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 산업분야는 창조경제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함께 타 기술 및 산업과의 융합을 통해 막대한 파급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첨단소재산업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 3~4위의 기술력, 약 700여개의 나노기업, 126건(10%,세계3위)의 나노 융합제품 개발 등 향후 세계시장 리딩이 가능한 유망한 분야로써, 경쟁력 있는 나노소재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나노소재를 개발하는 연구 부문과 나노 소재를 필요로 하는 산업 부문 간의 보다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
나노 융·복합소재는 최근 들어 대부분의 산업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에너지 효율화, 환경보호 및 수처리 고도화 등의 분야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저변도 계속 넓어지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수요산업의 융·복합과 니즈에 맞춰 소재분야 융·복합화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나노 소재 자체의 응용기술 뿐만 아니라 주변의 기술기반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나노 소재의 융·복합 촉진은 우리나라 소재산업에 큰 활력을 줄 것이고 전후방 산업의 제품과 기술혁신에 핵심역할을 하면서 나노 소재가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나노 융·복합소재 산업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 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나노기반 신성장동력 융·복합 소재산업 응용기술 현황과 발전방향 및 시장전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 1장에서는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산업의 개념 및 주요국가/관련업계의 인프라 상황 및 시장·기술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 2장에서는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별 산업동향 및 최신 기술동향과 기술의 응용/연구 발전사례를 기술하였고, 제 3장에서는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 응용기술 동향과 산업분야 전반에 대한 연구·기술개발 사례를 수록 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미력이나마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장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산업 현황 및 전망
1. 나노 융·복합 산업의 개요
1) 나노의 정의
(1) 나노물질(Nanomaterials)
(2) 나노물질 종류
가. 탄소류 나노물질
나. 금속류 나노물질
다. 덴드리머(dendrimer)
라. 복합체
(3) 나노기술(Nanotechnology)
가. 나노기술의 정의 및 범위
나. 나노기술의 분류
다. 나노기술의 특성
라. 나노기술의 응용과 미래
ⅰ) 나노기술의 위험과 보상관계
ⅱ) 나노기술 응용 가능분야
ⅲ) 나노기술 응용 사례
① 나노의약품
② 진단
③ 조직 공학
④ 화학 및 환경
⑤ 촉매
⑥ 나노여과
⑦ 나노기술의 에너지 응용
⑧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 시스템
⑨ 나노 배터리
⑩ 새로운 반도체 장치
⑪ 디스플레이
⑫ 양자컴퓨터
⑬ 항공우주
⑭ 소비자 용품
⑮ 식품
? 섬유
? 화장품
? 농업
2) 융합의 정의
(1) 융합의 개념 및 유형
(2) NT기반 융합기술
(3) 융합산업의 특성
(4) 융합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5) 국내·외 융합정책분야
가. 미국
나. 유럽연합
다. 일본
3) 나노 융합산업의 개요
(1) 나노 융합산업의 정의
(2) 나노 융합산업의 중요성
(3) 나노 융합산업의 특성
(4) 나노 융합산업의 지원 필요성
(5) Macro 환경 분석(Mega Trend 중심)
2. 나노 융·복합 산업 동향
1) 나노 융합산업의 국내외 산업 동향
