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현재 우리나라는 안전재난, 에볼라 출혈열, 방사능누출, 대규모 개인정보유출, 파밍·스미싱과 같은 정보통신 범죄 등 다양한 사회위협 요소들로부터 거대한 위기에 직면 해 있다. 특히 정부는 향후 10년 내 한국사회에 가장 파급효과가 크며 시급한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핵심 트렌드로 “안전위험의 증가”를 선정하고 관련 이슈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하여 2014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핵심 트렌드 키워드로 지속가능성, 파급효과, 과학기술적 접근 가능성을 판단해 양자정보통신 기술, 가상화 보안기술, 생체인증기술 등을 미래유망기술로 선정하였다.
“양자정보 통신기술”은 국내외 해킹 사건에 대한 기술적 대안으로 관심을 받고 있어, 기존 정보통신과 융합해 신시장 창출이 가능한 미래 유망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가상화 보안기술” 은 가상머신(VM)을 적용해 가상환경 내에서 운영되는 보안 제품 및 서비스기술을 말하며 스마트워킹, BYOD(Bring Your Own Device) 트렌드, 클라우딩 컴퓨팅 상황에서의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생체인증 기술”은 지문, 음성, 망막 등 개개인이 보유한 생체 고유의 정보를 이용해 인증하는 방식으로 망각, 분실, 도난의 위험이 없는 높은 보안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국가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미래유망보안기술은 단순히 기술발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 우리사회의 핵심 이슈 해결에 과학기술이 기여하고 그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국가안전사회 국축을 위한 핵심유망보안기술 산업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국가안전사회 구축 핵심유망보안기술 가상화 보안/양자정보 통신?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1편에서는 양자정보통신 기술현황과 핵심연구방향 및 시장전망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가상화 보안산업 기술적용 현황과 발전방향을 또한, 제Ⅲ편 생체인증 기술에서는 국내외 시장전망과 표준화 현황 및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Ⅰ편 양자정보통신 기술
제1장 양자정보통신 기술 시장현황 및 핵심연구방향
1. 양자정보통신 기술 시장현황
1) 양자정보통신 기술 개요
(1) 개념
(2) 특징
가. 양자중첩(quantum superposition)
나. 양자얽힘(quantum entanglement)
다. 복제불가원리(no-cloning theorem)
2) 양자정보통신 시장 적용분야 및 실용성
(1) 국내외 시장 현황
가. 핵심기술
나. 시장규모
다. 해외 동향
라. 국내 기관 및 기업
(2) 실용화
(3) 실용화 시기와 적용 분야
(4) 장거리화, 고속화, 저잡음화 등이 향후의 열쇠
3) 국내외 양자정보통신 기업 및 정부 지원현황
(1) 국내 현황
(2) 국립 양자정보통신연구소의 설립 필요성
(3) 중국, 양자 암호 네트워크
가. 글로벌화가 가져온 주권 위기의 시대
나. 양자통신 네트워크 구축
다. 화웨이·ZTE 등 글로벌 통신 장비 업체 두각
(4) SK텔레콤, 양자암호통신
2. 양자정보통신 기술 연구 현황 및 전망
1) 양자정보통신기술 트렌드 및 이슈
(1) 양자암호통신 기술 트렌드
(2) 양자암호통신 시스템 구현을 위한 요소 기술
