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20세기가 석유를 차지하기 위한 ‘블랙 골드’ 시대라면 21세기는 물을 놓고 경쟁하는 ‘블루 골드’ 시대다. 물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물산업이 미래의 블루오션 시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음을 뜻하고 있다. 이로써 물산업은 글로벌 복합기업의 참여 및 소재·부품기업의 사업영역 확대 그리고 신흥 물 메이저 기업의 출현으로 인해 더욱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물산업은 상수도, 하수도, 해수담수화 시설, 재이용수(수처리 방식으로 오수와 폐수 재이용), 생수 등을 포괄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08년 보고서에서 2003년 세계 물산업 규모는 830조 원이며, 해마다 5.5%씩 성장해 2015년이면 1천 597조 원이나 될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리하여 대다수의 국가 및 기업들은 물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통합적 솔루션의 수출에 나서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너지효과를 통해 다른 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7년의 “물산업 육성 5개년 추진계획”을 비롯하여 2010년 “물산업 육성전략”을 수립하는 등 물산업 관련 투자를 강화해 오고 있다. 2015년에는 “물산업협의회”를 설립하고 물산업 클러스터의 조성을 추진하는 등 정책적, 조직적 및 인프라적 측면에서의 본격적인 육성 기반을 마련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각 분야의 개별적인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공기업과 민간부문 간의 유기적 협력관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체계적 시스템 구축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물산업 분야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물산업/수처리·담수화 육성전략 및 산업분야별 멤브레인 기술/시장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물산업 수처리/담수화/멤브레인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Ⅰ편 물 산업
제1장 국내외 물산업 현황과 분야별 시장 및 관련업계 현황
1. 물산업 환경변화 및 정책/기술 개요
1) 물산업 개요
(1) 물산업의 정의
(2) 물산업의 범위와 구조
(3) 물산업의 특성
2) 환경변화와 물 패러다임 현황
(1) 글로벌 환경 변화와 물 위기
가. 삶의 질을 좌우하는 한편, 새로운 성장 동력 산업으로 인식
나. 2000년 ?제2차 세계 물 포럼? 을 통해 물 안보(Water Security) 개념이 확산
다. 기후변화에 의한 강우의 편중성 증가와 가용 수자원의 부족이 가장 큰 문제
(2) 우리나라 물 문제
(3) 물 관리 패러다임의 변화
가. 물을 재난 예방, 안보, 산업 육성 등 포괄적 통합 관리 대상으로 인식
나. 자원 측면의 물 관리
다. 물 관리 패러다임 변화
3) 물산업 정책/기술 및 스마트 생태계
(1) 해외 정책 및 기술
(2) 국내 정책 및 기술
(3) 산업 동향 및 기술수준 비교
(4) 스마트 물 관리 생태계
가. 스마트 물 관리의 개념
나. 스마트 물 관리 시스템
다. 주요 고려사항
4) 물산업 관련 기술 및 밸류체인 현황
(1) 물산업 관련 기술 분야
가. 정수처리
나. 하수처리
다. 해수담수화
(2) 수처리 기술
가. 기술 동향
나. 연구사업 동향
다. 선진 기업 동향
(3) 물산업 밸류체인 및 특성
2. 세계 물산업 동향 및 분야별 시장 분석
1) 세계 물산업 현황과 산업동향
(1) 세계 물산업의 규모
