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각 산업분야에서 경량화?고강도?내열성 등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을 갖는 복합소재와 차세대 융합 신소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각기 다른 소재의 융합을 통한 고기능 하이브리드 소재가 탄생하면서 고방열, 고내열, 고강도, 초경량, 전자파 차폐·흡수 등의 기능이 극대화되었고 우주항공, 자동차, 전기·전자, 에너지, 환경 분야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그 파급효과는 전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 환경 규제와 원가 절감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히 자동차 업계와 전자기기, 의료기기 등의 산업 군에서 고기능, 경량화 소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고기능 경량화를 위한 소재부품 개발과 적용에 적극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복합신소재는 우리나라 소재?부품산업에 큰 활력을 줄 것이고 전후방 산업의 제품개발 기술혁신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며, 복합소재 기술은 고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우리나라가 복합소재에 대한 핵심기술 확보가 부족하여 국내수요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는 나노카본기반 기술 육성과 같은 첨단 복합소재분야의 정책지원과 사업화를 추진하며, 관련 기업체 및 연구소 등에서도 복합신소재에 대한 다양한 기술연구와 제품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고기능성 신소재 복합재료에 대한 기술개발 동향과 적용사례, 산업동향 등을 분석하여 국내 복합신소재 관련 기술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고기능성 신소재 복합재료산업 실태분석-비철금속/세라믹/고분자/섬유/나노기반」을 발간하였다. 본서는 고기능성 복합소재의 전반적인 기술개발동향, 금속 및 비철금속재료의 산업동향, 파인세라믹을 대표로 하는 비금속 무기재료와 신고분자 복합재료의 기술개발 동향과 산업현황, 슈퍼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소재별 특징과 기업체 동향, 섬유강화 복합소재의 기술동향과 시장현황, 나노카본기반 및 금속나노기반 등과 같은 유·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소재의 기술동향에 이르기까지의 제반정보를 소개하고 정리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