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소재산업현황 및 R&D실태분석 (양장) (학술) R&D정보센터
★★★★★ 평점(5/5)
지식산업정보원 | 2015-04-28 출간
판매가
320,000
즉시할인가
28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인류사회가 고도화 될수록 웰빙, 감성 등이 새로운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소비자들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동시에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로인해 세계적인 경제침체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시장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고, 몸에 좋고 안전한 식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반영되어 세계 식품시장의 규모 확대와 더불어 국내 식품시장도 그 규모가 커지고 있다. 이처럼 화장품과 건강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새로운 니즈와 바이오 기술 및 피부과학의 발전으로 국내 화장품 기술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면서 ‘바이오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한화장품협회는 2015년 화장품 시장의 화두를 ‘바이오’로 정했으며, 보건복지부는 2013년 발표한 ‘화장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에서 한방·발효화장품과 고기능성 원천소재 발굴에 정부 R&D를 중점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식품산업은 생명공학의 발달로 의약, 에너지 등 바이오 산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소득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삶의 질을 높이려는 욕구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계층의 다양화와 함께 전통적인 식품기업 외에도 화장품 및 제약 분야 등 다양한 기업들의 참여 증대, 혁신적 소재 개발이 증가하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미래 성장동력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이오 화장품·식품산업의 국내외 최신 동향을 분석 정리하여 ?바이오 화장품/건강기능성식품 소재산업현황 및 R&D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화장품 산업의 최근 트렌드와 주요 산업 동향 및 규제 현황, 바이오 화장품의 특허 동향과 신소재 분야 기술 분석, 천연·유기농 화장품 분야 산업 현황 분석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고부가 식품산업의 환경 분석과 건강기능식품, 유기가공식품, 전통발효식품의 생산·유통·소비 현황 및 특허 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Ⅰ편 바이오 화장품 산업
제1장 화장품 산업의 주요 발전 방향
1. 화장품 산업 개요
1) 화장품 산업의 정의와 생산관리체계
(1) 화장품 산업의 정의와 유형
가. 정의
나. 유형
(2) 화장품의 생산관리체계
2) 화장품 산업의 특성
(1) 성장전망
(2) 고용 및 부가가치 창출효과
(3) 취약한 산업 생태계
(4)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고조
(5) 소비자의 요구 증대에 따른 안전 관리 강화
(6) 수출을 저해하는 국내외 규제
3) 화장품 산업의 최근 트렌드
(1) 시장측면 트렌드
가. 브랜드숍 성장 지속
나. 진동화장품 강세 지속
다. 한류열풍으로 K-뷰티 각광
라. 개정 방문판매법 시행 업계 영향
마. 아모레 화장품 매출 2조원 돌파
(2) 산업측면 트렌드
가. 헬스&뷰티 스토어 경쟁 가열
나. 타업종 대기업 화장품사업 진출 증가
다. M&A로 시장변화 모색
라. 화장품 OEM, ODM 기업체계 변화
(3) 소재측면 트렌드
가. 신뢰도 높은 원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나. 바르는 화장의 진화, 먹는 화장품
다. 유기농 화장품, 인증제
라. 천연물 화장품
