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편 소프트웨어 산업
제1장 SW 산업 현황 및 전망
1. SW 산업의 개요
1) SW 산업 정의 및 중요성
(1) SW 및 SW산업 정의 및 범위 41
가. SW
나. SW산업
(2) SW 산업의 중요성
가. IT산업 패러다임 변화 및 제품 소비 형태 혁신의 주역으로 부상
나. 성장 핵심
다. 산업 확대
라. 안보 직결
2) SW 산업의 환경 변화
(1) 정책ㆍ제도적 환경
가. 분리발주의무화 규정 개정
나. 전주기 R&D 기술생애 관리
다. SW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글로벌 인식 공유
(2) 경제적 환경
가. 모바일기기 및 네트워크 등 인프라 구축 강화
나. 타산업 대비 높은 부가가치
다. 글로벌 기업의 국내시장 주도
라. M&A 확대, 낮아진 시장장벽 등 시장경쟁 확대
(3) 사회적 환경
가. 이동성 및 개인화 서비스 확대
나. 실시간, 정보의 무한확장, 실제감, 상황인식 등 4R이 중요해짐
다. 개인의 오픈시장 참여 니즈 확대
라. 업무 환경의 모호해진 경계
(4) 기술적 환경
가. IT자원 간 통합 및 서비스화 기술 발달
나. 현실과 근접한 가상현실 기술의 진보
다. 하드웨어 제어를 위한 산업맞춤형 SW 강화
라. 녹색성장산업 강화를 위한 SW의 중요성 확대
3)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의 문제점
(1) 다단계식 하청이 일반화된 IT 서비스 업계
가. 자체 개발에 인색하며 SW를 비용 절감의 대상으로 여기는 관행
나. 기술력과 전문성을 축적하지 못하는 업계
(2) SW 업체의 수익 악화와 글로벌 경쟁력 약화
가. 영세한 업체 중심의 한국 SW 업계
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SW 전문 기업 드물어
(3) 인재가 떠나는 SW 업계
가. SW 업계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업종 기피 현상
나. 소프트웨어 R&D 인력의 부족
다. 우수 인재를 떠나게 하는 산업 환경
(4) 어렵게 개발한 소프트웨어, 내다 팔 시장이 없다
가. 불법 소프트웨어 이용에 관대한 문화
나. 사지 않고 모방하려고 하는 기업 문화
2. SW 산업 주요 동향
1) 국내 SW 산업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생산 현황
가. 전체 생산 현황
나. 부문별 생산 현황
(3) 수출 현황
가. 전체 수출 현황
나. 부문별 수출 현황
2) 세계 SW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주요국 SW 시장 규모
3) 해외 국가별 SW 시장/정책 동향
(1) 미국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시장 현황
라. 시장 전망
(2) 캐나다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전자정부(e-Government)
라. 시장 현황 및 전망
(3) 호주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시장 현황
(4) 독일
가. 시장 개요
나. 시장 현황
다. 시장 전망 및 진출 전략
(5) 영국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시장 현황
라. 시장 전망
(6) 이탈리아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시장 현황
라. 시장 전망
(7) 중국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시장 현황
라. SW 품목별 주요 기업
마. 한국과의 협력 현황
(8) 싱가포르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시장 현황
라. 시장 전망
