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 EMS 정책방향과 국내외 R&D 현황 및 산업동향 실태분석 (양장) (학술) R&D정보센터
★★★★★ 평점(5/5)
지식산업정보원 | 2015-02-03 출간
판매가
320,000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전 세계적으로 전력수요의 증가는 다른 모든 에너지소비를 추월하고 있으며, 전력소비증가는 공급과 수요 모두를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건물 에너지 효율화 분야에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35년까지 4.6조 달러 투자와 이로 인한 에너지 절감액 7.6조 달러 예측) 2003년 8월 14일 미국과 캐나다 동부 일대에 사상 최악의 대규모 정전 사태가 발생했다. 뉴욕과 인근 도시들은 전기가 없는 상태에서 공황사태를 겪었고, 교통, 항공기 운항 중단, 상업 활동이 정지되면서 이 기간 동안 60억 달러(약 6조 6천억원)에 이르는 피해가 발생했다. 유래가 없었던 대정전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전력망의 안정성 확보, 체계적 정비와 더불어 스마트 그리드에도 관심을 기울이게 된 계기가 되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여름철 냉방기 수요 급증으로 인한 고질적인 전력난이 만성화 되면서, 에너지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전력부족으로 인한 블랙아웃을 막기 위해 2011년 9월 순환단전을 해야만 했고, 올해에는 원전 가동 중지로 인한 전력공급부족으로 전 국민적인 절전을 호소하고 있다. 여름에는 냉방기 가동 때문에 피크 수요가 급증 한다는 점에서 스마트 그리드와 마이크로그리드 그리고 EMS가 만성적인 전력난을 해결 해줄 수 있는 기대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스마트/마이크로그리드ㆍEMS분야 기술혁신과 국가전략기술의 육성을 통한 원천기술 개발 확보와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스마트/마이크로그리드ㆍEMS 정책방향과 국내ㆍ외 R&D현황 및 산업동향 실태분석」을 발간하게 되었다. 본서 제1장에서는 스마트 그리드 국내ㆍ외 육성정책 및 산업현황과 연구동향을, 제2장에서는 마이크로그리드 산업동향, 기술개발, 시장전망을 제3장에서는 EMS 산업동향 및 최신 특허ㆍ표준화 기술동향을 분석 정리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ㆍ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장 스마트그리드 산업현황
1. 스마트그리드 개요
1) 스마트그리드의 개념
(1) 정의
(2) 범위
가. 기반구축
ⅰ)스마트그리드 구축업
ⅱ) 스마트그리드 운영업
나. 설비 제조
ⅰ) 전력망 설비 제조업
ⅱ) 정보ㆍ통신망 설비 제조업
ⅲ) 기타 설비 제조업
다. 서비스 제공
ⅰ) 전력 서비스 제공업
ⅱ) 정보ㆍ통신서비스 제공업
ⅲ) 기타 서비스 제공업
(3) 스마트그리드의 배경
(4) 스마트그리드의 특징
(5) 스마트그리드 분야별 개념 및 구성요소
가.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나.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다. 전기자동차 및 충전시스템
라. 에너지저장시스템 (ESS : Energy Storage System)
마. 지능형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2) 스마트그리드 산업생태계
(1) 기반 구축
(2) 설비 제조
(3) 서비스 제공
(4) 규제ㆍ지원
3) 스마트그리드의 활용 분야
(1) 온실가스 저감 전력난 해소 대안으로 주목
(2) 예측 통제할 수 있는 전기 수용가 확보
(3) 전력 신사업 개화를 위한 기반
4) 스마트그리드의 향후 발전 방향