마. 한방화장품
바. 온천수, 심층수 화장품
사. 신시장 및 기술표준
2. 화장품 산업의 변화 방향
1) 화장품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2) 화장품 산업의 3대 변화 방향
(1) 바이오기술 기반
(2) 융복합 솔루션
(3) 기술/성분 마케팅
3. 화장품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현황
(1) 전체 시장 규모
(2) 유형별 시장 규모
(3) 국가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현황
(1) 국내 시장 규모
(2) 수출입 실적
4. 화장품 기업 동향
1) 해외 주요 기업 동향
2) 국내 기업 현황
(1) 성장성 주요 지표
(2) 수익성 주요 지표
(3) 안정성 주요 지표
5. 화장품 정책 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1) 안전성 국제규제 강화
(2) 국제표준 마련 정책 지속
가. ICCR(International Cooperation on Cosmetic Regulation)
나. ISO/TC 217
(3) 화장품 및 유기농 인증제
가. 유기농 인증제도
나. 유기농 화장품 인증제도
2) 국내 정책 동향
(1) 국가지원사업
가. 글로벌 경쟁력을 위한 화장품?뷰티 산업 지원
나.「2020 화장품 산업, G7국가로 진입」화장품산업 중장기 발전계획
다. 향장 콘텐츠 산업기술 지원사업
(2) 국내 화장품법 개정
가. 제조판매업 등록제 도입
나. 화장품 포장의 기재·표시 개선
다. 샘플 판매 금지
라. 광고 실증제 도입
(3) 지자체의 화장품 산업화 정책
가. 충북의 오송화장품박람회에 이은 진천군 화장품 산업단지 추진
나. 인천의 뷰티도시조성“베누스 프로젝트”사업 추진
다. 경상북도의 경산시의 글로벌코스메틱 단지조성
라. 경기도 오산의 글로벌 화장품산업연구원 구축
마. 남원시 친환경 화장품 클러스터 조성
바. 제주 뷰티향장산업 융복합 협의회
6. 화장품 원료 산업 주요 동향
1) 국내 화장품 원료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1) 복합 기능성 원료의 성장
(2) 원료의 국산화 비중 상승
(3) 전 세계가 주목하기 시작, 글로벌 수출 확대
2) 국내 화장품 원료 산업 동향
(1) 전방산업 호황에 따른 중장기 구조적 성장
(2) 천연 및 기능성 화장품 원료 사용 비중 증가 추세 지속
(3) 국내 생물자원 원료 확보 시급- 국내 원료업체 수혜
가. 2014년 10월 나고야의정서 발효
나. 나고야의정서 채택 이전에도 보상 요구 존재
7. 화장품 산업의 규제 현황
1) K-Cosmetic 활성화를 위한 화장품산업 규제개선방안
(1) 화장품산업 규제현황
가. 국내 주요 규제
나. 해외 규제
(2) 화장품 산업 관련규제의 문제점
가. 개발단계의 문제점
나. 제조판매단계의 문제점
다. 유통단계의 문제점
라. 사후관리단계의 문제점
(3) 단계별 정책대안
가. 개발단계의 정책대안
나. 제조판매단계의 정책대안
다. 유통단계의 정책대안
라. 사후관리단계의 정책대안
2) 화장품 산업의 주요국 환경규제 대응방안
(1) 화장품의 안전 확보
가. 유럽의 규제
나. 중국의 규제
(2) ISO/TC 217
(3) 신화학물질관리제도
(4) 동물시험법
(5) 나고야 의정서
제2장 화장품 분야 바이오 신소재 현황 분석
1. 바이오 신소재의 개요
1) 바이오 신소재 정의 및 범위
(1) 정의
(2) 범위
2) 바이오 신소재 산업 특성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3) 바이오 신소재 산업의 환경 분석
(1) 정책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바이오 신소재 산업 현황 및 기술 분석
1) 바이오 신소재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규모
(3) 바이오 신소재 분야 수출입 현황
2) 바이오 신소재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2) 국내 업체 동향
3) 바이오 신소재 분야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4) 바이오 신소재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3. 바이오 유래 화장품 소재 현황 분석
1) 천연 화장품 소재의 개요
(1) 천연 화장품 소재의 정의 및 범위
가. 정의
나. 범위
(2) 천연화장품 소재 산업의 특성
2) 천연 화장품 소재 시장 및 기술 분석
(1) 천연 화장품 소재 시장 현황 및 전망
(2) 천연 화장품 소재 특허 동향
가. 세계 특허 동향
나. 국내 특허 동향
제3장 바이오 화장품과 생물자원 특허 동향