(9) 태국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시장 현황
라. 사업자 현황
마. 시장 전망
바. 한국과의 협력 현황
(10) 대만
가. 시장 개요
나. 주요 정책
다. SW 단지 설립
라. SW 가치산업 발전계획
마. 시장 현황
바. 사업자 현황
사. 시장 전망
아. 한국과의 협력 현황
3. SW 산업 기술 동향
1) 국내 기술 동향
(1) 임베디드SW
(2) 시스템SW
(3) 온라인서비스SW
(4) 지능형SW
(5) 실감형SW
2) 해외 기술 동향
(1) 임베디드SW
(2) 시스템SW
(3) 온라인서비스SW
(4) 지능형SW
(5) 실감형SW
4. SW 산업 기업 동향
1) 국내 SW 산업 기업 현황
(1) 전체 기업 현황
(2) 매출액 규모별 SW 기업 수 현황
(3) 부문별 SW 기업 수 현황
(4) 패키지SW 기업 현황
(5) IT서비스 기업 현황
2) 국내외 주요 SW 기업 실적 현황
(1) 국내 SW 기업 실적 현황
(2) 해외 주요 SW 기업 실적 현황
가. 글로벌 주요 SW 및 IT서비스 기업 매출 현황
나. 글로벌 주요 SW 및 IT서비스 기업 영업이익 현황
3) 분야별 기업 동향
(1) 전통 소프트웨어
가. ERP
나. IT 서비스 시장
(2) 新소프트웨어
가. 만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시장
나.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
(3) 인터넷 서비스
(4) 디지털콘텐츠
(5) 정보보안
(6) 기업 비즈니스 동향
가. 신제품/서비스 출시 동향
나. M&A, 제휴, 해외 시장 진출, 국내 시장 진출
다. 특허 및 인증 동향
5. SW 산업 인력/교육 동향
1) SW 인력 현황
(1) SW 인력 규모
(2) SW 인력 현황
가. 인력 현황
나. 인력수급 실태 전망(2015년)
다. 최근 3개년 학력별ㆍ전공별 신입사원 비중 현황
2) SW 교육훈련 현황
(1) 정보기술 분야 교육훈련 현황(2015년 1∼6월)
(2) 교육훈련 수요(2015년)
6. 공공 및 민간 부문 투자 동향 및 전망
1) 국내 공공정보화 시장 현황
(1) 2014년 공공정보화 사업 현황
(2) 2015년 공공정보화 사업 예산
2) 국내 기업의 IT 투자 동향
제2장 국내외 SW 관련 정책 동향
1. 해외 SW 관련 정책 동향
1) 미국
2) EU
3) 영국
4) 일본
5) 중국
6) 기타
(1) 독일
(2) 호주
(3) 인도
(4) 지중해 연합
2. 국내 SW 관련 정책 동향
1) 부처별 주요 SW 정책(2014년~2015년 상반기)
(1) 미래창조과학부
가.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실현전략(2014. 7)
나. 소프트웨어 중심사회 확산방안(2015. 1)
다. 소프트웨어 글로벌 선도 전략(2015. 4)
라. 클라우드 발전법 제정(2015. 3)
마. 공공SW 발주 환경 개선
바. SW중심사회를 위한 인재양성 추진계획(2015. 7)
(2) 산업통상자원부
가. 2014년
나. 2015년
(3) 행정자치부
가. 2014년
나. 2015년
(4) 국토교통부
가. 2014년
나. 2015년
(5) 문화체육관광부
가. 2014년
나. 2015년
(6) 교육부
가. 2014년
나. 2015년
(7) 방위사업청
가. 2014년
나. 2015년
2) SW 관련 법률 현황
(1) 소프트웨어산업진흥법
가. 입법취지
나. 주요 내용
(2)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가. 입법 취지
나. SW 주요 관련 내용
(3)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가. 입법취지
나. 주요 내용
(4)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국가계약법)
가. 입법 취지
나. 적용 범위
다. 주요 내용 - 국가계약법 시행규칙
3. 국가별 SW 정책 체계 및 특성 분석