(2) 물 연관산업
2) 세계 물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물산업의 성장 배경
(2) 세계 물시장 현황 및 전망
3) 세계 물산업 분야별 시장 규모 및 전망
(1) 부품 및 소재
(2) 상수 및 하수시장
(3) 담수화시장
(4) 산업용시장
3. 국내 물산업 현황 및 경쟁력 분석
1) 국내 물산업 현황
(1) 상하수도
(2) 해수담수화
(3) 물 재이용
(4) 먹는 샘물
2) 물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1) 산업연관분석과 물산업
(2) 투입구조와 수요구조
(3) 생산유발효과
(4) 부가가치 유발효과
(5) 고용유발효과
(6) 가격파급효과
3) 물산업 경쟁력 진단
(1) 상하수도
(2) 해수담수화
(3) 물 재이용
(4) 먹는 샘물
(5) 소결
4) 물산업 해외진출 전략 동향
(1) 산업 동향
(2) 해외진출 전략
4. 물산업 주요 기업 동향 및 유망품목현황
1) 주요 물산업 기업 동향
(1) 규모
(2) 외국 기업 동향
(3) 국내 기업 동향
(4) 각 기업별 물산업 현황
2) 국내 기업의 물산업 수출 현황
3) 기술/주력제품 상용화 미래분석
(1) 기술사업화
가. 동향
나. 미래분석
(2) 주력제품 상용화
가. 동향
나. 미래분석
2) 물산업 수출 유망품목과 유망시장
(1) 수출유망 품목 : 파이프, 펌프, 밸브, 막
가. 파이프
나. 펌프
다. 밸브
라. 막
(2) 수출유망 시장
가. (볼륨존) 미국, 일본, 중국, 프랑스
나. (성장존) 예만, 요르단, 리비아, 쿠웨이트
다. (볼륨성장존) 인도, 브라질,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제2장 물산업 해외진출 활성화 동향과 육성전략 및 클러스터 방향
1. 물산업 해외진출 활성화 동향 및 방향 모색
1)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동향
(1) 주요 선진국의 물 산업 파트너십 구축사례
가. 네덜란드
나. 독일
다. 프랑스
라. 일본
(2) 국내 물 산업 파트너십 현황
가. 한국 물 포럼
⒜ 물교육 사업
⒝ 국제협력 사업
⒞ 정책연구 개발 및 정책제안 사업
나. 한국상하수도협회
⒜ 기자재검인증 사업
⒝ 기술지원 사업
⒞ 교육 및 해외연수 사업
⒟ ‘Water Korea’ 사업
⒠ 정수시설 운영관리사 제도
⒡ 조사 연구 사업
다. 해외건설협회
⒜ 국내건설업체의 해외진출 지원
⒝ 해외공사에 관한 자료 및 정보의 수집·분석
⒞ 주요 거점국가와의 네트워크 강화
⒟ 해외건설시장 개척자금 지원
⒠ 국토해양부의 위탁업무
라. 국내 물산업 파트너십의 한계
(3) Korea Water Partnership 구축 및 활용 방안
가. 물 산업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물 강국 브랜드 구축 및 마케팅
나. 해외 물 산업 정보 조사·제공
다. 해외 물 산업 전문 인력 육성
라. 물 분야 원조자금 및 펀드 운용 주관
마. 물 산업 사이버 클러스트 구축 및 운영
바. 4대강사업 해외 기술수출 창구역할 수행
2)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 동향 및 확대방안
(1) 국내 기업의 물사업 추진 현황
(2) 국내 업계의 해외 물사업 수주 동향
가. 연도별 수주 동향
나. 지역별 수주동향
다. 국가별 수주동향
라. 공정별 수주동향
(3) 물산업 해외진출 확대방안
2. 국내 물산업 육성정책 및 활성화 방안
1) 국내 물산업 동향 분석
(1) 일반현황
(2) 국내 물산업 기술 현황 및 동향
가. 국내 물산업 기술 수준
나. 국내 물산업 기술 현황
다. 국내 물산업 기술 관련 R&D 현황
(3) 국내 물산업의 문제점 및 애로사항
(4) 국내 물산업 진단
(5) 국내 물산업 역량분석
가. 기술 및 산업 경쟁력 진단
나. 핵심인자 역량 진단
다. 물산업의 연계 및 가치사슬별 역량
라. 수출입통계이용 주요부문 역량평가
2) 국내 물산업 지원현황 및 활성화 방안
(1) 정부의 물산업 지원사업 현황
가. 지식경제부
나. 환경부
다. 국토해양부
라. 기타 연구사업 현황
(2) 정부의 물산업 활성화 방안
가. 민간 보고서의 주요 내용
나. 민간 보고서의 시사점