1. 바이오 화장품의 개요
1) 바이오 화장품의 정의 및 특성
(1) 바이오 화장품의 정의
(2) 바이오 화장품의 특성
2) 기능성 화장품의 정의 및 종류
(1) 기능성 화장품의 정의
(2) 기능성 화장품의 이용 실태
(3) 기능성 화장품의 종류
가.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피부미백제)
나. 피부의 주름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주름개선제)
다.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자외선차단제)
3) 바이오 화장품 발전 배경
2. 바이오 화장품 특허 동향
1) 특허 분석 개요
(1) 분석 개요
(2) 유효특허 도출 결과
2) 전 세계 특허 동향
(1) 국가/연도별 출원 동향 및 특허 점유율
(2) 국가별 주요 특허권자 TOP10
3) 국내 특허 동향
(1) 주요 출원인 동향
가. 내외국인 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나. 포트폴리오로 본 한국의 기술위치
다. 출원인 국적별 출원동향
라. 다출원인 TOP10
(2) 기술별 특허 동향
가. 기술 분야별 점유율
나. 기술 분야 구간별 특허 동향 점유율
다. 주요 기업 역점분야
4) 주요국 특허 동향
(1) 미국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기술별 특허 동향
(2) 일본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기술별 특허 동향
(3) 유럽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기술별 특허 동향
(4) 중국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기술별 특허 동향
3. 생물자원의 국내외 현황
1) 생물자원의 정의와 가치
(1) 생물자원의 정의
(2) 생물자원의 가치
2) 생물자원의 국내외 현황
(1) 해외 현황
(2) 국내 현황
3) 나고야 의정서(Nagoya Protocol)
4) 화장품과 생물자원
4. 생물자원 특허 동향
1) 생물자원 특허분석 개요
2) 생물자원 특허 현황 분석
(1) 전체 특허 생물자원 현황
(2) 국가별 생물자원 특허 현황
가. 한국의 생물자원 특허 현황
나. 미국의 생물자원 특허 현황
다. 일본의 생물자원 특허 현황
라. 유럽의 생물자원 특허 현황
마. 중국의 생물자원 특허 현황
3) 기능별 생물자원 특허 현황 분석
(1) 기능별 생물자원 특허 현황
(2) 화장품 기능별 생물자원 특허 동향
가. 미백
나. 보습
다. 복합
라. 자외선
마. 주름
바. 클린징
제4장 천연/유기농 화장품 산업 동향
1. 자연주의 화장품 개요 및 주요 동향
1) 자연주의 화장품 개요
2) 자연주의 화장품 시장 및 R&D 현황
(1) 자연주의 화장품 시장 현황
(2) 자연주의 화장품 R&D 현황 및 기술니즈
2. 천연 화장품 시장 동향
1) 세계 천연 화장품 시장 현황
(1) 전 세계 시장 현황
(2) 지역별 시장 현황
(3) 유형별 시장 현황
(4) 판매채널별 시장 현황
2) 국내 천연 화장품 시장 현황
(1) 일반 현황
(2) 매출 현황
(3) 기술 및 정책니즈 현황
3. 천연 화장품 정책 및 인증제도
1) 해외 주요국 인증제도
(1) 프랑스
가. 에코서트(ECOCERT)
나. 코스메비오(COSMEBIO)
다. 뷰로베리타스(BUREAU VERITAS)
라. IFOAM
(2) 미국
가. USDA ORGANIC
나. QCS
다. QAI
라. OASIS
(3) 독일
가. BDIH
나. 바이오랜드
다. DEMETER
(4) 영국(SOIL)
(5) 일본(JAS)
(6) 스위스(BIOSWISS)
(7) 뉴질랜드(BIOGRO)
(8) 호주
가. BFA
나. ACO
다. NASAA
라. OFC
(9) 이탈리아(ICEA)
2) 국내 인증제도
(1) 국가기관
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나. 식품의약품안전처(유기농 화장품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2) 민간기관
가. 돌나라유기인증코리아
나. 친환경농산물인증기관협회
다. 한국유기농인증원
라. 글로벌유농인
4. 천연 화장품 특허 동향
1) 천연 화장품 조성물 특허 동향
(1) 국가별/연도별 특허출원동향
(2) 출원인 국적변화 동향
(3) 국가별 주요출원인 현황
(4) 국가별 내/외국인 출원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라. 한국
2) 세부 기능성별 특허 동향
(1) 기능성별/연도별 특허 출원동향
(2) 기능성별 특허점유율 및 증가율 현황
가. 전 세계
나. 미국
다. 일본
라. 한국
