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세계적인 경기불황에도 불구하고 미(美)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커지면서 뷰티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뷰티산업은 웰빙(Well-being), 감성소비와 새로운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여 크게 성장하고 있는 신성장 산업으로 한류 및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 수준 높은 인적자원 등 새로운 관광·수출 콘텐츠로의 큰 성장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인 한류 열풍에 힘입어 일본,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는 전지현, 이민호, 김수현, Exo 등 한국 연예인의 특정 헤어스타일,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즉 한류 스타들의 드라마, 음악에 대한 선호를 넘어, 그들의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의상, 화장품, 얼굴형, 영상 촬영지 관광 패키지 상품 등의 관심으로 한국에 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국가 이미지도 증진되는 것이다.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향수 및 화장품 구매 비중은 2010년 36.9%에서 2013년 50.1%로 높게 상승했으며, 이를 통해 한국 뷰티 컨텐츠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한류문화의 영향으로 외국인 환자 및 재외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관광객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 및 의료산업의 경쟁과 개방으로 의료관광객의 이동량과 그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가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의료관광 산업은 각국의 주요 전략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 차원에서 의료관광을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지정해서 각종 제도 개선 및 산업 육성을 추진해 왔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뷰티 산업 및 의료관광 산업의 국내외 최신 동향을 분석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고부가 뷰티?의료관광/기능성화장품 천연소재 기술현황과 시장전망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뷰티 산업의 현황 및 정책동향, 의료관광의 국내외 동향 및 사례분석, 발전방안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화장품 산업의 국내외 산업 동향 및 수입관리제도, 기능성/자연주의 화장품 시장 및 특허 동향을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