3) 국내 물산업 잠재력 분석 및 정책방향
(1) SWOT 분석
(2) 물산업 육성과 클러스터 구축의 필요성
(3) 정책방향
가. 물산업 부품소재 및 실증 기반 역량 강화
나. 물산업 연구개발 역량 강화
다. 물산업 기업의 역량 제고
라. 물산업 인력 양성 및 마케팅 강화
3. 물산업 정책/클러스터 및 거버넌스 구축방안
1) 물 관련 국내외 정책 동향
(1) 주요국 정책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3) 주요국 정책의 시사점
(4) 창조경제와 물산업 동향
가. 물 산업 육성을 통한 창조경제의 구축
나. 물 산업 해외진출 3.0 전략 수립
다. 기술혁신을 통한 해외사업 경쟁 역량 제고
라. 해외진출을 위한 기술마케팅 강화
2) 국내외 물산업 클러스터 정책 및 현황
(1) 국외 물산업 클러스터 정책 및 현황
가. 이스라엘
나. 싱가포르
다. 호주
라. 핀란드
마. 영국
(2) 국내 물산업 클러스터 정책 및 현황
가. 중앙정부의 물산업 정책현황
나. 중앙정부의 물산업 지원사업 현황
다. 물산업 정책 및 육성사업 진단
라. 기업 경쟁력 진단
(3) 물산업 잠재력 및 성공요인과 시사점
가. 국가적 물산업 잠재력
나. 물산업 클러스터 성공요인과 시사점
다. 국가 물산업 클러스터 구축 방향
3) 물산업 거버넌스의 합리성 분석
(1) 물산업의 합리적 거버넌스의 이해
(2) 물산업 거버넌스의 합리성 분석
가. 다양한 행위자의 참여 미흡 - 민간기업의 제한적 참여
나. 행위자의 자율성과 연계망의 형성 미흡 - 민간 기업이 간접적으로 배제된 연결망
다.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적응 미흡 - 낮은 신뢰수준과 상호부적응
라. 제도의 정당성과 수용성 미흡 - 기본법인 「물산업육성법(안)」의 불비
(3) 물산업 육성을 위한 합리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가. 다양한 행위자의 참여구조 보장 - 민간기업의 단계적 참여방안 마련
나. 물산업 네트워크의 행위자로서 공기업과 민간 기업의 연계망 형성
다. 정부부처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상호적응
라. 제도의 정비
제Ⅱ편 수(水) 처리 산업
제1장 수(水)처리 국내외 시장현황 및 국가별 신소재 기술개발동향
1. 국내외 시장현황 및 향후 전망
1) 수처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 무궁 무진
(1) 수처리 시장 성장 기본 전제는 수요 증가, 공급 부족
(2) 선진국, 민영화 통해 수처리 시장 성장시켜
(3) 국내시장에서도 우호적인 분위기 조성되고 있어
(4) 물 산업 시장 규모: 10조원 국내 시장 vs 830조원 세계 시장
(5) 정부의 정책 지원 방향 점검
2) 수처리 산업 현황
(1) 수처리 산업 개요
(2) 국내외 수처리 시장규모
(3) 해외 수처리 업황 분석
가. 세계 수처리 시장의 경쟁 구도
나. 글로벌 수처리 운영업체들의 점유율은 더욱 늘어날 것
다. 향후 성장 전략 키워드는 글로벌, M&A, 중국
(4) 국내 업체들 수처리 시장 진입 및 Risk 요인 점검
가. 국내 수처리 시장 분석
나. 국내업체들에 대한 투자전략
⒜ 성장국면: 장비 업체, 성숙국면: 운영 업체
⒝ 장비 중에서는 필터 및 수도관 관련 업체 성장성 높아
다. 국내 업체들 Risk 요인 점검
3) 부문별 수처리 산업현황
(1) 상수도
(2) 하수도
(3) 산업용 수처리 아웃소싱
(4) 하수재이용 시장
4) 수처리 산업의 발전방안
(1) 민/관 파트너십 방식(PPP)을 통한 상하수처리 사업
(2) 프랑스의 상하수도 운영방식
(3) 물 재이용의 필요성 및 시장성장
(4) 수처리 시장의 기술적 패러다임의 변화
(5) 수처리 제조업 분야 진입전략 필요
(6) 타기업과 구분되는 차별점
(7) 국제 시장에서 경쟁이 가능, 해수 담수화 부문
(8) 해외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일본 기업들
2. 수처리 기업 시스템 및 신소재 기술개발현황
1) 나라/기업별 수처리 기술현황
(1) 기술현황
(2) 미국 Worrell Water Technologies
(3) 네덜란드 Voltea B.V.