마. 유럽
(3) 주요출원인별 기능성 출원 현황
가. 유럽
나. 일본
다. 한국
라. 미국
5. 유기농 화장품 시장 동향
1) 천연/유기농 화장품 시장규모 현황
(1) 지역별 현황
(2) 유형별 현황
(3) 국가별
(4) 판매 채널별
2) 유기농 화장품 제조판매 및 매출 현황
(1) 유기농 화장품 취급 현황
(2) 유기농 화장품 매출 현황

제Ⅱ편 고부가식품 산업
제1장 고부가식품 산업 주요 현황 분석
1. 고부가식품의 개요
1) 고부가식품의 정의와 범위
(1) 고부가식품의 정의
(2) 고부가식품의 범위
2) 고부가식품 산업 특징과 구조
(1) 고부가식품 산업의 특성
(2) 고부가식품 산업 구조
3) 고부가식품 산업 환경 분석
(1) 정책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요인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식품산업 현황 및 생태계 구조
1) 식품산업의 개요
(1) 식품산업의 정의와 구성
(2) 식품산업의 구조
2) 식품산업 시장 현황
(1) 세계 시장 현황
(2) 국내 시장 현황
3) 식품분야 국내 정책/특허 동향
(1) 식품분야 주요 정책 동향
가. 농림수산식품부
나. 식품의약품안전처
(2) 식품분야 특허 동향
4) 국내 식품산업의 성장 잠재력 및 문제점
(1) 국내 식품산업의 성장 잠재력
(2) 국내 식품산업의 문제점
가. 식품산업의 영세한 규모
나. 식품산업의 미흡한 연구·개발 규모
5) 국내 식품산업 지역별 발전 현황
(1) 시도별 식품제조업 분포 특성
(2) 시군구별 식품제조업 분포 특성
(3) 도시지역과 농산어촌지역 간 특성 비교
6) 식품산업의 지역생태계 구조와 특성
(1) 식품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2) 식품산업 지역생태계의 구조적 특성
3. 고부가식품 산업 현황 분석
1) 고부가식품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2) 국내 시장 규모
(3) 무역 현황
2) 고부가식품 업체 동향
(1) 해외 업체 동향
(2) 국내 업체 동향
3) 고부가식품 R&D 동향
(1) 해외 R&D 동향
(2) 국내 R&D 동향
4. 고부가식품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제2장 건강기능식품 산업 동향 및 소재 현황
1. 건강기능식품의 개요
1) 건강기능식품의 정의
2)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1)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2)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
가. 기능성 원료인정 현황
나. 식약처장이 별도로 인정한 원료 또는 성분
다. 식약처장이 고시한 원료 또는 성분(84종)
3) 건강기능식품 관련 마크/코드
(1) 건강기능식품 관련 마크
가. 건강기능식품 마크
나. 표시·광고 사전 심의필 마크
다. GMP 마크
(2) 건강기능식품 분류 코드
4) 건강기능식품의 생산?유통?소비 흐름
2. 건강기능식품 생산/유통/소비 현황
1)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1) 해외 현황
가. 미국
나. 일본
(2) 국내 현황
가. 시장규모 및 성장률
나. 시장 전망
2) 건강기능식품 생산 현황
(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및 수입 기준
(2) 건강기능식품의 생산 규모
가. 건강기능식품 제조 및 수입업체
나. 건강기능식품 생산 실적
다. 건강기능식품 수입 실적
라. 건강기능식품 수출 실적
3) 건강기능식품 유통 현황
(1) 건강기능식품 유통?판매업체
(2) 건강기능식품 유통?판매 구조
가. 건강기능식품 주요 유통?판매 채널
나. 유통?판매 채널별 주요 특징
다. 유통?판매 채널별 비중
라. 소매 유통 채널별 판매액
4) 건강기능식품 소비 현황
(1) 브랜드 현황
가. 시장 내 주요 브랜드
나. 브랜드별 제품 특징
(2) 소비자 특성
가. 소비자 조사 개요
나. 건강기능식품 이용 특성
(3) 소비 트렌드
가. 해외 시장 소비 트렌드
나. 국내 시장 소비 트렌드
3. 건강기능식품 기술개발 동향
1) 세계 동향
(1) 해외 기술 동향
가. 미국
나. 유럽
다. 일본
(2) 국제적 컨소시엄 및 공동연구
가. Vitafoods
나. HEALTH PLEX EXPO 2012
다. Natural Products Expo West
라. Functional Foods Symposium 2011
마. EULAFF Consortium
바. functional foods project & metabolic atlas