(3)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국내 적용 사례 및 기술동향
(4) 양자암호통신 기술의 미래
(5) 통신 채널의 보안성을 강화하는 기술들과 문제점
2) 양자정보통신 연구개발 핵심 현황
(1) 연구개발 핵심
가. 정보해킹으로부터 안전을 보장해주는 양자암호
나. 세계최초로 장거리 양자암호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
다. 양자정보 분야를 선도할 획기적인 기술
라. 국가경제와 학문발전에 큰 파급효과
(2) 양자암호통신 주요 연구분야
가. 양자암호통신 기술 연구 및 시스템 개발
나. 양자리피터 기술 연구
(3) 국내외 연구기관 및 지적재산권 현황
3) 양자정보통신 기술 연구 현황
(1) 광자 기반의 양자정보 연구
가. 다광자 상태와 양자정보
나. 다차원 상태와 양자정보
⒜ 광자의 외부자유도를 이용한 다차원 양자상태의 구현
⒝ 광자의 내부자유도를 이용한
(2) 단일광자 생성, 검출 및 양자암호통신 응용
가. 개요
나. 양자키분배(QKD) 시스템
다. 양자광원생성
라. 단일광자 검출
마. QKD시스템에 대한 공격
(3) 이온트랩 시스템을 이용한 양자정보처리
가. 이온트랩의 원리
나. 이온트랩의 양자정보 응용
3. 양자정보통신 핵심 유망 기술 현황
1) 양자암호통신 기술 원리 및 제반 기술
(1) 양자암호 프로토콜과 안전성
가. 양자암호 프로토콜
나. 양자암호의 안전성 증명과 도청방법
(2) 양자암호통신 구현기술
가. 양자광원
나. 광자검출기
다. 양자암호통신 채널
2) 양자정보통신 부품 기술 동향
(1) 개요
(2) 양자 암호통신 부품 기술
(3) 양자 컴퓨터 부품 기술
3) 초광대역 스퀴즈드 광원과 검출 기술 개발
제Ⅱ편 가상화 보안 기술
제1장 가상화 보안 산업 기술적용 현황 및 발전방향
1. 가상화 보안 산업 현황
1) 가상화 기술 개요
(1) 정의
(2) 적용범위
(3) 기능과 효과
가. 기능
나. 효과
(4) 도입관계 및 기술의 분류
2) 가상화 보안 현황 및 전망
(1) 가상화 보안 문제 및 해결
가. 가상화 위험
나. 적절한 프로세스와 조직 구조를 갖춘 기반 마련
다. 물리 및 가상 보안 규제를 바탕으로 통합 전략 정의
라. 보안 성능과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상화 기술 활용
(2) 가상화 보안 영역 확대 현황
가. 사용자와 기업 영역을 나누는 가상화 기술
나. 안티 바이러스에서 사용하는 가상화 기술
(3) 4가지 가상화 보안 원칙
(4) 10가지 가상화 모범 사례
2. 가상화 보안 기술의 현황 및 적용사례 시사점
1) 가상화 기술의 현황
(1) 정의와 기대효과
가. 정의
나. 기대효과
(2) 기술 현황
가. 가상화 기술의 유형
나. 서버 가상화
다. 하드웨어 리소스 가상화
라. 가상화 소프트웨어 기술
(3) 주요 가상화 업체 동향
가. Citrix System
나. Microsoft
다. Oracle
라. Parallels
마. Red Hat
바. VMware
(4) 가상화 기술의 적용사례 및 전망
가. 주요 가상화 기술의 적용사례
나. 가상화 기술의 전망
⒜ 기술적 전망
⒝ 가상화 기술의 시장 전망
⒞ 가상화 기술 적용의 한계 및 특징
2) 가상화 기술 관련 주요 이슈
(1) 가상화 기술의 진화 방향
(2) 가상화 도입 전략
(3) 가상화 기술의 플랫폼화
(4) 가상화 SW 업체와 장비 업체간 이해관계
(5) 가상화 환경에서의 보안
3) 기존 보안기술의 가상화 환경 적용시 한계점
(1) 네트워크 보안기술의 한계점
(2) 안티 바이러스의 한계점
제2장 가상화 보안기술 시장현황 및 핵심 연구방향
1. 테스크탑 가상화 보안 기술연구 동향 및 전망
1) 데스크탑 가상화 환경 현황
(1) 환경 연구
(2) 기반 기술
가. 데스크탑 가상화 S/ W
나. 로컬 장치(Local Device)
(3) 장단점
2) 데스크톱 가상화 실전전략
(1) 실패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데스크톱 가상화