(4) 일본 웰시
(5) 일본 암콘
(6) 이스라엘 IED Technologies
(7) 캐나다 Trojan Technologies
(9) 덴마크 Cometas
(10) 오스트리아 WABAG
(11) 칭다오 텅위환경보호유한공사
(12) 이탈리아 Passavant Impianti
(13) 독일 ItN Nanovation AG
(14) 영국 Kurion
(15) 브라질 Phytorestore
(16) 프랑스 Degremont
(17) 싱가포르 Hyflux
(18) 중국 샹다환바오 0
2) 분리막 기반 수처리 기술 및 산업 트렌드
(1) 환경친화적 분리막 기반 수처리 기술
(2) 분리막 기반 수처리 세계 시장 성장 전망
(3) 분리막별 주요 기업 현황
(4) 국내 혁신적인 기술 개발
3) 비소 수처리 기술 동향
(1) 대표적인 비소 제거 기술
가. 침전 기술
나. 멤브레인 처리기술
다. 이온교환 기술
라. 흡착 기술
(2) 비소제거에 쓰이는 흡착제
(3) 사례연구
가. 미국 네바다 주 Moapa 계곡 - GFO를 이용한 흡착 처리 시스템
나. 미국 오클라호마 주 오클라호마 시 - Iron Oxide를 이용한 흡착 처리 시스템
다. 미국 애리조나 주 Litchfield 공원 - 합성 Iron Oxide를 이용한 흡착 시스템
라. 미국 애리조나 주 Phoenix시 - GFH를 이용한 흡착 처리 시스템
마. 미국 캘리포니아 주 흡착제 현장 처리 시설-GFH, Iron Coated Activated alumina, activated
4) 초음파를 이용한 수처리 기술 및 특허동향
(1) 환경산업에서의 초음파 적용
(2) 국내·외 연구 현황
가. 국내 현황
나. 해외 현황
(3) 한국과 미국의 특허동향 분석
가. 이용 데이터베이스
나. 분석방법 및 검색결과
다. 국내 특허 분석
⒜ 연도별 출원건수 분석
⒝ 출원인 분석
⒞ 기술 분석 (IPC 분석)
라. 미국 특허 분석
⒜ 연도별 출원건수 분석
⒝ 출원인 분석
⒞ 기술 분석 (IPC 분석)
제2장 수(水)처리 상·하수도사업 시장 및 공법 기술개발동향
1. 하수고도처리 물 재이용 시설의 운영사례 및 발전방안
1) 국내 물 재이용 현황 및 경쟁력 분석
(1) 국내 물 재이용 현황
(2) 물산업 경쟁력 진단
2)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1) 하수처리수 재이용율 변화
(2) 하수처리수 재이용 현황
(3) 하수처리수 재이용 지표의 국제 비교
3) 하수처리수 물 재이용 목표량 현황
(1) 하수처리수 공업용수 재이용
(2) 하수처리수 농업용수 재이용
(3) 하수처리수 하천유지용수 재이용
(4) 하수처리수 기타 도시용수 재이용
(5) 하수처리수 총 재이용 목표
4) 물 재이용 정책기본방향 및 추진전략
(1) 정책 비전 및 목표설정
(2) 주요 지표
(3) 정책 방향
(4) 주요 정책과제
가. 물 재이용 관리체제 강화
나. 물 재이용 시설의 과학적 관리기반 구축
다. 물 재이용 산업육성과 기술개발
라. 물 재이용 전문인력 양성 및 홍보
5) 물 재이용 시설의 관리기반 구축
(1) 물이용 및 순환체계 구축을 통한 물 재이용 통합관리
가. 현황 및 문제점
나. 정책방향
다. 추진계획
라. 기대효과
(2) 물 재이용 시설 설치·관리 통합지침 및 시설기준 마련
가. 현황 및 문제점
나. 정책방향
다. 추진계획
라. 기대효과
6) 물 재이용 산업육성 및 기술개발
(1) 물 재이용 산업기반 구축과 국제 경쟁력 강화
가. 현황
