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뿌리산업은 주조, 금형, 용접, 소성가공, 열처리, 표면처리 등을 통하여 원료를 소재로, 소재를 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기초공정산업이다.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나무뿌리처럼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을 형성하는 산업으로 우리나라의 산업발전과 국제경쟁력 향상의 든든한 바탕이 되어 왔다. 그러나 기술수준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기술선도기업, 첨단기술의 부족으로 고부가가치 제품 기술개발의 대응이 부족하였다. 현재 세계 각국은 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기로에서 ‘제조업 혁신’이라는 새로운 정책적 화두를 해결하고자 첨단생산기반 기술의 혁신,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추진하는 상황이다. 독일, 일본 등은 제조업 비중이 20%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들은 고도성장기 부터 뿌리산업 육성정책을 지속해 오고 있다.
우리나라도 부품소재정책에 추가하여 뿌리산업 육성과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입안하는 등 기술력 향상에 주력하고 있으며, 금속산업은 정부의 집중적인 육성정책과 자동차, 조선 등 수요산업의 안정적 성장에 힘입어 1970년대 이후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철강 등 금속분야는 한국 경제·산업계에서 중요한 위상을 점유하고 있는 분야로 손꼽힌다. 하지만 경쟁 상대국인 중국과 일본에 비해 잠재경쟁력의 저하가 우려되는 실정이며, 경쟁심화에 따른 공급설비의 과잉으로 금속소재 산업계는 생존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으로 경쟁력 강화가 그 어느 때보다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금속소재와 뿌리산업의 국내외 최신 동향을 분석하고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자료를 분석 정리하여 「기초공정/6대뿌리산업 및 금속소재산업 국내·외 시장/기술현황과 산업동향분석」발간하였다. 본서 제Ⅰ편에서는 금속소재산업 동향과 R&D 투자 현황, 철강/비철금속/희소금속/금속분말 소재 산업의 시장 전망과 기술 동향을 수록하였으며, 제Ⅱ편에서는 뿌리산업의 기술수준과 육성정책, 주조/금형/소성가공/용접접합/열처리/표면처리 산업현황을 분석 수록하였다. 아무쪼록 본서가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