가. 하이프 커브 정점에 이른 데스크톱 가상화
나. ‘부트스톰’ 막아라
다. 현실을 직시하라
라. 데스크톱 가상화 기술, VDI로 통합
마. 수많은 시행착오 발생
바. 스토리지 벤더들의 공략
사. 국내 성공사례‘ 다수’
아. 2014년 VDI, 전체 PC 7%
(2) 데스크톱 가상화 성공 전략
가. 데스크톱 가상화가 필요한 이유
나. 데스크톱 가상화 아키텍쳐
다. 데스크톱 가상화 적용 사례
라. 데스크톱 가상화 성공 도입 방안
(3) 데스크탑 가상화 성공 도입 방안
가. 서버 가상화 활용 고객
나. 사이징
다. 운영 인력
라. 문화의 변화
3) 데스크톱 가상화 보안 요구 및 강화
(1) 복잡성
(2) 보안 요구
(3) 보안 강화
4) 데스크탑 가상화 보안기술 현황
(1) 기술 이슈
(2) 가상화 기술간 성능 비교
(3) 보안제품
5) 기업별 가상화 보안기술 현황
(1) 기업 현황
(2) 분야별 데스크톱 가상화 기술
가. 시스코, 국립암센터 데스크톱 가상화 구현
나. 한국지역난방공사, 시트릭스 데스크톱 가상화솔루션 구축
다. 시트릭스-팔로알토, 넷스케일러 SDX에 네트워크 보안 및 ADC 서비스 제공
라. 시스코-VM웨어-시트릭스 연합, 아마존 클라우드 데스크톱 대항마 준비
6) 클라우드 데스크톱 가상화 현황 및 전망
(1) 클라우드 데스크톱 가상화 개요
가. 분류
나. 구조
다. 장단점
(2) 클라우드 데스크톱 가상화 동향
가. Citrix XenDesktop
나. VMware View
다. Microsoft RDVH-VDI
라. Oracle VDI
(3) 클라우드 데스크톱 가상화 국내 현황
2. 클라우드 가상화 보안 기술연구 동향 및 전망
1)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개요
(1) 환경의 보안 취약성 및 보안위협
(2) 가상화 기술 개념
(3)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기술 개발의 필요성
2) 국내외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산업 및 표준화 현황
(1) 시장동향
(2) 가상화 보안 세계시장 현황
가. 늘어나는 기업의 가상화 시스템 도입
나. 디도스 등 모든 보안 위험에 노출
다. 가파르게 성장하는 가상화 보안 시장
(3) 표준화 현황
가. 국외 기술 동향
나. 국내 기술 동향
다. 국내·외 표준화 동향
라. 정책동향
(4) 기대효과 및 시사점
가. 기대효과 및 활용성
나. 정책적 시사점
3)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 보안 기술동향
(1)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상의 침해사례
가. 가상화 시스템의 보안 공격
나. 자원의 공유 및 집중화
다. 데이터 접근제어의 어려움
라. 침해사례로 본 새로운 대안의 필요성
(2) 보안 기술 동향
가. 가상화 시스템의 위협
나. 자원의 공유 및 집중화
다. 데이터 접근제어의 어려움
라. 보안기술 고려사항
(3) 클라우드 서비스 가상화 관련연구
가. 가상화 기술 취약점 분석
나. 베어메탈 기반 하이퍼바이저의 문제점 분석
다. 국내 표준 침입탐지 프레임워크 문제점 분석
라. VMMA(Virtual Machine Monitor Agent)
(4) 클라우드 서비스 가상화 성능평가
가. 시스템 성능분석
나. 제안하는 보안 구조의 안전성 분석
(5) 정책 동향
4) 클라우드 보안 위협요소와 기술 동향 분석
(1) 위협 요소와 국내외 보안 지침 동향
가. 위협 요소
나. 국외의 클라우드 보안 지침 동향
다. 국내의 클라우드 보안 지침 동향
(2)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이슈와 사고 사례
가. 서비스 보안 이슈
나. 클라우드 서비스 사고 사례
(3) 클라우드 가상화 보안 기술
가. 가상화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제공?
나. 물리, 가상, 클라우드 환경 통합 보호?
다. 모듈별로 다양한 기능 제공?