1) 국내 정책 체계 및 사례
(1) SW 정책수행 체계
가. 미래창조과학부
나. 산업통상자원부
다. 행정자치부(구. 안전행정부)
라. 기타 정부기관 및 관련조직
(2) 국내 주요 SW 정책
(3) 국내 SW정책 수행조직 및 사례 분석 결과
2) 미국 정책체계 및 사례
(1) SW정책수행 체계
(2) 주요 SW정책 및 특성
가. SW 2015(2005.4)
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전략(2011.2)
다. 빅데이터 R&D 이니셔티브(2012. 3)
라. 첨단제조업 국가 전략 계획(2012.7)
3) 영국 정책체계 및 사례
(1) SW정책수행 체계
(2) 주요 SW정책 및 특성
4) 독일 정책체계 및 사례
(1) SW정책수행 체계
(2) 주요 SW정책 및 특성
가. iD 2010(Informationgesellschaft Deutschlandmany 2010)(2006년~)
나. IKT 2020(2007년~)
다. High-Tech Strategy 2020(2010년~)
라. Digital Germany 2015(2010년~)
마. Industry 4.0(2013년~)
5) 일본 정책체계 및 사례
(1) SW정책수행 체계
(2) 주요 SW정책 및 특성
가. e-Japan 전략(2001-2005년)
나. u-Japan 전략(2006.9)
다. i-Japan 2015 전략(2009.4)
제3장 SW 관리/서비스 동향
1. SW 관리 프로세스 및 라이선스 이해
1) SW 관리의 이해
(1) SW 관리의 정의
(2) SW 관리의 목적
(3) SW 관리의 필요성
가. SW 불법복제 현황
나. SW 불법복제 근절
다. SW 관리의 필요성
(4) SW 관리의 기대효과
가. 비용절감
나.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
다. 법률적 리스크 감소 및 경제 발전에 기여
2) SW 라이선스
(1) SW 라이선스의 정의
가. SW의 정의
나. SW 라이선스의 의의
(2) SW 라이선스의 이해
가. 사용자 라이선스
나. 업그레이드 라이선스
다. 공급형태별 라이선스
라. 사용제한에 따른 라이선스
3) SW 관리 프로세스
(1) 1단계 - 기반 구축
(2) 2단계 - 정책과 절차 수립
(3) 3단계 - 조사ㆍ분석
(4) 4단계 - 보완ㆍ정비
(5) 5단계 - 교육·지속적 유지
2. SW서비스 기업의 글로벌화 전략
1) SW서비스 개요
(1) 개념
가. SW의 생활화, 서비스화
나.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텔과 SW서비스 모델 비교분석
다. SW서비스 모델 유형
(2) 서비스로서의 SW의 등장과 SW 산업의 재정의 필요성
가. SW 패러다임의 변화
나. C-P-N-D 진화와 상호 의존성의 증대
다. 서비스로서의 SW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SW산업 재정의 필요
2) SW서비스 기업의 특성
(1) 심층조사 기업집단 현황
(2) 기업 성장 특성
가. 기업의 성장 특성에 따른 유형
나. Start up Type
다. Evolution Type
라. Shift Type
(3) 기업 조직 특성
가. 조직 규모
나. 코파운더
다. 인력 구성
(4) 기업 재무 특성
가. BtoB, BtoC 구성비
나. 수익 구조
다. BEP 달성 실태
라. 투자 유치 실태
(5) 기술 및 서비스 특성
가. 서비스 모델
나. 기반 서비스 또는 기반 기술
다. 기술 및 서비스 가치 우위
라. 제공 컨텐츠 유형
(6) 글로벌 시장 진출 특성
가. 글로벌 마켓 진출 단계
나. 글로벌 마켓 진출 동기
다. 글로벌 시장 선호도 및 진출현황
라. 국내시장 레퍼런스 기여도
마. 해외 거점 및 현지 파트너
바. 글로벌 마켓 진출형태
(7) 시사점
가. 기업 성장특성에 부합하는 글로벌화 지원책 필요
나. 코파운더 역량강화, 기획ㆍ개발ㆍ마케팅 등 핵심인력의 확보 지원책 필요
다. 기업의 발전가능성을 고려한 다양한 관점의 평가요소의 개발 필요