(1) 소비자가 동시에 공급자
(2) 분산전원 활성화
(3) 소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제공
2. 스마트그리드 국내ㆍ외 산업 동향
1) 국내 정책 동향
(1) 국가 기간 전산망 개발계획 (1987~1996)
(2)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가. 기본방향
나. 정책 목표와 주요 과제
다. 분산형 전원의 확대
(3) 스마트그리드 국가로드맵
가. 배경 및 목적
나. 비전 및 목표
(4)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가. 수립 근거 및 체계
나. 목표 및 추진전략
(5)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
가. 정부지원
나.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
ⅰ) 탄소 없는 섬 제주 계획
ⅱ) 전기차 보급정책
ⅲ) 스마트그리드 추진조직
다. 분야별 추진 내용
ⅰ) 전체 추진 내용 및 일정
ⅱ) 분야별 추진 내용
① 지능형 소비자(Smart Consumer)
② 지능형 운송(Smart Transportation)
③ 지능형 신재생에너지(Smart Renewables)
④ 지능형 전력망(Smart Power Grid)
⑤ 지능형 전력서비스(Smart Electricity Service)
라.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의 사업모델
ⅰ) Smart Energy Saving(S-ES) Business
ⅱ) Smart Power Trading/Selling(S-PTS) Business
ⅲ) Smart ICT Convergence(S-IC) Business
ⅳ) Smart City(S-City) Business
마.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의 주요 내용
ⅰ) 실시간 요금제도
ⅱ)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의 운영 실적 분석
ⅲ)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의 전력 시장가격
ⅳ)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의 전력 수요 예측
ⅴ)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의 전력 수요 입찰 및 낙찰, 정산
바.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의 평가
ⅰ) 지능형 소비자 분야
ⅱ) 지능형 운송 분야
ⅲ) 지능형 신재생 분야
ⅳ) 지능형 전력망 분야
ⅴ) 지능형 전력 서비스 분야
사. 스마트그리드 제주 실증사업 추진 성과와 한계
ⅰ) 실증사업의 성과
ⅱ) 실증사업의 한계점
아. 인프라 구축
자. 기술 검증
차. 사업모델 발굴
(6) 한ㆍ에콰도르 스마트그리드 기술도입 사례
가. 배전자동화시스템
ⅰ) 개요
ⅱ) 배전자동화시스템의 7계층 모델
ⅲ) 계층 설명
ⅳ) 배전자동화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준수를 위한 국제표준 맵핑
ⅴ) 하드웨어 아키텍처
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ⅶ) 통신망 구성도
ⅷ) 배전자동화시스템과 타 시스템 간 정보 교환
ⅸ) 기술규격
ⅹ) 핵심사항
나. 첨단 원격검침 인프라
ⅰ) 개요
ⅱ) 첨단원격검침 인프라의 7계층 모델
ⅲ) 계층 설명
ⅳ) 첨단원격검침 인프라의 상호운용성 준수를 위한 국제표준 맵핑
ⅴ) 하드웨어 아키텍처
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ⅶ) 통신망 구성도
ⅷ) 첨단원격검침 인프라와 타 시스템 간 정보 교환
ⅸ) 기술규격
?) 핵심사항
다. 미터데이터관리시스템
ⅰ) 개요
ⅱ) 미터데이터관리시스템의 7계층 모델
ⅲ) 계층 설명
ⅳ) 미터데이터관리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준수를 위한 국제표준 맵핑