(1) 세계 시장 동향
가. 나노융합 소재산업
나. 나노융합 소자산업
다. 나노바이오 융합산업
라. 나노융합 공정·?측정 장비산업
마. 에너지·환경 나노융합산업
(2) 국내 시장 동향
가. 나노융합 소재산업
나. 나노융합 소자산업
다. 나노바이오 융합산업
라. 나노융합 공정·?측정 장비산업
마. 에너지·환경 나노융합산업
(3) 경쟁 동향분석
가. 정보통신 산업 분야
나. 에너지/환경 산업 분야
다. 바이오 산업 분야
(4) 주요국의 정책 동향 분석
가. 미국의 국가나노기술전략
ⅰ) 추진 현황
ⅱ) 추진 체계
ⅲ) 국가 나노기술전략계획
나. 일본의 국가나노기술전략
ⅰ) 정부 산하 실시체계
ⅱ) 주요 기술 추진분야
ⅲ) 주요 기업 기술 연구동향
다. EU의 국가나노기술전략
라. 영국의 국가나노기술전략
마. 독일의 국가나노기술전략
마. 중국의 국가나노기술전략
2) 나노 융합산업의 국내외 기술동향
(1) 국내외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및 발전전망
가. 나노융합 소재산업
나. 나노융합 소자산업
다. 나노바이오 융합산업
라. 나노융합 공정·?측정 장비 산업
마. 에너지·환경 나노융합 산업
(2) 국내외 분야별 기술수준 조사
가. 나노 전체 기술수준 및 격차
나. 중분류 단위 기술수준 비교
다. 소분류 단위 기술수준 비교
ⅰ) 나노융합 소재
ⅱ) 나노융합 소자
ⅲ) 나노바이오융합
ⅳ) 나노융합 공정·측정 장비
ⅴ) 에너지·환경 나노융합
3) 나노 융합산업의 국내외 기업 및 정책동향
(1) 해외 기업의 기술경쟁력
가. 나노융합 소재
나. 나노융합 소자
다. 나노바이오융합
라. 나노융합 공정·측정장비
마. 에너지·환경 나노융합
(2)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
가. 나노융합 소재
나. 나노융합 소자
다. 나노바이오융합
라. 나노융합 공정·측정 장비
(3) 국내 나노기술 개발 현황과 산업화 정책
가. 일반현황
ⅰ) 연구개발
ⅱ) 연구인프라 구축 및 운영
ⅲ) 인력양성
나. 산업현황
(4) 국내 나노기술 개발 및 상용화 정책
가. 나노기술 개발 정책
나. 나노기술 상용화 정책
다. 나노융합 2020사업
ⅰ) 나노융합 2020사업단 개요
ⅱ) 추진사업
① 우수 연구성과 상용화 지원사업
② 현안해결 기술매칭 지원사업
③ 기타 보조적인 사업
ⅲ) 사업현황
(5) 분야별 부가가치 기술현황 분석
가. 나노융합 소재
나. 나노융합 소자
다. 나노바이오융합
라. 나노융합 공정·측정 장비
마. 에너지·환경 나노융합 산업
(6) 분야별 기업 분포
가. 나노융합 소재
나. 나노융합 소자
다. 나노바이오융합
라. 나노융합 공정·측정 장비
(7) 산업통상자원부의 소재산업 육성정책
가. 정부의 소재산업 육성정책
나. 소재·부품 미래비전 2020
ⅰ) 전략적 핵심소재 기술개발
ⅱ) 벤처형 전문소재 기술개발
ⅲ) 핵심 방산소재 기술개발
다. 정부의 R&D 투자현황 및 전망
ⅰ) 투자현황
ⅱ) R&D 투자에 대한 성과 및 평가
ⅲ) 중기 투자방향
ⅳ) 2014년도 이후 투자전망
ⅴ) 효율화 방향
(8) 나노 융합산업에서 우리나라의 현주소
가. 글로벌 시장 포지션
나. 핵심 역량 보유 수준 평가
다. 시장 및 규제 변화 대응
라. 정부지원 확대
마. 협력체계 구축
바. 인프라 구축
4) 나노 융합산업의 기술 전략
(1) 중점육성제품에 필요한 전략기술 도출
(2) 전략 기술 확보방안
5) 향후 나노융합 소재의 응용 발전분야
(1) 급속 경화 나노 시멘트
(2) 정수용 나노기공 필터
(3) 태백 필터
(4) 암 진단/치료용 나노 의약품
(5) 나노 로봇
(6) MRI를 대체할 수 있는 나노입자 분자 탐침법
(7) 태양열을 이용한 나노 광촉매
(8) 환경 정화 코팅
3. 나노 융·복합 소재 산업의 개요
1) 나노 융·복합소재 정의 및 범위
2) 나노 융·복합소재 주요제품
4. 나노 융·복합 소재 산업동향
1) 나노 융·복합소재 환경 분석
(1) 수요측면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환경적 측면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기술적 측면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산업의 특성 및 구조
가. 산업특성
나. 산업구조
2) 나노 융·복합소재 시장동향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2) 무역현황
(3) 업체동향
(4) 기술개발니즈
3) 나노 융·복합소재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가.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수준 비교 평가
ⅰ) 분야별 5개국 기술수준 및 최고기술 보유 현황
ⅱ) 전략기술별 5개국 기술수준 순위 및 대한민국 기술수준
나. 최고기술 보유국 대비 기술격차
ⅰ) 전체 분야 5개국 기술격차
