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세계적으로 9.11 테러공격 이후, 그리고 탄저균 우편배달 사건 여파 속에서 군, 법무관계, 보안 관련 기관들은 생물학적/화학적 물질을 바이오센서를 써서 탐지하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크다. 또한 새로운 의약품의 실험, 장시간에 걸쳐서 투여되는 의약품의 모니터링 및 제어 등 바이오센서가 가진 장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바이오센서는 진단 한계를 낮춤(정밀)으로써 질병 등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게 하고, 특정 항원을 타깃으로 하는 센서를 통해 약물 배달체로 사용되는 등 임상진단 및 의료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각종 환경 호르몬에 선택성을 지니며 낮은 농도까지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 대한 연구를 통해 환경적 문제의 해결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나노바이오(Nanobio technology) 기술은 바이오기술(BT)과 나노기술(NT)의 융합 기술로 물리, 화학, 의학, 전자공학, 재료공학 등 융합기술 분야에서 바이오기술과 나노 구조를 기본으로 한 입자, 선, 필름 등 새로운 영역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대표적인 첨단산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미래에는 각종 질병의 조기 진단, 환경오염에 대한 조속한 대비, 각종 위험 물질에 대한 안정성 확보 등 유비쿼터스한 센싱 시스템이 확립된 인간 중심의 바이오센서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렇듯 바이오센서 및 나노바이오 산업은 21세기 인류의 생활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을 수 있는 꿈의 기술로서 의학, 재료, 정보, 에너지, 농수산, 환경 등의 분야에 경제적?사회적으로 커다란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바이오센서 및 나노바이오융합 산업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바이오센서 응용분야별 R&D현황 및 나노바이오융합 기술/시장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1편에서는 바이오센서 응용분야별 기술개발동향 및 시장전망, 생산사례, 헬스케어를 위한 바이오센서 산업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2편에서는 나노바이오 연구개발 및 정책동향과 의료융합기술 개발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