ⅴ) 하드웨어 아키텍처
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ⅶ) 통신망 구성도
ⅷ) 미터데이터관리시스템과 타 시스템 간 정보교환
ⅸ) 기술규격
ⅹ) 핵심사항
2) 해외 정책 동향
(1) 국가별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아시아
라. 일본
마. 중국
(2) 구성요소별 정책동향
가. AMI 분야
나. EMS분야
다. 전기자동차 및 충전시스템 분야
라. 에너지저장시스템 분야
마. 지능형신재생 분야
3) 국내ㆍ외 시장 동향
(1) 투자 규모
가. 지역별 투자 규모
나. 부문별 스마트그리드 투자
다. 스마트미터 보급 현황 및 전망
(2) 구성요소별 시장동향
가. AIM
나. EMS
다. 전기자동차
라. 에너지저장시스템
마. 지능형신재생
(3) 해외 실증단지 현황
가. 몰타 ? Smart City Malta
나. 스페인 ? Smart City Malaga
ⅰ) 주요 사업 내용
? 스마트그리드
? 스마트 에너지 관리
? 지능형 에너지 생산 및 저장
? 스마트 소비자 육성
다. 이탈리아
ⅰ) AlpEnergy
ⅱ) ADDRESS 프로젝트
라. 독일 ? 베를린(E-mobility Berlin)
마. 스웨덴 ? 스톡홀름
4) 국내ㆍ외 기술동향
(1) AMI 기술 동향
가. 스마트그리드에서 상호운용성을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ⅰ)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프레임워크
ⅱ) 인터넷 프로토콜 기술
? IPv4 기술
? IPv6 기술
? IPv4/IPv6 전환 기술
? IPv4/IPv6 Dual Stack (듀얼 스택) 방식
? Tunneling(터널링) 방식
? Translation 방식
ⅲ) 스마트그리드에서 인터넷 프로토콜의 역할
ⅳ) 스마트그리드에서의 IPv6 활용
(2) EMS 기술 동향
(3) 전기자동차 및 충전시스템 기술 동향
(4) 에너지저장시스템 기술 동향
(5) 지능형신재생 기술 동향
(6) 스마트그리드 보안 기술 동향
가. 스마트그리드 보안위협
ⅰ) 소비자 영역에서의 보안 위협
ⅱ) AMI 영역에서의 보안 위협
ⅲ) 전력망 영역에서의 보안 위협
나. 사용자 및 기기를 위한 암호 기술
다. 주요 장비 및 시스템에 대한 위변조 방지 기술
라. 사용자 및 기기에 대한 인증 및 접근통제 기술
마. 스마트그리드 기반 침입탐지 및 대응기술
바. 스마트그리드 보안 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
(7) 스마트그리드 수요반응 (Demand Response) 추진현황
가. 수요반응
나. 추진 현황
ⅰ) 기술개발 현황
ⅱ) 시장 및 산업체 현황
ⅲ) DR 표준화 현황
다. 주요이슈 및 대응방안
ⅰ) 주요이슈 및 현황
ⅱ) 국내 대응방안
(8)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동향
가. 스마트그리드 분야별 표준화 동향
ⅰ)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추진의 태동과 진행상황
? 스마트그리드 보안 및 대응 전략(국가보안기술연구소)
? 파워그리드 기반기술 표준(IEC 61850/61970)(명지대학교)
? 스마트 건축물(전기설비) 및 저압직류배전 표준(대한전기협회)
ⅱ)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표준 프레임워크 구축
ⅲ) 분야별 추진 사항
? AMI
? EMS
? ESS
?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나. 표준화 국제협력
ⅰ) 우리나라 국제표준 리더로 활동영역 확대
ⅱ) 해외 주요국 동향
① 미국
② 유럽
③ 일본
다. 기타 표준화 활동
ⅰ) 2018년 IEC 총회 유치
ⅱ) 표준특허 창출 지원 사업
ⅲ) OpenADR 얼라이언스 코리아 설립
(9)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가. 공통정보모델 추진
나. OpenADR을 통한 상호운용성 확보