ⅱ) 전략기술별 주요 5개국 기술격차
(3) 대표 기술군 선별
4) 나노 융·복합소재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5) 나노 융·복합소재 논문·특허수준 분석
(1) 주요 5개국 논문 점유율 및 영향력
(2) 주요 5개국 특허 점유율 및 영향력
5. 나노 물질 안전성 연구의 국내·외 동향
1) 개요
2) 국내·외 나노물질 관리규정 분석
(1) 미국
(2) 호주
(3) EU(유럽연합)
(4) 프랑스
(5) 일본
(6) 우리나라
(7) 주요국의 나노물질 규제제도 요약 및 대응방안
3) 나노 안전성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방향
(1) 나노 안전성 연구의 필요성
(2) 국내·외 연구현황
(3) 결론
4) 나노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연구 현황에 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1) 개요
(2) IPA 설문방법
(3) 나노물질 안전관리에 관한 IPA 결과
(4) 결론 및 제언
제2장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별 산업동향
1. 탄소나노 소재 개요
1) 탄소나노 소재 정의
(1) 탄소나노튜브
(2) 그래핀
(3) 플러렌
2) 탄소나노소재 범위
3) 기술동향 분석
(1) 세계동향
(2) 국내동향
4) 기술군 도출
(1)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2)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5) 기술지수 분석
(1) 기술성장성 분석
(2) 기술수준 분석
(3) 기술장벽 분석
2. 탄소나노 소재 산업동향
1) 니즈 분석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전망분석
(1) 탄소나노튜브
(2) 그래핀
(3) 플러렌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5) 기업니즈조사
6)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요소기술 선정
3. 탄소나노튜브 산업동향
1) CNT 정의 및 특징
2) 탄소나노튜브 합성법
(1) 전기방전법(Arc-discharge)
(2) 레이저 증착법(Laser Vaporization)
(3) 플라즈마화학기상 증착법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4) 열화학기상 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5) 기상합성법(Vapor Phase Growth)
(6) 마이크로웨이브법
3) 국내·외 시장동향
(1) 해외 시장동향
(2) 해외 기업동향
가. 씨 나노 테크놀로지(CNano Technology)
나. 쇼와전공(Showa Denko)
다. 나노실 (Nanocyl S.A)
라. 바이엘 머티리얼 사이언스 (Bayer Material Science)
마. 기타업체
(3) 국내 시장동향
(4) 국내 기업동향
가. 한화케미칼㈜
나. 금호석유화학㈜
다. 제일모직㈜
라. ㈜카본나노텍
마. ㈜KH케미컬
4) 국내·외 기술동향
(1) 해외 기술동향
가. 탄소나노튜브 응용을 위한 정제
나. 분산을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표면개질
(2) 국내 기술동향
5) 국내·외 탄소나노튜브의 응용분야
(1) 탄소나노튜브의 기능성 용도 개발
(2) 신소재로 주목받는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
(3) 전기전도용에서 전자소재용 복합소재로 응용시장 확장
(4) LED 사용되는 탄소나노튜브 방열소재
(5) 전자파 차폐를 향한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6)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자동차부품용 탄소나노튜브 복합소재
(7) 에너지 절감과 인간 친화적인 탄소나노튜브 광원
4. 그래핀 산업동향
1) 그래핀의 정의 및 특징
2) 그래핀의 종류
(1) 단결정그래핀
(2) 합성그래핀
(3) 산화그래핀
3) 그래핀의 장점
4) 그래핀 합성(제조) 방법
(1) 화학적 박리그래핀 (Chemical Exfoliation)
(2) 화학기상증착법 (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
5) 그래핀의 응용분야
(1) 투명전극
(2) 차세대 반도체
(3) 그래핀 기반 플렉시블 메모리 소자
(4) 그래핀 생체모방 소자
(5) 광 검출기
(6) 광 메타물질
(7) 기타 응용분야
가. 에너지용 전극 소재
나. 초경량/고강도 복합소재
다. 방열소재
(8) 그래핀 기반의 나노바이오 융합분야