나. 정책방향
다. 추진계획
라. 기대효과
(2) 새로운 물 재이용 기술 적용
가. 현황 및 문제점
나. 정책방향
다. 추진계획
라. 기대효과
2. 상·하수도 시장 및 재정효율성 개선방향
1) 상·하수도 시장현황
2) 물공급 재정효율성 개선방향
(1) 상하수도 공급 및 운영 현황
(2) 물공급 관련 거버넌스 구조
(3) 물공급 관련 재정규모 현황
가. 중앙부처 국고보조금 현황
나. 환경부 및 지방공기업의 상하수도 사업 재무 현황
다. 상하수도 요금수준
(4) 쟁점사항 및 개편과정
가. 상수도 재정누수 심화에 따른 지방상수도 광역화 방안
나. 상하수도 통폐합 논의
다. 상하수도 요금인상 및 지역별 요금격차 논의
(5) 물공급 재정효율화 개편방향
가. 물 관련 정부 간 재정지원 방식 다양화 방안 마련
나. 부처 간 유사중복 감소를 위한 포괄보조사업화 방안 확대
다. 지방공기업 및 공공기관 중심 거버넌스 개편 논의
3. 하수처리 시장현황 및 공법기술개발동향
1) 하수처리 국내외 시장현황
(1) 국외 시장 현황
(2) 국내 시장 현황
2) 국내외 하수처리 기술의 연구개발 동향
(1) 국외기술개발 동향
가. 에너지 효율화/효율향상(기존 공정 효율화)
나. 에너지 효율화/효율향상(신공정 효율화)
다. 미량유해물질 제어
라. 하수 중 유효자원회수
마. 슬러지 자원화
(2) 국내기술개발 동향
가. 에너지 효율화/효율향상(기존 공정 효율화)
나. 에너지 효율화/효율향상(신공정 효율화)
다. 미량유해물질 제어
라. 하수 중 유효자원회수
마. 슬러지 자원화
4. 국내 상수도 사업 기술수준 및 민영화 계획 분석
1) 국내 상수도 기술수준 및 문제점
(1) 국내 물산업의 현황
(2) 국내 상수도사업의 기술수준 및 성장잠재력
2) 국내 상수도사업의 문제점
(1) 지자체의 지방상수도 운영상 문제점
가. 규모의 경제 실현 곤란
나. 운영의 비효율성
다. 자기 규제적 관리체계의 모순
라. 불합리한 상수도 요금구조
(2) 지역간 서비스 불균형 및 과잉투자
가. 지역간 서비스 불균형
나. 광역상수도 및 지방상수도 관할부처간 정책연계 미흡으로 중복?과잉 시설투자
(3) 물관리 체계의 다원화
(4) 한국수자원공사 광역상수도 운영상 문제점
3) 지방 상수도 민간위탁(민영화) 계획 분석
(1) 지방 상수도 민간위탁 현황
가. 전국 지자체 민간위탁 현황
나. 충청남도 현황
(2) 정부의 『물 산업 육성 전략』추진계획
(3) 지방 상수도 운영 효율화 사업
(4) 민간위탁(민영화) 사례와 문제점
가. 지방 상수도 민간위탁 사례
나. 해외 상수도 민영화 사례
(5)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상수도 정책의 문제점
(6) 상수도 민간위탁(민영화)와 맞선 공공적 대안
제3장 수(水)처리 해수담수화 차세대 산업 및 기술연구개발 동향
1. 차세대 해수담수화 플랜트 산업 및 기술동향
1) 해수담수화 개요
(1) 해수담수화의 필요성
(2) 해수담수화의 방법
(3) 역삼투법(RO)
2) 해수담수화 시장현황 및 전망
(1) 국내 시장
(2) 해외 시장
(3) 해수담수화 잠재능력 및 생산비용
가. 해수담수화 개발 잠재능력 및 시장예측
나.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추진 계약 및 생산비용의 경향
다. 해수담수화 생산비용 저하에 기여한 기술의 발전 현황
라. 해수담수화 생산비용에 영향을 주는 인자
마. 정제수 가격(TWC)의 변동