다.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항목 조사
라. 상호운용성 시험센터 구축사업 추진
ⅰ) 사업 개요
ⅱ) 사업 추진 계획
① 세부사업내용
② 상호운용성 시험개요
③ 연차별 구축 일정
④ 상호운용성 시험절차
⑤ 기대효과
(10) 스마트그리드 보안
가. 보안 개요
나. 거점지구용 보안요구사항 개발 추진
ⅰ) 필요성
ⅱ) 추진 내용
① 국내ㆍ외 아키텍처 현황
② 개념 모델
ⅲ)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정보기술 아키텍처 연구사업
① 사업개요
② 연차별 추진목표
③ 1차년도 사업수행내용 및 성과
④ 거점지구 보안아키텍처
다. 보안기술 연구개발
ⅰ) 스마트그리드 구축에 따른 전력시스템 운영 변화
ⅱ) 해외 전력시스템 사이버공격 사례
ⅲ) 보안 분야 연구개발 현황
① 제5차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정기 워크숍
② 스마트그리드 보안표준화 워크숍
③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보안 표준 제정
④ 한전KDN, 국제전기전력전시회 보안솔루션 전시
⑤ 지능형전력망 정보의 보호조치에 관한 지침 이행여부 점검 항목 개발
(11) 스마트그리드 유틸리티에서 에너지 계량을 위한IEC 62056 기술 동향
가. 서론
나. IEC 62056 표준 및 구조
ⅰ) IEC 62056-53: COSEM 응용 계층
ⅱ) IEC 62056-46: HDLC 데이터링크 계층
ⅲ) IEC 62056-42: 물리 계층
ⅳ) IEC 62056-21: 직접 로컬 데이터 교환
ⅴ) IEC 62056-61: OBIS
ⅵ) IEC 62056-62: 인터페이스 클래스
다. DLMS/COSEM 기술개발 현황
ⅰ) Kalkitech
ⅱ) Redpine Signals
ⅲ) ST Microelectronics
ⅳ) TI
ⅴ) Gurux
ⅵ) icube
라. 결론
5) 특허 동향
(1) 스마트그리드 글로벌 특허동향
(2) 스마트그리드 국내 특허출원 동향
(3) 스마트그리드용 전력기기 kA급 고온초전도 도체 개발 특허동향
가. 주요시장국 기술개발 활동현황
ⅰ) 주요시장국 연도별 특허동향
ⅱ) 주요시장국 내ㆍ외국인 특허출원 현황
나. 기술시장 성장단계 파악
다. 주요출원인 국가별 특허출원현황 (Top-10)
라. 주요출원인 세부기술별 특허출원현황 (Top-10)
마. 세부기술별 주요시장국 Landscape
바. 주요출원인 구간별 집중도 추이 (Top-5)
사. 추세선을 통한 출원증가율 분석
아. 최근 구간 점유율 분석
자. 특허 시장확보력 분석
차. IP 부상도 종합 결론

제2장 마이크로그리드 산업현황
1. 마이크로그리드 개요
1) 마이크로그리드의 개념
(1) 정의
(2) 범위
가. 마이크로그리드 아키텍처
나. 마이크로그리드 운영시스템
다.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및 상용화
라. 마이크로그리드 배전망 통합
(3) 기술의 구성
(4) 스마트 마이크로그리드와 마이크로그리드 플랫폼
2. 마이크로그리드 국내ㆍ외 산업 동향
1) 해외시장 동향
2) 국내시장 및 사업추진 현황
(1) 덕적도 ‘에코 아일랜드’
(2)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자립섬 조성 사업
(3) KEPCO 표준모델을 적용한 해외사업 추진
(4) K-MEG 독립그리드 실증
(5) K-MEG DC배전 실증
3) 분야별 시장 동향
(1) 마이크로그리드 아키텍처
가. 정의
나. 프로젝트 Target
ⅰ) 목표시장 선정 이유
ⅱ) 목표시장 선정 및 규모
다.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ⅰ) 독립형 MG 전력망 최적설계
ⅱ) 연계형 MG 전력망 최적설계
ⅲ) MG용 Active Devices
라. 산업생태계 분석
ⅰ) 독립형 MG 전력망 최적설계
ⅱ) 연계형 MG 전력망 최적설계
ⅲ) MG용 Active Devices
마. 시장진입전략
ⅰ) 목표시장 및 고객