라. 글로벌 자본 유치 및 네트워킹 강화를 통한 글로벌화 촉진 필요 276
마. 모바일 기반 맞춤형 서비스 글로벌 경쟁력 확보
바. 선호 국가별 맞춤형 시장 진출 모델 설계 필요
3) SW서비스 글로벌화 전략 분석
(1) 글로벌화 성공사례 분석
가. 개요
나. Google
다. LINE
라. 시사점
(2) 국내 유망기업 글로벌화 핵심역량 분석
가. 개요
나. 쉐이커미디어
다. 인프라웨어
라. KnowRe
마. 알서포트
바. 말랑스튜디오
사. VCNC
아. 타파스미디어
자. 시사점
3. SW서비스 관련 정부 지원사업ㆍ제도
1) SW 인재 양성
(1) 중요성
(2) 초ㆍ중ㆍ고 교육
(3) 대학(원)의 인재양성
(4) 기업의 인재양성
(5) 개발자 양성 교육
(6) 일반인 대상 SW 저변 확대 교육
2) SW 창업·성장 촉진
(1) 창업계획 수립
(2) SW 개발
(3) 국내 마케팅·성장
3) SW 융합 촉진
(1) SW융합의 개념 및 중요성
(2) 융합 촉진 지원
4) SW 해외진출 강화
(1) 해외진출 성공요인
(2) 해외 진출 지원
5) SW 공공구매 혁신
(1) 소프트웨어산업관련 법령 주요 제·개정 내용
(2) SW공공구매 관련 제도
제Ⅱ편 부문별 소프트웨어 산업
제1장 패키지SW 산업 동향
1. 패키지SW 개요
1) 패키지SW 정의 및 분류
(1) 시스템SW
(2) 응용SW
2) 패키지SW 산업의 환경 변화
2. 국내 패키지SW 산업 주요 현황
1) 시장 위상
2) 생산/수출
(1) 생산
(2) 수출
(3) 수요산업에의 활용 정도
3) 글로벌 사업 활동
4) 기업 규모 및 사업 여건
5) 인적 자원
6) IT인프라
7) 산업 비전
3. 패키지SW 시장 동향
1) 국내외 시장 규모 및 전망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2) 부문별 시장 동향
(1) 시스템SW
(2) 응용SW
3) 품목별 시장 규모 및 전망
(1)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2) Security Software
(3) ERM(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
(4)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5) SCM(Supply Chain Management)
(6) BI(Business Intelligence)
4. 패키지SW 주요 기업 동향
1) 주요 사업자 동향
(1) IBM
(2) SAP
(3) 오라클
(4) 마이크로스트레티지
(5) 마이크로소프트
(6) 세일즈포스닷컴
(7) 더존비즈온
(8) 영림원소프트랩
(9) 퀸텟시스템즈
(10) 한글과컴퓨터
(11) 데이터스트림즈
2) 국내외 주요 동향
(1) 세계 동향
(2) 국내 동향
3) 주요 이슈
제2장 IT서비스 시장 및 기업 동향
1. IT서비스산업의 개요
1) IT서비스산업 정의 및 범위
2) IT서비스산업의 특성과 중요성
(1) 구매자 중심의 시장
(2) 업체들 간의 상호 협력 구조
(3) 산업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지원서비스
(4) 대표적 고용창출 산업
(5) IT 산업의 저변으로서 다양한 분야와 연관
2. IT서비스 시장 동향
1) 세계 시장 규모 및 전망
2) 국내 시장 동향
(1) 시장 규모 및 전망
(2) 수출 현황
3) 한ㆍ중ㆍ일 산업 현황
(1) 시장규모 및 특성
가. 한국
나. 중국
다. 일본
(2) 교역 및 투자 현황
가. 교역
나. 투자
3. IT서비스 기업 동향
1) 주요 사업자 동향과 이슈
(1) 주요 사업자 동향
(2) 주요 이슈
2) 국내 기업의 신사업 동향
(1) 국내 기업 동향
(2) IT서비스 기업들의 신사업 추진 동향
가. 신사업 추진 동향
나. 신사업 추진 배경
다. 신사업의 방향성
3) IT서비스 업체의 해외 진출 전략
제3장 임베디드SW 기술 및 경쟁력 분석
1. 임베디드SW 개요
1) 임베디드SW 정의 및 범위
(1) 정의
(2) 적용 범위
2) 임베디드SW 산업 특징 및 구조
(1) 산업의 특성