가. 바이오 분석용 그래핀 기반 MALDI-TOF 질량분석기
나. 그래핀 기반의 Surface Enhanced Raman Spectroscopy
다. 그래핀 기반의 약물전달
라. 그래핀 광학적 특성 기반의 바이오센서 응용
6) 국내·외 시장동향
(1) 국내 그래핀 산업
(2) 국내 기술개발 현황
가. 터치패널 (Touch Panel)
(3) 해외 기술개발 현황
가. 터치패널 (Touch Panel)
(4)전망 및 시사점
7) 주요 응용분야별 시장 동향
(1) 투명 전극소재
(2) 에너지용 전극소재
(3) 차세대 반도체
(4) 초경량/고강도 복합소재
(5) 방열재료
(6) 배리어/코팅소재
(7) 인쇄전자용 소재
8) 시장 점유 전망
9) 연구 및 특허동향
10) 그래핀 기술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현황
(3) 특허 추이에 따른 상용화 가능성 검토
(4) 국내 특허동향
(5) 웨이퍼 스타일 단결정 그래핀 대량 합성기술 세계 최소 개발
가. 삼성전자/성균관대 산합협력 연구성과 개요
나. 연구배경
다. 연구결과
라. 기대효과
5. 금속 나노소재 산업동향
1) 금속 나노입자
(1) 금속 나노입자의 특징
(2) 금속 나노입자의 다양한 형태
가. 단결정 금속 나노입자
나. 쌍정형 금속 나노입자
(3) 금속 종류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의 다양한 응용
가. 은 나노입자
나. 금 나노입자
다. 백금, 팔라듐 나노입자
라. 두 금속 나노입자
(4) 결론
2) 금속 나노분말 기술동향
(1) 기술의 정의
(2) 기술의 특징
(3) 나노금속분말 제조 방법
가. 기상증발응축법(Gas evaporation-condensation method)
나. 에어로졸법(Aerosol), 분무열분해법(Spray pyrolysis)
다. 화학기상응축법 (Chemical vapor condensation)
라. 액상환원법(Chemical reduction)
마. 졸겔법(Sol-Gel)
바. 수열합성법(Hydrothermal Method)
사. 공침법(Co-precipitation)
아. 플라즈마 기상법을 통한 RIST 나노분말 제조기술
(4) 나노 금속분말의 이용
가. Fe계 분말
나. 희토류-천이금속 영구자석합금 분말
3) 극미세 합금 분말 다공성 소재 기술
(1) 극미세 합금 분말 다공성 소재 기술
(2) 극미세 합금 분말의 제조
(3) 정전분무코팅(electro-spraying) 기술
(4) 금속분말 다공체의 제조
4) 액중 전기선 폭발 공정을 이용한 Pt/alloy 하이브리드 나노입자 제조 및 특성
(1) 서론
(2) 실험방법
(3) 실험 결과 및 고찰
(4) 결론
5) 표면조절 고분자를 이용한 금 나노입자 플랫폼의 제조기술
(1) 서론
(2) 본론
가. PVP의 표면 결합 특성
나. PVP를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형상 조절
다. PVP의 유사 구조체를 통한 확장
라. 공중합체를 이용한 금 나노입자 표면의 작용기 도입
마. PDMAEMA 를 이용한 카르복실 작용기의 도입
바. 고분자를 연결체로 이용한 금 나노입자 플랫폼 제작 및 단백질 검출
사. 생체고분자를 이용한 금 나노입자의 형상 조절
(3) 결론
6) 블록 공중합체 마이셀을 이용한 금속 나노입자의 정렬과 응용
(1) 서론
(2) 용액상 접근법을 이용한 나노입자 정렬
(3) 박막상 접근법을 이용한 나노입자 정렬
(4) 향후 전망 및 결론
7) 금속분말의 레이저 공정 기술 동향
(1) 개요
(2) 분말 용융의 분류
가. 고체 입자간 결합(solid state sintering)
나. 액상 소결(liquid phases sintering)
다. 부분 용융(partial melting)
라. 완전 용융(full melting)
(3) 레이저 용융 공정 기술
가. 선택적 레이저 소결(selective laser sintering; SLS)
나. 선택적 레이저 용융(selective laser melting; SLM)
다. 레이저 클래딩(laser cladding, LC)
(4) 응용 분야
(5) 향후 전망
7) 금속 산화물 나노선 기반 전자코 개발 연구
(1) 서론
(2) 본론
가. 금속 산화물 나노선
나. 금속 산화물 나노선 제조법
ⅰ) 기체상(vapor-phase) 제조법
ⅱ) 템플릿에 의한 나노선 성장
다. 금속 산화물 나노선 기반 가스 센서
ⅰ) 전도도 측정 센서
ⅱ) 트랜지스터 기반 센서(FET-based sensors)
ⅲ) Mott 기반 센서(Mott-based sensors)
ⅳ) 쇼트키 특성 기반 센서
라. 전자코
ⅰ) 우수한 선택도 특성이 전자코 정밀도 높여
ⅱ) 금속산화물 반도체를 어레이 형태로 정확도 높여
ⅲ) 나노와이어 네트워크 이용한 연구 활발
ⅳ) 1차원 나노선 센서어레이 정밀히 가스 분석
ⅴ) 질병 진단 전자코, 모바일 기기 형태로 진화
6. 산화물 나노소재 산업동향
1) 산화물 나노입자의 정의
2) 산화물 나노입자의 범위