바. 해수담수화 비용 산출방법 분석
(4) 해수담수화 해외시장진출 방안
가. 중동지역 시장여건: 물 공급을 위한 유일한 방안
나. 아시아 지역 시장여건: 중국, 인도의 급격한 물수요 증가
다. 해수담수화 진출확대 방안: 핵심기술력을 토대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
⒜ 핵심기술의 확보
⒝ 현지화 및 대외협력강화
(5) 역삼투막 시장의 구조와 전망
가. 높은 경제성으로 활용성 점차 증대
나. 시장 규모
다. 에너지 소비량 개선 기술 연구 활성화
(6) 해수담수화 시장의 EPC와 O&M
가. 한국, 물산업 수출 비중 해수담수화가 66.6%
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신기술 개발 필요
다. 해수담수화, 에너지 저감 기술개발이 관건
3) 해수담수화 기술동향
(1) 차세대 기술현황 및 과제
가. 기술 추이
나. 차세대 기술개발
다. 미래 기술
라. 국내 기술현황 및 과제
(2) 국내?외 기술동향
가. 해수담수화기술 추이: 증발법에서 역삼투법으로 전환
나. 신개념 해수담수화 기술: 에너지 사용량의 최소화가 관건
2. 해수담수화 신기술 및 연구기술개발 동향
1) 국내 해수담수화 기술 연구개발 동향
(1) 정부의 해수담수화 기술 연구개발 지원 동향
(2) 국내 민간기업의 해수담수화 기술 연구개발 동향
2) 차세대 해수담수화 기술 연구
(1) 기존 해수담수화 기술의 한계
(2) 차세대 해수담수화 기술 종류 및 전망
가. 정삼투 (Forward Osmosis) 기술
나. 막증류 (Membrane Distillation) 기술
다. PRO(Pressure Retarded Osmosis, 압력 지연삼투) 기술
(3) 국내 차세대 해수담수화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가. Forward Osmosis 기술
나. Membrane Distllation 기술
다. Pressure Retarded Osmosis 기술
3) 해수담수화 신기술 현황
(1) 역삼투 해수담수화 플랜트 구성
가. 해수취수 설비
나. 전처리 공정
다. 역삼투 공정
라. 후처리 공정
(2) 저에너지 역삼투 담수화 기술
가. 에너지 회수장치(Energy Recovery Device)
나. Permeate Splitting (Split Partial Second Pass)
다. Internal Staged Design
(3) 해수담수화 신기술
가. FO(Forward Osmosis) 기술
나. MD(Membrane Distillation) 기술
다. CDI(Capacitive Deionization)
(4) 해수담수 플랜트 적용을 위한 장치개발 및 적용기술
가. 실험 장치 및 방법
나. 해수담수 기술 원리
다. 결과 및 고찰
(5)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 동향
가. 동향 분석
⒜ 국내 동향
⒝ 해외 동향
나. 향후 전망
4)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해수담수화 기술관련 특허 분석
(1) 특허제도 및 분석방법
가. 특허제도
나. 정의 및 기술분류
다. 증발법 종류
라. 특허검색 대상
(2) 거시적 동향분석
가. 주요국가의 전체 특허 동향
나. 해수 담수화 역삼투막 기술발전의 위치
다. 출원인별 특허동향 분석
(3) 결론 및 향후 전망
제Ⅲ편 멤브레인 산업