ⅱ)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ⅲ)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ⅳ) 수익모델
ⅴ) 추진전략
바. 정책제안
ⅰ) 시장 초기 단계에서 공공적 활용이 가능한 기술에의 정부 지원 정책 제안
(2)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
가. 정의
나. 프로젝트 Target
ⅰ) 목표시장 선정 이유
ⅱ) 목표시장 선정
ⅲ) 목표시장 시장 규모
ⅳ) 목표시장 특성
다.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ⅰ) MG 플랫폼 기술개발
ⅱ) MG 운영 Application 기술개발
ⅲ) MG 보안 기술개발
라. 산업생태계 분석
ⅰ) MG 플랫폼 기술개발
ⅱ) MG 응용 Application 기술개발
ⅲ) MG 보안 기술개발
마. 시장진입전략
ⅰ) 목표시장 및 고객
ⅱ)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ⅲ)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ⅳ) 수익모델
ⅴ) 추진전략
바. 정책제안
ⅰ) MG 구현에 대한 기술표준 조기 마련
(3)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및 상용화
가. 정의
나. 프로젝트 Target
ⅰ) 목표시장 선정 이유
ⅱ) 목표시장 선정
ⅲ) 목표시장 시장 규모
ⅳ) 목표시장 특성
다.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ⅰ) Off-grid용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ⅱ) 건물용, 그린빌리지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ⅲ) 캠퍼스, 군사용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ⅳ) 성능평가 표준화 및 인증, 제도 개선
라. 산업생태계 분석
ⅰ) Off-grid용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ⅱ) 건물용, 그린빌리지 MG 실증
ⅲ) 캠퍼스, 군사용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ⅳ) 중점기술 4 : 성능평가 표준화 및 인증, 제도 개선
마. 시장진입전략
ⅰ) 목표시장 및 고객
ⅱ)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ⅲ)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ⅳ) 수익모델
ⅴ) 추진전략
바. 정책제안
ⅰ) 규제 및 제도 개선
ⅱ) 지원제도
(4) 마이크로그리드 배전망 통합
가. 정의
나. 프로젝트 Target
ⅰ) 목표시장 선정 이유
ⅱ) 목표시장 선정
ⅲ) 목표시장 규모
ⅳ) 목표시장 특성
ⅴ) MG 계통 통합운영 기술
ⅵ) MG와 이종시스템간 통합
라. 산업생태계 분석
ⅰ) MG 계통 통합운영 기술
ⅱ) MG와 이종시스템간 통합기술
마. 시장진입전략
ⅰ) 목표시장 및 고객
ⅱ)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ⅲ)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ⅳ) 수익모델
ⅴ) 추진전략
바. 정책제안
ⅰ) 신재생에너지 통합 관리시스템 구축
ⅱ) 기술개발 지원
3. 마이크로그리드 기술 동향
1) 마이크로그리드용 50kW급 PMSG 설계에 관한 연구
(1) 서론
(2) 풍력발전기 설계
가. 설계사양
나. 영구자석 동기발전기 출력 특성식
(3) 동기발전기 설계
가. 설계사양
(4) 시뮬레이션 결과
가. 무부하시 유한요소 해석 결과
나. 부하시 유한요소 해석 결과
(5) 결 론
2) 마이크로 그리드를 위한 AMI Service System 개발
(1) 서 론
(2) 본론
가. 마이크로 그리드를 위한 AMI Service System 개발
(3) 결론
3) ESS를 이용한 마이크로 그리드의 최적운영 및 신뢰도 지수 개선
(1) 서론
(2) 마이크로 그리드 모델링
가. 전력 공급원
