식품위생 제도와 정책의 발전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정리한 회고록이다. 저자의 전작인《과거를 보고 미래를 연다 : 우리나라 식품위생 정책의 역사》가 공직에 있을 때인 60~70년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초창기 식품위생 관련 제도와 정책,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사건과 그 배경 등을 소개했다면, 이번에는 어린 시절부터 사회 초년병일 때 겪은 일화를 비롯해 본업인 교수 시절에 이룬 교육ㆍ연구ㆍ봉사의 성과들, 정년퇴임 후의 생활, 그리고 가족들의 이야기까지 저자의 모든 과거를 가감 없이 소개한다. 한 개인이 자신의 발자취를 되돌아보며 기록한 회고록이지만, 후학들에게 귀감이 될 만한 내용과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닌 자료들도 많이 수록되어 있다.
과거의 시대상을 담은 한 편의 기록영화
자신의 일생을 기록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물며 조그마한 가식도 미화도 없이 있는 그대로를 담담히 써내려가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잘한 일은 부풀리고 못한 일은 감추거나 축소하려는 것이 인지상정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이 회고록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원로학자의 경륜과 내공을 느낄 수 있는 책이다.
1933년 일제강점기 평양에서 독립운동가(해관 신현모)의 아들로 태어나 어린 시절 민족해방의 기쁨과 동족상잔의 비극을 모두 겪은 저자는 당시의 시대상을 담담하면서도 매우 현실감 있게 기록하고 있다. 반세기도 훨씬 전인 우리 민족의 격랑기에 일어난 수많은 사건들과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어떻게 이다지도 정확히 기억하고 있는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공직에 몸을 담고 봉사하던 청년기와 학문에 뜻을 품고 우리나라 식품위생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는 한편으로 후학 양성에 힘을 쏟은 중장년기의 기록 역시 정확하고 객관적이긴 마찬가지다. 단순히 한 개인의 인생역정을 기록한 글이라기보다는 올곧은 사가가 세세히 기록한 역사책이라고 할 만하다. 글을 읽노라면 마치 빛바랜 기록영화를 보는 듯하다.
저자는 우리나라 수의공중보건과 식품위생 역사의 산 증인
군 식품검사관을 시작으로 국방부 보건의무관, 국립의료원 영양과장, 국립보건연구원 식품기준연구담당관에 이르기까지 공직에 몸담고 있는 동안 저자는 우리나라 식품위생 관련 제도와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했다. 이후 대학교수로서 후학을 양성하는 한편으로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한국HACCP연구회 등을 설립해 식품위생 정책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일에 매진했다. 이 밖에도 보건복지부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위원장, 농림부 축산발전심의위원회 위원, 환경부 분쟁조정심의위원회 위원, 대한보건협회 부회장과 감사, 대한수의사회 부회장, 한국식품위생연구원 및 한국식품공업협회 자문위원,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기술자문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설립위원장 및 이사, 한국식품안전협회 회장으로 재임하며 수의공중보건과 식품위생 정책과 제도 발전에 기여했다. 한 마디로 저자는 우리나라 수의공중보건과 식품위생 역사의 산 증인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