제1장 산업분야별 멤브레인 기술적용/시장성분석 및 사업발전방안
1. 멤브레인 개요 및 시장 현황
1) 멤브레인 개요
(1) 정의
(2) 종류 및 정의
2) 멤브레인 시장 현황
(1) 에너지 분야가 시장 성장을 주도
(2) 글로벌 선도 기업 중심으로 공격적 투자
(3) 멤브레인 성능을 향상시키는 와해성 기술의 등장
(4) 국내 기업들은 아직 원천 소재 기술 부족
3) 멤브레인 국내외 현황 및 전망
(1) 세계 현황
(2) 국내 현황
(3) 향후 전망
(4) 기술개발 동향
가. 수처리 분야
나. 에너지 분야
(5) 주요 용도별 수요 현황 및 전망
가. 수처리용 멤브레인 현황 및 전망
나. 에너지용 멤브레인 현황 및 전망
4) 기업 및 정책사례 분석과 시사점
(1) 수처리 분야
가. GE
나. 웅진케미칼(주)
(2) 에너지 분야
가. Celgard, Asahi Kasei, Dupont
나. SK에너지(주)
(3) 시사점
2. 분리공정별 멤브레인 산업 및 기술동향
1) Liquid-Solid separation
(1) Reverse Osmosis(RO) membrane
가. Preparation of RO industrial membrane
⒜ Asymmetric RO membrane
⒝ Composite RO membrane
나. RO membrane의 산업동향
⒜ Application of RO membrane
⒝ RO membrane 기업 및 시장동향
(2) Nanofiltration(NF) membrane
가. Separation mechanisms of NF membrane
나. NF industrial operations in nonaqueous system
다. Membrane for separation in organic solvent system
라. NF membrane 기업 및 시장동향
(3) Ultrafiltration(UF) membrane
가. UF membrane materials and modules
나. Application UF membrane
다. UF membrane 기업 및 시장동향
(4) Microfiltration(MF) membrane
가. MF membrane materials and modules
나. MF membrane 기업 및 시장동향
2) 멤브레인 그 외 분리공정 시장 동향
(1) Pervaporation membrane 시장동향
(2) Gas membrane의 시장동향
(3) Membrane bioreactor(MBR)의 시장동향
3. 수처리용 멤브레인 기술개발 동향 및 소재분야 특허현황
1) 멤브레인 기술 및 시장동향
(1) 기술 및 시장현황
(2) 기술전망
2) 물 재이용 멤브레인 기술 및 시장동향
(1) 광범위한 수처리 위해 멤브레인 기술 선호
(2) 멤브레인 기술로 저비용 하수처리 실현
(3) 멤브레인 생물반응장치(MBR) 기술 활성화
(4) 물 재이용 분야에서도 멤브레인 대두
(5) 부차적 용도의 물도 재이용 가능
(6) 휴대용·패키징 솔루션
(7) 진화하는 멤브레인 기술
3) 다기능성 고분자 멤브레인 소재분야 특허동향
(2) 특허동향 분석 결과
가. 전체특허의 동향
⒜ 연도별 동향
⒝ 주요 출원인별 특허동향(역점분야 및 공백기술)
⒞ 각국의 세부기술별 특허분포
⒟ 세부기술별 주요 출원인 Top 10
나. 세부 기술별 연도별 동향
⒜ 세부 소재기술별 연도별 동향
⒝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강화 복합막 분야의 출원연도별 특허점수