(4) 클라우드 보안 컴퓨팅 기술
가. CSA(Cloud Security Alliance)에서 제시한 보안 기술
나.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을 위한 기술 목록
다. 하이퍼바이저기반 보안 기술
(5)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 보안 아키텍처 기능 분석 연구
가. 가상화 기술 기반 클라우드 아키텍처
나. 서비스 및 아키텍처 보안 관련 연구
⒜ 아키텍처 모델 분석
⒝ 아키텍처 보안 관련 연구
다. 제안 방법
⒜ 클라우드 컴퓨팅 공통개념의 아키텍처
⒝ 가상화 보안 레이어 분류 및 기능 분석
5) 금융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 보안 및 고려사항
(1) 클라우드 컴퓨팅 금융권 도입 현황
가. 국내 금융 클라우드 컴퓨팅
나. 해외 금융 클라우드 컴퓨팅
(2)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기술 현황
가. 보안 업체 현황
나. 보안 소프트웨어 호환성 현황
(3)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가이드
가. Gartner -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위협 대책
나. RSA - Identity & Data Protection in the Cloud
다. CSA - Top Threats to Cloud Computing V1.0
라. CSA - 클라우드 컴퓨팅 위협영역 보안 가이드
마. 일본 - ASP, SaaS 정보보안 대책 가이드
바. ENISA - Cloud Computing Top Security Risks
사. U.S. Government - Cloud Computing Security
(4)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의 보안
가. 구글 앱스 보안
나. 아마존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5) 보안 고려사항
가. 데이터 손실 및 유출방지
나. 데이터 변조방지
다. 인증 및 권한관리
라. 시스템 및 네트워크 보안
마. 시스템 감사
바. 가상화 보안
3. 서버 가상화 보안 기술연구 동향 및 전망
1) 서버 가상화 개요
(1) 대표적인 예
가. 가상 머신
나. 물리적 파티셔닝
다. 논리적 파티셔닝
라. Managed Runtime
마. I/O 가상화
(2) 서버 가상화의 분류
가. OS-level 가상화
나. 하이레벨 언어 가상화
다. 하드웨어 레벨 가상화
(3) 서버 가상화의 장단점
2) 서버 가상화 시장 및 기업 현황
(1) 서버 가상화 시장
(2) 경쟁 현황
(3) 기업 현황
가. 포털 및 게임 업계
나. 가트너
다. 티베로
라.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마. 주니퍼네트웍스
바. 한국EMC
사. 트렌드마이크로
(4) 제품 관리 실전 가이드
3) 서버 가상화 기술 현황 및 전망
(1) x86 서버 가상화
가. 개요
나. 오픈소스 가상화 비교 분석
다. 젠(XEN)의 특징
(2) VMware의 서버 가상화와 Cisco의 가상화 네트워킹 기술
4) 서버 가상화 시스템 보안 요구사항
(1) 서버 가상화의 보안
(2) 계층별 역할과 보안 요구사항의 연관성
(3) 보안 요구사항
가. 기밀성 및 데이터 암호화
나. 사용자 인증과 접근 제어
다. 데이터 무결성
라. 가용성 및 복구
마. 가상화 보안
4. 모바일 가상화 보안 기술연구 동향 및 전망
1) 모바일 가상화 기술 개요
(1) 등장 배경
(2) 완전 가상화(Full Virtualization)와 반 가상화(Para Virtualization)
가. 완전 가상화
나. 반 가상화
(3) 적용사례
가. IPTV
나. 휴대폰
다. 국방항공
(4) 기술의 장점
가. 비용 절감
나. 안정성
다. 보안성
라. 개발의 용이성
2) 모바일 가상화 BYOD 동향 및 혁신
(1)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은 BYOD
(2) 모바일 성장의 동력으로서의 BYOD
(3) 모바일 가상화 BYOD 기술개발 현황
(4) 모바일 가상화 BYOD 보안기술 고려사항
가. 보안기술
나. MDM 솔루션의 적용
다. BYOD 적용 시 고려사항
3) 모바일 가상화 보안 시장 및 정부 현황
(1) 국내 시장 규모
(2) 국내 BYOD 시장
(3) 정부부처 정보화 예산 현황
(4) 기업 핵심 보안
(5) 기업별 모바일 보안 현황
가. 파수닷컴
나. 라온시큐어
다. SK텔레콤
4) 모바일 가상화 기술동향 및 전망
(1) 모바일 가상화 기술 현황
