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한국 잡지의 선구자『차상찬 평전』. 제45회 잡지의 날을 맞아 한국잡지협회의 주선으로 수상하게 된 문화훈장은 선생의 유덕을 흠모해 온 천도교인들과 잡지계의 후배들 그리고 후손자제 차웅렬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차상찬 평전이다. 청오 차상찬의 생애와 사상, 청오 차상찬 작품 선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한국 잡지의 선구자인 청오 차상찬(1887-1946)의 평전이다.
청오 차상찬 선생은 우리나라 근대 문화의 여명기에 잡지·언론의 선구자로서 사명을 다한 지식인이였으며, 총 대신 올곧은 붓을 들고 조국의 광복을 부르짖은 독립군이었다. 청오 차상찬 선생은 민족문화사의 위대한 스승이되, 강단에서가 아니라 지면으로 민중을 계몽하고 애국심을 가르치며,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오롯이 계승하여 당대의 위기를 극복할 지혜와 힘을 기르고자 하였다. 그렇게 평생을 잡지와 함께한 청오의 일생은 우리 민족 근대사가 지난하고 뒤틀렸던 만큼이나 어두운 골방에 갇힌 채 빛을 보지 못하고 있었다. 그로부터 한 갑자도 훨씬 지난 2010년 11월 1일, 차상찬 선생은 정부로부터 은관문화훈장을 추서받았다. 제45회 잡지의 날을 맞아 한국잡지협회의 주선으로 수상하게 된 문화훈장은 선생의 유덕을 흠모해 온 천도교인들과 잡지계의 후배들 그리고 후손자제 차웅렬의 노력이 반 세기 만에 맺은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차상찬 선생 개인의 영광일 뿐만 아니라, 선생이 필생의 업으로 여겨왔던 개벽사의 운영과 개벽을 비롯한 수많은 ‘개벽사 잡지’들에 대한 복권의 신호탄이라고 할 만한 일이었다.
차상찬은 『개벽』을 비롯하여 8개의 잡지를 만든 편집자
차상찬의 목이 달아나면 달아났지 그에게서 바른 말을 막을 수 없다
『개벽』지는 우리나라 종합잡지의 효시嚆矢요, 민족지로서도 탁락하여 군계群鷄의 추종을 불허하는 일학一鶴이다. 청오 차상찬은 개벽지의 창간동인이자, 이돈화李敦化, 김기전金起田, 방정환方定煥의 뒤를 이어 1931년부터 개벽사의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취임, 그때부터 개벽사가 문을 닫을 때까지 17년간을 온갖 고초 속에 잡지를 이끌어왔다. 『개벽』을 위시하여 「혜성」, 「부인」, 「어린이」, 「신여성」, 「학생」, 「제일선」, 「별건곤」 등 개벽사 간행 잡지 매호마다 청오 차상찬 선생의 투철한 계몽사상과 민족정신이 깃들이지 않은 곳은 없다.
청오의 힘은 해학과 직필直筆에서 나온다고 할 만큼 특유의 기지를 발휘한 매서운 필치로 당대 저명 인사들의 일거수일투족과 세태를 기사화했고, 이로써 독자들을 웃기고 울리며 항일 사상을 고취시켰다. 당시 사람들의 입담에 “차상찬의 목이 달아나면 달아났지 그에게서 바른 말을 막을 수 없다.”고 하던 말이 그것이다. 그것이 일제 당국의 비위를 거슬려 옥고를 치르기도 했고, 풍자거리가 된 인사들의 항의도 끊이지 않았으나, 청오는 오불관언吾不關焉의 꿋꿋한 자세로 피를 토하듯이 필봉筆鋒을 휘둘렀다.
차상찬은 30개에 달하는 필명으로 글을 쓴 문재
애국과 계몽으로 일관된 청오의 의지와 신념은 쌀 한 되 없는 가난에도 오히려 청빈낙도淸貧樂道하면서 잡지 언론의 사명을 다하는 대들보 역할을 해 왔던 것이다. 1인 10역의 필봉을 휘둘렀던 선생은 본명과 호 외에도 가회동인嘉會洞人, 월명산인月明山人, 삼각산인三角山人, 강촌생江村生, 사외사인史外史人, 차돌이, 차천자車賤者, 풍류랑風流郞, 수춘산인壽春山人, 각살이 외 30개에 달하는 필명을 가지고 온갖 글을 써 냈던 문재文才였다. 『개벽』에는 72개 호까지 2,074개의 기사가 실렸으며, 그 가운데 1,071개의 기사를 청오를 비롯한 개벽사의 직원들이 직접 집필하였다. 이 중 필명을 확인할 수 있는 기사는 모두 636개인데, 차상찬은 그 중 118개의 기사를 작성하였다. 이는 박달성의 136개 기사에 이어 두 번째이고, 그 뒤를 김기전(108개), 이돈화(84개), 박영희(57개), 방정환(27개) 등이 잇고 있다. 그러나 개벽사 기자가 집필한 것은 확실하나 필자를 명확히 알 수 없는 기사 435개 가운데 청오의 기사가 비교적 많았으리라는 것은 청오의 다양한 필명으로 보나, 청오의 집필 경향으로 보아 분명할 것이다. 이는『개벽』지에서도 청오의 역할이 이돈화, 김기전, 박달성에 필적하거나 그 선두에 서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