ⅰ) 디젤발전기
ⅱ) 태양광발전 시스템
ⅲ) 풍력 발전기
ⅳ) 연료전지 발전기
ⅴ) 에너지 저장장치
나. 목적함수
다. 제약조건
ⅰ) 전력조류방정식
ⅱ) 전력수급 방정식
ⅲ) 전력 공급원 출력
(3) 마이크로 그리드의 신뢰도 평가 및 운영 절차
가. 연간정전비용과 정전용량
나. 배전계통의 신뢰도 지수
ⅰ) 수용가당 평균 정전빈도
ⅱ) 수용가당 평균 정전시간
ⅲ) 평균 공급률
다. 마이크로 그리드 운영 절차
(4) 사례 연구
(5) 결론
4) 제어 특성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의 블랙 스타트 및 계통 동기화 전략
(1) 서론
(2) 본론
가. 분산전원 제어 특성
ⅰ) 정주파수/정전압 제어
ⅱ) 드룹 제어
ⅲ) 일정 출력 제어
ⅳ) 최대 출력 추종 제어
나. 분산전원의 제어 특성을 고려한 블랙 스타트 및 계통 동기화 절차
ⅰ) 독립운전 모드로 블랙스타트 시작
ⅱ) EMS 복구
ⅲ) 사전 점검
ⅳ) 제어 가능한 분산전원 연결
? 정주파수/정전압 제어 모드의 동기 발전기 연결
? 드룹제어를 수행하는 분산전원 연결
? 일정 출력 제어 모드의 분산전원 연결
? 정주파수/정전압 제어 모드의 동기 발전기 off
ⅴ) 중요 부하 연결
ⅵ) 제어 불가능한 분산전원 연결
ⅶ) 추가 부하 연결 및 발전량 증가
ⅷ)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통 연계 모드 전환
다. 계통 동기화 알고리즘
라. 모의결과
ⅰ) 마이크로그리드 구성 요소
ⅱ) 시뮬레이션 설계
ⅲ) 모의 결과
(3) 결 론
5)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설계 및 제어기술 개발
(1) 서론
(2)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3)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에너지 믹스 설계 및 경제성 분석 기술
(4)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동특성 모의 기술
(5)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용 제어 기술

제3장 에너지관리시스템 산업현황
1.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개요
1) EMS 정의 및 기능
2) EMS의 구성요소
3) EMS의 종류별 특징
(1) HEMS 개요 및 기술동향
(2) BEMS 특징과 기술동향
(3) FEMS 특징과 기술동향
(4) CEMS 개요 및 특징
4) 에너지경영시스템(EnMS)의 특징
(1) 정의 및 개요
(2) EnMS(ISO 50001)의 특징
2. EMS 국내ㆍ외 산업 동향
1) 산업부문 EMS 시장
2) 세계 BEMS 시장
3) 해외 EMS 정책동향
(1) 일본의 EMS 정책
가. 일본의 EMS 설치 보조금 지원 제도
ⅰ) HEMS 설치 보조금 지원제도
? HEMS 보조금 지원제도 개요
? 보조금 지원 대상자
? 보조 대상 시스템 요건
ⅱ) BEMS 설치 보조금 지원
? 보조금 지원제도 개요
? 보조금 지원 대상자 및 요건
? 보조 대상 시스템
? BEMS 사업자(Aggregator)의 요건 및 의무사항
ⅲ) MEMS 설치 보조금 지원제도
? 보조금 지원제도 개요
? 보조금 지원 대상자 및 요건
? MEMS 사업자의 요건
나. 일본의 EMS 기술개발 계획
다. 일본 EMS 연구개발 실증센터 설립
라. 일본의 EMS 실증사업
(2) 미국 EMS 정책
가. 에너지효율 주요 목표
나. 에너지효율 지원 강화
다. EMS 실증사례
(3) 유럽연합(EU) 주요국의 EMS 정책
가. 유럽연합(EU) Smart-A 프로젝트
나. 독일 EMS 정책
다. 영국 EMS 정책
라. 네덜란드
(4) 국내 EMS 기술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가. EMS 시범 보급사업
4) 국내 EMS 정책동향
(1) 국내 EMS 적용 사례 분석
가. 빌딩 에너지관리시스템(BEMS)
ⅰ) ㈜코엑스
ⅱ) 삼성 서초사옥 BEMS
ⅲ) 통신사 (SK텔레콤, KT)
ⅳ) B카드 건물 BEMS 적용사례