(2) 산업 구조
3) 임베디드SW 환경 분석
(1) 정책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경제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3) 사회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4) 기술적 환경
가. 촉진요인
나. 저해요인
2. 임베디드SW 시장 및 업체 동향
1) 임베디드SW 시장 동향
(1) 국내외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세계 시장
나. 국내 시장
(2) 무역 현황
2) 임베디드SW 업체 동향
(1) 주요 업체 동향
(2) 국내외 업체 동향
가. 해외 동향
나. 국내 동향
(3) 업체수/종사자수 현황
가. 업체수
나. 종사자수
3) 주요 이슈
3. 임베디드SW 기술 및 R&D 동향
1)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및 미래전망
(1)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가. 자동차
나. 항공
다. 로봇
라. 에너지
마. 플랜트
바. 의료
사. 스마트가전
아. SW-SoC
(2) 미래 전망
가. 자동차
나. 항공
다. 로봇
라. 에너지
마. 플랜트
바. 의료
사. 스마트가전
아. SW-SoC
2) 국내외 R&D 동향
(1) 해외 동향
(2) 국내 동향
3) 임베디드SW 관련 핵심 기술
(1) 센서
가. 센서마켓
(2) 빅데이터
가. 빅데이터의 기본프로세스
나. 빅데이터의 데이터 유형에 따른 적용 기술
다. 빅데이터를 통한 Value를 찾기
(3) 클라우드
가. 클라우드 기술
나.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마켓
(4) 로보틱스
(5) 아키텍처
4. 임베디드SW 표준화 및 특허 동향
1) 임베디드SW 표준화 동향
(1) 자동차
(2) 항공
(3) 로봇
(4) 에너지
(5) 플랜트
(6) 의료
(7) 스마트가전
2) 임베디드SW 특허 동향
(1) 국내외 특허 동향
가. 세계 동향
나. 국내 동향
다. 대표 기술군 선별
(2) 대표 기술군 분석
가. 기술성장성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5. 임베디드SW 분야 경쟁력 분석
1) 기술수준 및 경쟁력 분석
(1) 기술수준
(2) 기술격차년수
(3) 해외 선도기업의 기술 경쟁력
가. 자동차
나. 항공
다. 로봇
라. 에너지
마. 플랜트
바. 의료
사. 스마트가전
아. SW-SoC
(4) 국내 기업의 기술경쟁력
가. 자동차
나. 항공
다. 로봇
라. 에너지
마. 플랜트
바. 의료
사. 스마트가전
아. SW-SoC
2) 특허관점의 기술경쟁력 분석
(1) 자동차
(2) 항공
(3) 로봇
(4) 에너지
(5) 플랜트
(6) 의료
(7) 스마트가전
(8) SW-SoC
3) 산업생태계 경쟁력 분석
(1) 생태계 현황
(2) 생태계 현실 및 문제점
가. 자동차
나. 항공
다. 로봇
라. 에너지
마. 플랜트
바. 의료
사. 스마트가전
아. SW-SoC
4) 기술현황맵
(1) 산업 내 기업분포 그래프
(2) 부가가치-기술수준 그래프
6. 임베디드SW와 빅데이터 기술 결합 동향
1) 빅데이터 기술 이해 및 국내외 동향
(1) 빅데이터 개념
가. 등장배경
나. 빅데이터 개념
다. 빅데이터의 특징
라. 빅데이터 중요성과 가치
(2) 빅데이터 국내외 동향
가. 빅데이터 해외 동향
나. 빅데이터 국내 동향
(3) 빅데이터 기술
가. 빅데이터 수집 기술
나. 빅데이터 저장 기술
다. 빅데이터 처리 기술
라. 빅데이터 분석 기술
2) 임베디드SW 산업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기술
(1) 자동차 산업 분야
(2) 전자 산업 분야
(3) 기계/로봇 산업 분야
(4) 항공/의료기기 산업 분야
(5) 에너지 산업 분야
3) 임베디드SW 산업과 빅데이터 기술 전망