3) 기술(특허)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나.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3) 기술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술장벽 분석
4)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 분석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전망분석
가. SiO2, Al2O3, TiO2, ITO, ZnO, Phosphor 산화물 나노입자
나. CMP슬러리
다. 산화물 나노입자의 산업별 적용현황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가. 세계업체 및 제품현황
나. 국내업체 및 제품현황
5) 기업니즈조사
6) 핵심요소기술 선정
7) 산화물 나노소재 합성개발 및 매커니즘 연구
(1) 서론
(2) 나노 산화물 재료의 합성법
(3) 산화물 나노재료의 메커니즘 연구와 제자리(In Situ) 방법
(4) 혁신적 응용을 위한 산화물 나노재료
(5) 종합 및 전망
8) 동결 주조법으로 제조된 티타늄 옥사이드 폼의 구조 연구
(1) 서론
(2)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9) 나노 복합산화물을 이용한 고온입자 미세화 기술
(2) 용접금속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특성
(3) 상용 접합소재 개발 동향
(4) 고강도강 용접을 위한 용접 금속 개발 방향
가. 적절한 합금조성의 선정
나. Extrinsic oxide를 이용한 고온 입자 미세화
다. Hybrid oxide를 이용한 최종 상분율 조정
10) 나노결정 InGaZnO 박막트랜지스터와 비결정 소자 신뢰성에 관한 비교
(1) 서론
(2) 실험 방법
가. 샘플 구조 및 제작 공정
나. 샘플 측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11) 차세대 디스플레이 백플레인용 산화물 TFT 기술
(1) 산화물 전자재료 및 응용분야
(2)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
(3) 산화물 반도체 소자의 연구 동향
(4) 플렉시블 기판에 적용을 위한 연구
(5) 디스플레이 모듈 연구 개발 동향
(6) 앞으로의 개발 방향과 이슈
7. 나노막 소재(멤브레인) 산업동향
1) 개요
(1) 정의
(2) 범위
2) 기술(특허) 분석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나.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3) 기술 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술장벽 분석
3) 산업 및 시장 분석
(1) 니즈 분석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가. 세계업체 및 제품 현황
나. 국내업체 및 제품 현황
(5) 기업니즈조사
(6) 핵심요소기술 선정
4) 기능성 나노 필름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5) 기능성 나노 필름 기술(특허)분석
(1) 기술동향 분석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2) 기술군 도출
가. 특허 및 논문을 이용한 기술군 클러스터링
나. 클러스터링을 통한 전문가기반의 요소기술도출
(3) 기술 지수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술장벽 분석
6) 기능성 나노 필름 산업 및 시장분석
(1) 니즈 분석
가. FPD 관련 기능성 필름
나. 반도체/기판 관련 기능성 필름
다. 에너지 관련 기능성 필름
라. 기타 기능성 필름
(2) 산업특징 및 구조
(3) 시장현황/전망분석
(4)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가. 세계업체 및 제품현황
나. 국내업체 및 제품현황
7) 기업니즈 조사
8) 요소기술 후보군
9) 핵심기술 선정
10) 환경 나노기술 조사
(1) 개요
(2) 수질분야
(3) 대기 분야
(4) 환경영향 평가
가. 태양광 수 처리
나. 승용차의 차내필터
11) 분리막 기반 수처리 시장 전망 및 향휴 기술 트렌드
(1) 수처리 기술 개요
(2) 수처리 시장 국내·외 동향
가. 세계동향
나. 국내동향
12) 정수처리용 고분자 분리막 국내·외 동향
(1) 국외 기술개발 시장
(2) 국내 정수처리 현황
(3) 국내 마을 상수도 현황
(4) 국내 정수처리 기준 및 규제 정책
(5) 국내 기술개발 시장
13) 나노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해수담수화 역삼투 분리막