⒞ 고유량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소재 분야의 출원연도별 특허점수
⒟ 저에너지 담수화용 고유량 멤브레인 소재분야의 출원연도별 특허점수
⒠ OBIGGS용 고투과선택성 기체분리용 멤브레인 소재분야의 출원연도별 특허점수
(3) 시사점
4) 하?폐수 처리용 MBR 분리막 기술 및 산업동향과 발전방향
(1) MBR을 중심으로 한 수처리용 분리막 기술발전 동향
가. MBR 기술의 발전사
나. 상업용 MBR 분리막 제품 현황 576
다. 상업용 분리막 소재 및 모듈 기술동향
라. 상업용 MBR 설치현황
마. 국내 MBR 기술수준 및 전망
(2) 하수 처리용 처리장비 및 분리막 시장분석
(3) MBR 하?폐수 처리기술 동향과 발전방향
5) 수처리용 세라믹 필터 연구 동향
(1) 세라믹 분리막의 발전 과정 및 제조 공정
(2) 세라믹 분리막의 연구 현황
(3) 재료연구소에서의 수처리용 분리막 관련 연구 현황
(4) 수처리 분야의 시장 현황
4. 나노 멤브레인 기술 및 산업동향과 발전방향
1) 기술의 개요
(1) 기술의 정의
(2) 기술의 분류
(3) 환경변화
가. 국내 멤브레인 시장에 대기업 대거 진출
나. 수처리용 멤브레인 제조 기술을 이차전지용 분리막에 활용
다. 와해성 기술을 이용한 분리막 성능향상
2) 나노 멤브레인 기술분야별 및 주요이슈
(1) 기술의 중요성
가. 물 산업 성장을 통한 수처리용 분리막 시장 확대
나. 이차전지용 분리막 시장으로 적용 확대
(2) 기술분야별 동향
가. 역삼투 복합막 제조 기술
나. 역삼투 복합막 표면 개질 기술
다. 비폴리아마이드계 역삼투 복합막 제조 기술
라. MF/UF 분리막 제조 기술
마. NIPS법에 의한 다공성 분리막 제조 기술
(3) 기술개발 주요이슈
가. CNT를 이용한 NF/RO 분리막 제조 기술
나. 해수담수화 및 에너지 저감을 위한 정삼투 분리막 제조 기술
(4) 주요 해외 연구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
라. 국내
(5) 기술경쟁력분석
3) 나노 멤브레인 산업동향 및 미래 연구방향
(1) 산업동향
(2) 시장규모 및 전망
(3)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니즈 분석
나. 산업특징 및 구조
다. 시장현황/전망분석
⒜ 멤브레인 시장 전망
⒝ 세라믹 멤브레인 시장 전망
⒞ 환경응용 나노기술 시장 전망
⒟ 생물막반응기 시장 (Global market direct, 2008)
라. 공급망(분류)에 따른 분석
마. 기업니즈조사
(4) 미래의 연구방향
(5) 국내 산업에 나아갈 방향
가. 신개념 분리막 기술 개발을 위한 융합연구 추진
나. 산·학·연의 역할 분담 및 유기적 협력 체계 구축
5. 기체분리용 고분자 멤브레인의 최근 개발 동향
1) 기체분리막의 원리
2) 기체분리막 소재 개발 동향
3) 기체분리막의 응용 동향
(1) 질소부화
(2) 수소분리
(3) 천연가스 정제
(4) 막제습기(Membrane Dryer)
(5) OBIGGS (On Board Inert Gas Generating System)용 기체분리 시스템
(6) 바이오 가스의 정제
(7) 이산화탄소 분리
(8) 타이어충전장치용
4) 기체분리막 관련 국내외 개발동향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