(2) 클라우드 모바일 가상화를 통한 모바일 보안
(3) 모바일 가상화 기술 응용 사례
제Ⅲ편 생체인증 기술
제1장 인증기술 산업 시장현황 및 기술발전방향
1. 인증기술 산업 현황
1) 인증기술 개요
(1) 개념
(2) 인증방식의 분류
가. 지식 기반
나. 소유 기반
나. 생체 기반
2) 다중요소 인증기술
(1) 개념
(2) 다중 요소 인증사례
가. 패스워드+휴대폰(2 Factor)
나. 패스워드+체크카드(2 Factor)
다. 공인인증서+보안카드/OTP(2 Factor)
라. 심장박동/심전도+NFC팔찌(2 Factor)
3) FIDO 기반 인증기술
(1) 개념
(2) FIDO 구성요소
(3) FIDO 프로토콜
가. Registration
나. Authentication
4) 인증 시스템의 미래
(1) 안정성
가. 정보 입력 증대
나. 다중(Multi-factor) 인증시스템
다. OTP, 암호화 기술
(2) 편리성
가. 계정 관리
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다. 행동 패턴 파악
(3) 적용성
(4) 미래성
2. 인증기술 적용 및 사례현황
1) 전자인증수단 분야 및 사례 현황
(1) 전자인증수단의 적용 분야
가. 금융거래 서비스
나. 전자상거래 서비스
다. 전자민원 서비스
라. 일반 포털 서비스
(2) 국내 전자인증수단 사용 사례
2) 인증기술 사례 현황
(1) 최근 추세
(2) 최근 인증기술의 사례
가. 키입력 패턴 인증
나. 멀티터치 기반 비밀번호
다. 익명 인증
라. In-air 서명 패턴 인증
제2장 생체인증 기술 국내외 시장 및 표준화 현황
1. 생체인증기술 산업
1) 생체인증 개요
(1) 개념
(2) 종류 및 장단점
(3) 특징
가. 지문(Fingerprint) 인식 기술
나. 홍채(Iris)/망막 인식 기술
다. 얼굴 인식 기술
라. 음성 인식 기술
마. 정맥 인식 기술
바. 손/장문 인식 기술
사. 서명 인식 기술
아. 다중(Multimodal) 생체 인식 기술
(4) 관심확대 배경
2. 생체인식기술 시장현황 및 발전전망
1) 생체인식 시장규모
(1) 세계 규모
(2) 국내 시장규모
2) 생체인식 응용분야 시장 현황
(1) 성장하는 시장
(2) 응용분야
(3) 인프라 확대
3) 국내외 생체인식 시장 현황 및 전망
(1) 국외 현황
(2) 국내 현황
(3) 기술 및 시장 성장 저해 요소
3. 생체인증기술 기업/분야별 산업 현황 및 전망
1) 생체인증 관련업체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2) 사업 추진 현황
(1) 세계 현황
(2) 국내
3) 기업동향 현황
(1) 분야별 대표업체
(2) 국내 업체
(3) 주요 기업별 현황
가. 크루셜텍
나. 코리센
다. 애플페이
라. 알리페이
마. 니트젠
바. 블루닉스
사. 테스텍
아. 퍼스텍
자. 현대정보기술
차. 버뮤다정보기술
카. 아이레보
타. 슈프리마
(4) 주요 이슈 및 전망
4) 각 분야별 생체인식 활용현황
(1) 금융 산업
가. 개념과 유형
나. 생체인식 기술의 활용 현황
다. 산업 현황
라. 향후 전망과 시사점
(2) 범죄분야 현황
가. 생체인식 변화
나. 모바일 ID
다. 핵심 업그레이드
라. 손바닥에 주목하다
마. 머그샷 인식하기
바. 아직 실험 단계인 홍채 인식
(3) 스마트폰 현황
가. 홍채인식 스마트폰
나. 상용화 현황
다. 모바일 결제
라. 경쟁현황
(4) 자동차 산업
(5) 대학교 현황
가. 필요에 의한 발전, 생체 측정학
나. 거듭하는 신기술의 등장, 목표는 ‘완벽’
다. 생체인식 기술과 출결 시스템의 만남
4. 국내외 정부 정책/표준화 현황 및 전망
1) 국내외 정부 정책 현황
(1) 국외 주요국가
가. 주요국가의 정책 추진현황
나. 시범사업 추진현황
(2) 국내
가. 정부정책기조
나. 기술현황 및 전망
(3) 정부 정책
가. 모바일
나. 국산 ‘생체인식 정보보호기술’ 국제표준 채택
2) 국내외 표준화 현황 및 전망
(1) 국내 표준화 현황
가. 국내표준화 추진정책 현황 및 전망
나.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바이오인식정보시험센터(K-NBTC)
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라. 생체인식연구센터(BERC)
마. IC카드연구센터
바. TTA 바이오인식프로젝트그룹(PG505)
사. 한국바이오인식포럼(KBA)
아.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바이오인식 관련 전문위원회
(2) 국외 표준화 현황 및 전망
가. 국외 표준화기구 현황
나. ISO/IEC JTC1 SC37(바이오인식기술)
다. ISO/IEC JTC1 SC27(정보보호기술)
라. ISO/IEC JTC1 SC17(스마트카드)