(1) 서론
(2) 본론
가. 역삼투 분리막의 기술적 과제
나. 역삼투 분리막의 최근 연구동향
다. 분자 교차적층기술을 이용한 역삼투 분리막 제조기술
(3) 결론
가. 분자 교차적층기술(mLbL) 현재연구 및 전망
제3장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 응용기술 동향
1.화장품/바이오의료용 나노기반 융·복합소재
1) 화장품에 들어가는 나노기술
(1) 서론
(2) 나노물질 화장품의 장점
(3) 화장품 나노입자에 대한 건강상 우려
(4) 화장품에 적용되는 나노기술
가. 마이셀
ⅰ) 리포솜
나. 유화(emulsion)
다. 화장품 나노입자
(5) 화장품산업 국내·외 동향
(6) 화장품상품의 융합화
(7) 시사점
2) 초임계 나노입자 제조 시스템
(1) 개요
(2) 초임계 이산화탄소 나노입자 제조의 특징
(3)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나노입자 제조 방법
3)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마디풀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 제조에 관한 연구
(1) 서론
(2) 재료 및 실험
가. 기기 및 시약
나. 마디풀 추출물의 제조
다. 고압유화 장치를 이용한 마디풀 추출물 나노에멀젼 제조
라. 마디풀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물리적 성질
ⅰ) 마디풀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 및 입도 분포
ⅱ) 마디풀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포집 효율
마. 마디풀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경표피 투과 실험
ⅰ) 피부 준비
ⅱ) 시료 준비
ⅲ)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투과 실험
(3) 결과
가. 마디풀 추출물 나노에멀젼의 물리화학적 특성
나.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나노에멀젼의 피부 투과 능력 평가
(4) 결론
4) 나노 바이오칩 연구 개발동향
(1) 효율 바이오물질 분리 및 농축을 위한 나노필터소자제작
가. 실험 재료와 방법
ⅰ) 나노필터소자 제작
ⅱ) 나노입자 농축실험
ⅲ) 뎅기열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표면증강라만분석
나. 결과 및 고찰
ⅰ) 나노필터소자를 이용한 농축특성분석결과
ⅱ) 표면증강라만분석기술을 이용한 뎅기열바이러스 검출연구
ⅲ) 결론
(2) 나노구조 기반의 약물전달기술
가. 약물전달 기술의 발전 및 최근 연구 동향
나. 나노 마이크로 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 조절 기술
다. 나노 기술 기반의 약물 전달의 도전과제 및 미래 전망
(3) 표면 플라즈몬 공명 단백칠 칩
(4) 화상 엘립소메트리 단백질 칩
(5) 형광 단백질 칩
(6) 색 전이 분자체를 이용한 단백질 칩
(7) 비대칭 채널 이용한 활동성 정자 측정을 위한 세포 계수기 마이크로칩 연구
가. 이론
ⅰ) Coulter counter
ⅱ) 비대칭 채널 구조
① 칩 재료
② 정자계수용 칩 설계
③ 주화성 반응용 정자 계수용 칩의 설계
④ ITO 전극 설계
ⅳ) 칩 실험
① 실험 장치
② 실험 재료 및 방법
③ 실험 결과 및 고찰
④ 결론
5) 인체자가발전 기반 고효율 삽입형 나노 발전기 개발
(1) 미소에너지 수확을 위한 형태 변환형 나노전력 발전소자
(2) 튜브형 구조의 생체 삽입 전지 개발
2. 전기/전자/광소자용 나노기반 융·복합 소재
1) 나노선 차세대 광전소자의 핵심 원천 소재
2) 무촉매·무패턴의 나노선 대면적 합성 기술 개발
3) 세계 최고 수준의 나노선 태양전지 개발
4) 나노구조 기반 고효율 열전 에너지 변환 기술
(1) 열전현상의 개요
(2) 열전 에너지 변환 기술의 문제점
(3) 나노구조체 열전소재 개발 연구
3. 기능성 접착/코팅 나노기반 융·복합소재
1) 나노입자를 이용한 접착 기술
2) 나노입자 용액을 이용한 젤과 생체 조직의 접착 기술
3) 친환경 건설속의 나노기술
(1) 서론
(2) 나노 시멘트
(3) 절연 처리한 나노물질
(4) 나노로 향상된 코팅
(5) BIPV와 에너지 생성
(6) 조명속의 나노기술
(7) 결론
4) 건설 분야에서 나노융합 소재의 응용 및 시장 전망
(1) 꿈의 기술 나노소재의 미래 시장전망
(2) 건설 분야에서 나노소재의 활용 범위
(3) 페인트 및 코팅
(4) 유리
(5) 바닥재
(6) 기타 건설용 제품
(7) 앞으로가 더욱 기대되는 나노소재의 시장 전망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