7. 모듈러 아키텍처와 임베디드SW 개입
1) 아키텍처 개념과 동태적 변화
(1) 아키텍처 개념
가. 제품 아키텍처
나. 공정 아키텍처
(2) 제품 아키텍처의 분류
가. 제품의 기능/구조 매핑 방법
나. 디자인 룰의 공개 방법
다. 제품 아키텍처의 유형
(3) 제품 아키텍처의 동태적 변화
가. 동태적 변화 특성
나. 제품 아키텍처의 유동화 단계와 특정화 단계
(4) 제품 아키텍처의 인위적인 변화 전략
가. 아키텍처 혁신(Architectural Innovation)
나. 아키텍처의 동태적 변화 전략
2) 모듈러형 제품 아키텍처와 기업의 모듈화전략
(1) 모듈의 개념과 특성
(2) 모듈의 특성
(3) 기업의 모듈화 전략
가. 기업의 모듈화 전략
나. 기업의 다양성 관리전략
다. 상업적 생산을 위한 기업 내 모듈화전략
3) 임베디드SW 개입과 아키텍처 변화
(1) 임베디드SW 개념
가. 임베디드SW
나. 임베디드 시스템
(2) 임베디드SW의 개입과 제품 아키텍처 변화
가. 임베디드SW의 개입
나. 제품 아키텍처의 모듈러형 전환
다. 임베디드SW의 산업별 개입 유형
(3) 오픈 모듈러형 제품 아키텍처 완성
가. PC 산업 사례
나. 가전제품 사례
4) 국제표준화와 플랫폼 비즈니스
(1) 국제표준화 전략
가. 기업의 국제 표준화 전략
나. 합의표준 전략
(2) 플랫폼 비즈니스 모형 구축
가. 플랫폼 관련 주요 개념
나. 플랫폼 기업의 경쟁우위
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형 구축
(3) 인텔, 애플의 플랫폼 비즈니스 모형 구축 사례분석
가. 인텔의 플랫폼 비즈니스 사례분석
나. 애플의 플랫폼 비즈니스 사례분석
제4장 오픈소스SW 분야별
1. 공개SW의 개요
1) 공개SW의 정의와 특징
(1) 정의
(2) 등장배경과 특징
2) 공개SW 산업의 범위와 구조
(1) 산업의 범위
가. 대형 벤더
나. 전문 SME 벤더
다. 컨설팅 업체와 전문 중소기업 벤더 그룹
(2) 산업 구조
(3) 공개SW 산업 범위 및 구조에 대한 이해
3) 정부 기관에서의 공개SW 활용
4) 공개SW의 가치
(1) 소프트웨어 선진기술에 대한 접근 가능성
(2) 강한 보안성
(3) 모바일 시대 적합성
2. 공개SW 산업 주요 동향
1) 공개SW 시장 동향
(1) 국내외 시장 동향
가. 세계 동향
나. 국내 동향
(2) 국내 시장 트렌드
2) 국내 공개SW 산업의 위상
(1) 공공
(2) 제조
(3) 금융
(4) 통신/방송
(5) 포털/게임
3) 공개SW 적용 사례
(1) 대한생명의 BPM 솔루션 도입 프로젝트
(2) 정부통합전산센터의 공개SW 기반 교육비 원클릭 신청 시스템
4) 국내 임베디드SW 분야 공개SW 개발 동향
(1) 임베디드 공개SW 개발 현황 조사 개요
(2) 현재 사용 OS 및 주력 개발 OS 변화
(3)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인력 현황
(4)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시 애로사항
(5) 향후 주력 개발 OS 변화
(6) 거버넌스 관리 현황
5) 공개SW 분야별 현황
(1) 주요 공개SW
(2) 리눅스 운영체제
가. Red Hat Enterprise Linux
나. OpenSuse
다. CentOS
라. 리눅스 운영체제 규격
(3) 웹서버(Web Server)
가. 아파치 웹 서버(Apache Web Server)
나. 제이보스(JBoss Enterprise Web Server)
다. Lighttpd
(4)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Web Application Server)
가. 톰캣(Tomcat)
나. 제이보스(JBoss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
다. 글래스피시(GlassFish)
라. 레진(Resin)
(5) 데이터베이스(DBMS)
가. 큐브리드(CUBRID)
나. MySQL
다. MariaDB
라. PostgreSQL
마. NoSQL
(6) 가상화/클라우드