ⅴ) 연세의료원 BEMS 적용사례
나. 공장 에너지관리시스템(FEMS)
ⅰ) 포스코 광양제철소
ⅱ) 현대삼호중공업
ⅲ) 금호타이어 평택공장
(2) 국내 EMS 산업 현황 및 보급 확대 방안
가. 에너지수요관리 정책과 EMS 필요성
(3) 국내 EMS 산업 현황 및 문제점
가. 국내 EMS 산업 현황
나. 국내 EMS 산업 문제점
(4) 국내 EMS 보급 확대 정책제언
가. 규제와 지원체계 정비를 통한 시장 조성
나. 수요자원 시장 조성 및 서비스 기업 육성
다. 기술개발 지원 및 공급 기반 확대
라. 체계적인 홍보 및 교육
5) BEMS 시장동향
(1) BEMS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내 시장동향
나. 해외 시장동향
(2) BEMS 기술동향
가. 국내 기술동향
ⅰ) 그린투모로우 실내환경 테스트베드 구축
ⅱ) 래미안 에너지 모니터링 테스트베드 구축
ⅲ) 코맥스 월패드와 IHD
ⅳ) 우암코퍼레이션의 소비자 전력 에너지 컨설팅 플랫폼
ⅴ) EMM 센터의 원격관리 및 통합 관제 플랫폼 기술
ⅵ) 에너지 절감 분석 및 원격 빌딩 에너지 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EOM 기술
ⅶ) EMM 데이터 안정성과 실시간성을 제공을 위한 ESC 보안 기술
나. 해외 기술동향
ⅰ) 미국
(3) BEMS 중점 기술동향
가. ICT기반 건물 전력 에너지 수요관리 시스템
ⅰ) 정의
? 시장 규모
? 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전력 생산/소비 설비들에 대한 수요관리 인프라 기술
? 건물 전력 에너지 수요관리 최적화 기술
? 건물 전력 에너지 수요관리 연동 기술
ⅲ) 산업생태계 분석
? 전력 생산/소비 설비들에 대한 수요관리 인프라 기술
? 건물 전력 에너지 수요관리 최적화 기술
? 건물 전력 에너지 수요관리 연동 기술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나. 아파트 단지 최적 에너지 수요관리 기술
ⅰ) 정의
? 시장 규모
? 목표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에너지 소비특성 반영 최대수요 절감기술
? 개별 제어기술 통합 최적 제어기술
? 리모델링 특성 반영 수요관리 최적화 기술
? 단지 차원의 효율적 에너지 생산플랜트 구축/생산에너지 효율적 배분?저장 기술
ⅲ) 산업생태계 분석
? 에너지 소비특성 반영 최대수요 절감기술
? 개별제어기술 통합 최적 제어기술
? 리모델링 특성 반영 수요관리 최적화 기술
? 단지 차원의 효율적 에너지 생산플랜트 구축/생산에너지 효율적 배분?저장 기술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다. 스마트 School EMS
ⅰ) 정의
? 목표시장 시장 규모
? 목표시장 특징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보급형 전력량계 개발
? EMS 솔루션 개발
? Site 최적화 운영 및 사업화
ⅲ) 산업생태계 분석
? 보급형 전력량계 개발
? School EMS 설계 및 개발
? Site 최적화 운영 및 사업화
ⅳ) 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라. 에너지 공간인지 정보처리 기술
ⅰ) 정의
? 목표시장 시장 규모
? 목표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공간별/재실자별 에너지 사용 효율 모니터링 기술
? 재실자 위치 트래킹 및 낭비 에너지 추적 제어 기술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실자 쾌적도 및 에너지 최적제어 기술
? 멀티존 기반 재실자 이동 패턴 인식 에너지 제어 스케줄링 기술
ⅲ) 산업생태계 분석
? 공간별/재실자별 에너지 사용 효율 모니터링 기술
? 재실자 위치 트래킹 및 낭비 에너지 추적 제어 기술
?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실자 쾌적도 및 에너지 최적제어 기술