사. Pakistan-US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Program
2) 국내 동향
(1)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련 기술동향
(2) 국내 건강기능식품 관련 컨소시엄
가. 건강기능식품미래포럼
나. 바이오코리아
4. 건강기능식품 기업체 현황
1) 건강기능식품의 주요 제조사 현황
(1) 건강기능식품 주요 제조사 실적
(2) 건강기능식품 주요 제조사 특징
(3) 경쟁 현황 분석
2) 건강기능식품 기업체 생산/판매 및 기술니즈 현황
(1) 현재 생산/판매 현황
(2) 향후 생산/판매 니즈 및 기술이전 의향
3) 효능별 현황
(1) 기초체력 분야
(2) 혈행/혈당 분야
(3) 세부기능 분야
(4) 다이어트 및 스트레스 / 피부 및 알레르기 분야
(5) 성장/노화 분야
4) 기술개발 시 애로사항
5. 건강기능식품 분야 바이오 신소재 현황 분석
1)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의 범위
2)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산업의 특성
3)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시장 동향
4)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제3장 유기가공식품 특허 및 인증 현황
1. 유기가공식품의 개요
1) 유기가공식품의 정의와 범위
(1) 정의 및 필요성
(2) 범위
2) 유기가공식품 산업의 특성
2. 유기가공식품 시장 및 특허 동향
1) 유기가공식품 국내외 시장 동향
2) 유기가공식품 국내외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3.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및 인증현황
1)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
(1) 유기가공식품 인증제도의 목적
(2) 인증 대상
(3) 인증 절차
가. 인증신청
나. 처리기간
다. 인증심사
라. 인증심사 결과 통보
(4) 인증품의 표시
(5) 인증품의 사후관리 : 연 1회 이상
(6) 인증의 유효기간 : 1년(법 제21조제1항)
(7) 인증의 갱신(법 제21조제2항)
(8) 인증의 변경(법 제20조제5항)
(9) 인증품의 유효기간 연장(법 제21조제3항)
(10) 인증의 승계(법 제33조)
(11) 인증사업자의 준수사항(법 제22조)
(12) 인증 취소 등(법 제24조)
(13) 인증 등에 관한 부정행위의 금지(법 제30조)
(14) 벌칙 사항
(15) 양벌규정(법 제61조)
(16) 과태료(법 제62조)
2) 유기가공식품 인증 현황
(1) 인증기관 지정 현황 : 16개(국내 12, 외국 4)
(2) 국가별 : 667개 업체(국내:529, 외국:138 ), 3,473개 제품(국내: 2,726, 해외: 747)
(3) 표시제 폐지 후 국가별 인증실적 변동
(4) 연도별 인증현황
(5) 인증기관별 인증 변동현황
(6) EU 유기가공식품인증 현황
4. 농림축산식품 민간 R&D 현황 및 정책
1) 농업 R&D의 개요
(1) 농업 R&D의 개념 및 특성
가. 농업 R&D의 개념
나. 농업 R&D의 특성
(2) 농업 혁신시스템에서 민간 R&D의 역할
가. 혁신의 정의
나. 농업 혁신시스템
다.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R&D의 역할
2) 농림축산식품 민간 R&D 현황 및 정책
(1) 농식품 산업 현황
(2) 국가 전체 R&D에서의 농업 R&D
가. 국가 전체 R&D 현황
나. 농업 목적 R&D
(3) 정부부처 농업 R&D 현황
가. 부처별 추이
나. 경제사회 목적
다. 수행주체
라. 기타
(4) 민간부문 농업 R&D 현황
가. 산업별 농업목적 연구개발비
나. 농업관련 산업 R&D 지출액 추이
다. 농업관련 산업 기업체 유형별 R&D 지출액
라. 농업관련 산업 기업체 재원별 R&D 지출액
마. 농업관련 산업 기업체 용도 및 연구단계별 R&D 지출액
바. 생산자 단체
사. 설문조사 결과
(5) 민간 R&D 관련 정부 정책
가. 농식품 R&D 정책 방향
나. 농식품 민간 R&D 세부추진계획
다. 농식품 기업유형별 맞춤형 전략 추진
라. 민간 R&D 투자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강화
마. 민간 R&D 투자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
바. 개발기술에 대한 실용화 산업화 촉진
사. 범부처 차원의 민간 R&D투자 활성화 정책
제4장 전통발효식품 분야별 주요 동향
1. 웰빙전통식품 산업 현황 분석
1) 웰빙전통식품의 개요
(1) 웰빙전통식품의 정의와 분류