가. OpenStack
나. CloudStack
다. CloudForms
6) 공개SW 비즈니스 모델
(1) 오픈소스SW 핵심요소
가. 라이선스
나. 커뮤니티
다. 방법론
(2) 오픈소스 비즈니스 모델
가. 하드웨어 지원 및 판매
나. 듀얼 라이선스
라. 서비스
마. 광고
3. 공개SW 분야별 수요 및 전망
1) 공개SW 발전과 신기술
2) 소프트웨어 사업부문 공개SW 활용 및 수요 전망
(1) 공개SW 활동 분류
(2) 산업 유형별 공개SW 수요전망
3) 임베디드SW 부문 공개SW 활용 및 수요 전망
(1) 임베디드SW 개요
가. 정의
나. 특성
다. 분류
(2) 임베디드SW 부분 공개SW 활용 사례
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나. 임베디드 시스템 제어 소프트웨어
다. 입출력 서비스 소프트웨어
라. 임베디드SW 개발도구
4) 향후 수요 진단 및 대응방안
(1) 임베디드SW 개발환경 수요 변화
가. 임베디드 OS 수요 변화
나. 향후 주력 개발 OS 변화
(2) 임베디드 공개SW 적용 수요
가.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나. CCTV 시스템
다. Digital Signage
라. ATM
마. POS
바. 헬스케어
사. 프린터 복합기
아. 스크린 골프(가상 스포츠)
(3)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등 신 수요
가. 가상화
나. 클라우드 컴퓨팅
다. 빅데이터(Big Data)
(4) 신규 수요 공개SW
가. R(Big Data를 위한 시각화 통계 분석 도구)
나. OpenNMS(네트워크 서비스의 모니터링 도구)
다. Talend Open Studio for MDM(데이터 통합, 데이터 품질, 마스터 데이터 관리를 위한 통합 ETL 도구)
4. 공개SW 라이선스 위반사례 및 관리
1) 공개SW 라이선스 개요
(1) 지적재산권 정의
(2) 저작권 정의
(3) 특허권 정의
(4) 상표권 정의
(5) 영업비밀 정의
(6) 라이선스 정의
(7) 공개SW 라이선스 정의
2) 주요 공개SW 라이선스
(1) 주요 공개SW 라이선스별 의무사항
가.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 2.0
나.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 3.0
다. LGPL(GNU Lesser General Public License) 2.1
라. BSD(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License
마. Apache License 2.0
(2) 주요 공개SW 라이선스 비교
가. 자주 사용되는 상위 20개 라이선스
나. 라이선스별 의무사항 비교
(3) 공개SW 라이선스의 양립성
가. 개요
나. GPL과 호환성 비교
(4) 공개SW 라이선스의 의무사항 적용 범위
(5) 듀얼 라이선스
(6) 특허 조항 및 침해 유형
가. 특허 조항
나. 특허 침해 유형
(7) 공개SW 소스코드 제공 및 고지의무 방법
가. 소스코드 제공 방법
나. 라이선스 고지방법
3) 공개SW 라이선스 위반사례
(1) 해외 위반사례
가. Skype
나. Jacobsen v. Katzer
다. Bracken
라. Davrik
마. Vigorlen
(2) 국내 위반사례
가. 엘림넷 & 하이온넷
나. 게임기 개발업체 A사
다. 삼성전자, 휴맥스 등
(3) FSF의 라이선스 위반 관리 절차
가. FSF 소개
나. 라이선스 위반 관리 절차
다. GPL 라이선스 위반 확인 방법
4) 공개SW 라이선스 관리
(1) 공개SW 라이선스 관리
(2) 공개SW 라이선스 관리 방안
가. 공개SW 라이선스 관리 절차
나. 라이선스 관리 기획
다. 라이선스 관리
라. 라이선스 검증
마. 보고서 작성/공유
(3) 공개SW 라이선스 관리 사례
가. A사
나. B사
통계(도표)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