마. 바이오인식기반 전자여권 관련표준화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바. ITU-T SG17 Q.8(텔리바이오메트릭스) 표준화그룹
3) 모바일 바이오인식 표준화 현황 및 전망
(1) 국제표준화 활동현황 및 전망
가. ISO분야
⒜ ISO/IEC JTC1 SC37(바이오인식기술) 현황 및 전망
⒝ ISO/IEC JTC1 SC27(정보보호기술) 현황 및 전망
⒞ ISO/IEC JTC1 SC17(카드 및 식별기술) 현황 및 전망
⒟ ISO TC68(금융정보) 현황 및 전망
⒠ ISO TC215(보건의료정보) 현황 및 전망
나. ITU 분야
다. 국내외 표준화 수준 및 전망
라. 아시아바이오인식협의체(ABC)
(2) 모바일 바이오인식 표준연구회 활동현황 및 향후계획
4) 표준화 Vision 및 기대효과
(1) 추진경과 및 중점 추진방향
가. 추진경과
나. 중점 추진방향
(2) 표준화의 Vision 및 기대효과
가. 표준화의 필요성
나. 표준화의 목표
다. Vision 및 기대효과
제3장 생체인증 기술 연구동향 및 특허사례 현황
1. 생체인증 기술개발 현황 및 방향
1) 생체인식 기술 개요
(1) 생체인식 기술의 도입 배경
(2) 연구방향
가. 얼굴 + 화자
나. 얼굴 + 지문
다. 음성 + 입술 움직임
(3) 생체인식 적용 사례
가. 해외 사례(US-VISIT)
나. 국내 사례
다. 출입국 우대(I-PAS) 카드
2) 스마트폰 생체인식 기술 도입 현황
(1) 생체인식 기술 유형
(2) 지문인식 기술 도입 사례
(3) 홍채인식
(4) 이용가치 높일 생태계 경쟁의 시작
3) 바이오인식 기술경쟁력 현황
(1) 중점기술
가. 지문인식
나. 안면인식
다. 홍채와 망막인식
라. 화자인식
마. 서명인식
바. 손등정맥인식
(2) 연관기술 분석
(3)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분석
가. 기술적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나. 시장/상용화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다. 특허/논문/표준화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라. 정부정책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마. 글로벌 기술경쟁력 향상을 위한 국내 대응전략
2. 분야별 생체인증기술 발전방향 및 전망
1) ICT의 핵심 발전방향
(1) 핵심시대
(2) 핵심요소로서의 ICT
2)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동향분석
(1) 융합보안기술 동향
(2) 지능형CCTV 영상감시보안기술동향
(3) 모바일 메디컬 바이오인식 융합보안기술 동향
3) 생체기반 운전자검증기술 현황
(1) 운전자인증 시스템의 구성
가. 얼굴검증 알고리즘
나. 화자인증 알고리즘
다. GMM Supervector Kernel을 이용한 SVM
라. 실험 및 결과고찰
4) 안드로이드 환경의 인증 성능 개선 연구
(1) 얼굴인증 시스템
(2) 화자인증 시스템
(3) 단일 생체인증 실험
가. 실험 환경
나. 얼굴인증 실험
다. 화자인증 실험
(4) 다중생체인식 실험 결과 및 분석
5) 생체정보 모니터링의 기술적 이슈
(1) 모바일 생체정보 모니터링
(2) 생체정보 모니터링 기술
가. 네트워크 구조
나. 네트워크 형태
다. 네트워크 전파특성
라. 네트워크 프로토콜
마. 센서 및 서비스 플랫폼
(3) 표준화 동향
(4) 모니터링 연구개발 이슈
가. 연구개발 프로젝트
나. 연구개발 응용분야
다. 솔루션 분야
(5) 기술적 대응과제
3. 생체인증기술 기술연구동향 및 특허사례
1) 생체인증기술 기술연구동향
(1) 정맥인식 기술연구동향
가. 정맥인식 기술
나. 제품과 연구동향
다. 기술 사항
라. 바이오인식기술과 정맥인식기술
(2) 행동인증기술 현황
(3) 안면인식기술 현황
(4) 스마트폰 생체인식 기술
가. 기술 현황
나. 기술 대표사례
2) 생체인증기술 특허 현황 및 전망
(1) 발전하는 특허상황
(2) 모바일 지문인식 기술 특허동향
가.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해소되어야 할 것
나. 특허조사 개요
다. 특허출원 동향
4. 생체인증기술 보안 문제 및 분석
1) 생체인식기술의 흑과 백
(1) 성장과 과제
(2) 생체정보 유출 땐 문제 심각
2) 생체인증기술 보안 취약점 분석
3) 생체정보보호를 위한 쟁점 연구
(1) 생체정보와 프라이버시와의 관계
(2) 생체정보 보호를 위한 법제도
(3) 생체정보 보호를 위한 원칙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