가. 정의와 필요성
나. 분류
(2) 산업의 특징과 구조
2) 웰빙전통식품 시장 동향
3) 웰빙전통식품 특허 동향
(1) 세계 특허 동향
(2) 국내 특허 동향
2. 발효식품 산업 현황 분석
1) 발효식품의 정의
2) 발효식품 시장 동향
(1) 국내외 시장 현황
(2) 주요 식품별 시장 현황
가. 김치류
나. 장류
다. 젓갈류
라. 발효주 506
3) 발효식품 관련 국내외 정책 현황
4) 발효식품 연구개발 현황
5) 발효식품 특허 동향
(1) 전 세계 특허 동향
가. 국가/연도별 출원 동향 및 특허 점유율
나. 국가별 주요 특허권자 TOP 10
(2) 국내 특허 동향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기술별 특허 동향
3. 김치 산업 현황 분석
1) 김치의 개요
(1) 김치의 정의와 유형
가. 정의
나. 유형
(2) 김치 관련 제도
가. 김치의 인증제도
나. 김치 산업 관련 제도
2) 김치 시장 현황
(1) 김치 소비 시장 규모
가. 김치의 소비 동향
나. 김치 종류별 소매 시장 규모
(2) 김치 브랜드 현황
가. 대상 FNF - 종가집 김치
나. CJ제일제당 - 하선정 김치
다. 한울 - 한울 김치
라. 풀무원
마. 동원 F&B - 양반김치
(3) 해외 시장 동향
가. 일본
나. 미국
다. 대만
라. 중국
(4) 국내 시장 동향
가. 김치에 대한 대내외 홍보 강화
나.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김치 출시
다. 김치 유산균 제품 출시
3) 김치 생산/수출입 현황
(1) 김치 생산 현황
가. 김치 국내 생산 및 출하 실적 추이
나. 김치 주요 생산 업체
다. 김치 주요 제조사 현황
(2) 김치 수출입 현황
가. 김치 수출입 실적 추이
나. 주요 국가별 김치 수출입 현황
다. 주요 국가별 김치 수출입 단가
4) 김치 유통/판매 현황
(1) 김치 유통 현황
가. 김치 유통/판매 구조
나. 김치 시장 규모
(2) 김치 소매 유통 판매 현황
가. 김치 소매 유통 채널별 판매액
나. 소매 유통 채널의 김치 판매 가격
다. 소매 유통 채널의 김치 판매 점유 현황
4. 장류 산업 현황 분석
1) 장류의 개요
(1) 장류의 유형
(2) 장류 생산 공정
가. 간장
나. 고추장
다. 된장
라. 장류 제조 공정상의 위해 요인 및 예방 관리
2) 장류 분야별 시장 현황
(1) 간장
가. 시장 규모
나. 간장 특성별(타입 및 용량) 현황
(2) 고추장
가. 고추장 시장 규모
나. 고추장 특성별(타입 및 용량) 현황
(3) 된장
가. 된장 시장 규모
나. 된장 특성별(용기 및 용량) 현황
3) 장류 생산/제조사 현황
(1) 장류 생산 동향과 시장 규모
가. 생산 동향
나. 시장 규모와 특징
(2) 장류 제조사 및 경쟁 현황
가. 장류 제조사 현황
나. 장류 제조사별 경쟁 현황
4) 장류 유통 구조와 현황
(1) 장류 유통 구조
(2) 주요 유통채널별 판매 현황
가. 유통채널별 점유율 현황
나. 유통채널별 Top selling 제품 현황
5. 전통주 산업 현황 분석
1) 탁주의 개요
(1) 탁주의 정의와 원료
가. 정의
나. 원료
(2) 탁주의 유형
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개별표시기준에 따른 유형
나. 시장에서의 분류 유형
(3) 탁주의 인증제도
가. 술품질인증제도
나. 전통식품 품질인증제도
(4) 탁주의 생산·소비·유통 흐름
2) 탁주 시장 현황
(1) 탁주 소비 시장 규모
(2) 탁주 브랜드 현황
가. 서울탁주제조협회 - 서울 생장수
나. 서울장수주식회사 ? 월매
다. 국순당 ? 국순당
라. 부산합동양조(부산탁약주제조협회) - 생탁
마. 울산탁주 ? 태화루
바. 서울생주조 ? 생생
3) 탁주 생산/제조사 현황
(1) 탁주 생산 현황
가. 생산 현황
나. 수출입 현황
(2) 주요 제조사 현황
가. 제조면허 현황
나. 생산업체 현황
다. 주요 제조사 현황
4) 탁주 유통 현황
(1) 주류판매업면허 현황
가. 주류판매업면허 개요
나. 주류판매면허 현황
(2) 탁주 유통 현황
가. 유통·판매 구조
나. 소매 유통 채널별 판매액
다. 판매 가격
라. 기업별 유통 채널 점유 현황
통계(도표) 목차
책제원정보
ISBN 9788994111049
판형정보 612쪽 / 215 X 298 mm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출판일 2015-04-28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바이오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소재산업현황 및 R&D실태분석 (양장) (학술)
    288,000원

총 주문금액

28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