? 멀티존 기반 재실자 이동 패턴인식 에너지 제어 스케줄링 기술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6) FEMS 시장동향
(1) FEMS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국내 시장동향
나. 해외 시장동향
ⅰ) 미국
ⅱ) 일본
ⅲ) 중국
(2) FEMS 기술동향
가. 국내 기술동향
나. 해외 기술동향
ⅰ) 미국
ⅱ) EU
ⅲ) 독일
ⅳ) 호주
ⅴ) 일본
ⅵ) 중국
(3) FEMS 중점 기술동향
가. ICT기반 산업공정 에너지 효율화 기술
ⅰ) 정의
? 시장 규모
? 목표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ICT 기반 에너지 다소비 설비의 효율 향상 솔루션 기술
? 실시간 생산정보 연계형 공장/공정 에너지 수요 예측 기술
? 산업군별 공정단위의 에너지 분석 및 운용 최적화 기술
ⅲ) 산업생태계 분석
? ICT 기반 에너지 다소비 설비의 효율 향상 솔루션 기술
? 실시간 생산정보 연계형 공장/공정 에너지 수요 예측 기술
? 산업군별 공정단위의 에너지 분석 및 운용 최적화 기술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나. 개방형 FEMS 플랫폼 기술
ⅰ) 정의
? 시장 규모
?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FEMS 표준 체계 수립
? 확장형 FEMS 플랫폼 개발
? Interface Hub 개발
? 개방형 FEMS 생태환경 구축
ⅲ) 산업생태계 분석
? FEMS 표준 체계 수립
? 확장형 FEMS 플랫폼 개발
? Interface Hub 개발
? 개방형 FEMS 생태환경 구축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다. 스마트 인프라 기기 개발 기술
ⅰ) 정의
? 시장 규모
? 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고효율 설비(전동기, 건조기 등) 개발
? 스마트 계측/센서 개발
? FEMS 통신-네트워크 환경 개발
ⅲ) 산업생태계 분석
? 고효율 설비(전동기, 건조기 등) 개발
? 스마트 계측/센서 개발
? FEMS 통신-네트워크 환경 개발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라. 공장 에너지 분석 및 평가 기술
ⅰ) 정의
? 시장 규모
? 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에너지 프로파일링(Profiling) 기술
? 에너지 분석 시뮬레이션 도구
? 에너지 계측/센서 신뢰성 평가 기술
? 공장 에너지 분석 및 평가 자동화
ⅲ) 산업생태계 분석
? 에너지 프로파일링 기술
? 에너지 분석 시뮬레이션 도구
? 에너지 계측/센서 신뢰성 평가 기술
? 공장 에너지 분석 및 평가 자동화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마. 산업단지 에너지 최적화 기술
ⅰ) 정의
? 시장 규모
? 시장 특성
ⅱ) 중점기술 및 핵심기술
?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산업단지 에너지 효율화 모델 및 기술 개발
? 산업단지 자동 수요반응(DR) 기술
? 산업단지 에너지 운영 센터 구축 기술
ⅲ) 산업생태계 분석
?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산업단지 에너지 효율화 모델 및 기술
? 산업단지 자동 수요반응(DR) 기술
? 산업단지 에너지 운영 센터 구축 기술
ⅳ) 시장진입전략
? 목표시장 및 고객
? 산업생태계 분석(가치네트워크 : 산학연 및 국내외 연계)
? 핵심가치(제품, 공정, 기술, 시스템 등)
? 수익모델
? 추진전략
ⅴ) 정책제안
통계(도표) 목차
책제원정보
ISBN 9788994111995
판형정보 514쪽 / 216 X 300 mm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출판일 2015-02-03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