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발간사
최근 자동차산업의 이슈는 IT기술을 기반으로 한 커넥티드-스마트카와 전기차 등 친환경자동차의 개발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집약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응력 유무가 미래 자동차 시장의 승패를 가를 것으로 전망하는데 이견이 없는 실정이다.
그 가운데 스마트카는 기술의 채용여부를 자동차 업계가 스스로 결정 할 수 있는 선택의 문제라면 친환경 그린카의 개발은 기후변화와 온난화에 대한 지구적 대응 시스템의 일부로 자동차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전산업에 적용되는 규제형이어서 피해갈수 없는 필수적 문제라는 것이 차이점으로, 꾸준한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등 환경문제 대응을 위해 EU는 유로6 배출가스 저감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미국은 캘리포니아 주를 중심으로 ZEV(Zero Emission Vehicle) Project를 실행 중이며, 우리나라는 2011년 7월 2020년까지 배출량 전망치(BAU) 대비 30%의 온실가스 감축을 내용으로 하는 국가 온실가스 중기 감축목표를 설정하고, 수송 분야는 감축율 34.3%(3,600만t)로 가정, 산업 등 6개 부문별 감축목표 중 가장 높은 비율을 할당했으며, 내년부터 ‘저탄소차 협력금제도’의 도입도 검토중이다.
이에따라 향후 자동차 산업은 빠르게 고연비 차량, 그린카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가솔린자동차와 디젤자동차가 자동차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하이브리드자동차,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로 대변되는 그린카는 자동차 기술 개발의 핵심이 되고 있으며, 크린디젤 등 엔진기술을 통한 경쟁력 확보 노력도 강화되고 있으며,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대체연료의 개발과 보급도 강화함으로써 바이오연료 차량의 개발도 중요해지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국내외 정부의 그린카에 대한 연구와 보급에 대한 지원 정책 및 그린카 기술의 개발동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린카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대체연료와 바이오 연료에 대한 현황을 수록했다. 또한 그린카와 관련한 국내외의 자동차 업체와 부품업체에 대하여도 조사하였다.
모쪼록 관련업계 종사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2014년 7월 21일
차세대 자동차 프로젝트팀
대표 컨설턴트 조 성 락
목차
Ⅰ. 친환경자동차 그린카 시장 현황과 전망 31
1. 친환경자동차, 그린카 등장 배경과 의미 31
1-1. 그린카의 등장 배경 31
1) WBCSD의 에너지·기후변화 정책 방향 제시 31
(1) 에너지?기후변화 정책의 방향 31
(2) 에너지?기후변화 정책의 주요 구성요소 32
2) WEF의 에너지 안보와 지구온난화에 관한 백서 36
(1) 보고서의 목적 36
(2) 주요 내용 37
3) 자동차 배기가스의 심각성 인식 41
(1) 자동차로 인한 환경오염 41
(2) 온실가스 배출의 주범 45
4) 탄소 배출권 거래제 시행 47
(1) 탄소배출권 47
(2) 탄소 배출권 거래제 48
1-2. 그린카의 정의와 종류 49
1) 그린카(Green Vehicle) 정의 49
(1) 일반적인 정의 및 종류 49
(2) 그린카의 국내 정의 50
2) 그린카의 종류 52
3) Green car ranking 53
2. 그린카의 분류와 유형별 특징 56
2-1. 엔진구조에 따른 분류 56
1) Electric Vehicle (xEVs) 57
(1) Battery EV (BEV) 58
(2) Hybrid EV (HEV) 59
(3) Plug-in Hybrid EV (PHEV) 61
(4) Extended Range EV (EREV) 62
(5) Fuel Cell EV (FCEV) 64
2) 내연기관(ICE) 차량 65
(1) Clean Diesel Vehicle (CDV) 65
(2) Compressed Natural Gas(CNG) Vehicle 66
2-2. Emission에 따른 분류 67
1) 개요 67
2) 주요등급 67
(1) ULEV 67
(2) SULEV 68
(3) PZEV(Partial zero-emissions vehicle) 68
(4) ZEV(Zero-Emissions Vehicle) 69
2-3. 대체연료에 의한 분류 70
1) 배경 및 현황 70
(1) 대두배경 70
(2) 현황 70
2) 주요 분류 71
(1) Compressed-air engine 71
(2) Battery-electric 72
(3) Solar Powered Car 72
(4) Dimethyl Ether Fuel (DME) 75
(5) Bio-Fuels 76
(6) Compressed natural gas (CNG) 82
(7) Autogas (LPG) 86
3. 국내외 자동차 시장 현황과 전망 91
3-1. 글로벌 시장 현황 91
1) 글로벌 현황 91
2) 지역별 현황 92
3) 업체별 현황 93
4) 차급별 현황 94
3-2. 국내 시장 현황 95
1) 2013년 국내 현황 95
2) 차급 및 업체별 동향 96
(1) 차급별 동향 96
(2) 업체별 동향 96
3) 수입차 동향 97
3-3. 2014년 전망 99
1) 글로벌 시장 전망 99
2) 국내 시장 전망 100
(1) 차급별 전망 100
(2) 수입차 시장 101
(3) 수출 및 생산 전망 101
3) 2014년 주요 업체별 사업전략 102
4) FTA 체결에 따른 자동차 시장 영향 103
(1) 한·미 FTA 103
(2) 한·EU FTA 104
4. 글로벌 그린카 시장 현황과 전망 106
4-1. 글로벌 시장현황 및 전망 106
1) 자동차 시장 패러다임의 변화 106
2) 2013년 친환경차 판매동향 108
(1) 지역별 성장단계 차별화 109
(2) 타입별 시장현황 111
(3) 업체별 경쟁력 115
(4) 업체 간 연비 경쟁 119
3) 그린카 차종별 시장현황 121
(1) HEV 121
(2) BEV 122
(3) FCEV 123
(4) CDV 124
(5) NGV 125
4-2.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127
1) 차종별 시장현황 127
(1) HEV(PHEV) 127
(2) BEV 128
(3) FCEV 129
(4) CDV 134
(5) NGV 135
Ⅱ. 주요국가의 그린카 정책동향과 대응전략 139
1. 해외 주요국의 그린카 정책동향과 전략 139
1-1. 해외 주요국 정책동향 종합 139
1-2. 미국의 주요 정책과 전략 142
1) 그린카 관련 핵심기관 정책동향과 전략 142
(1) ARPA-E 동향 142
(2) EERE 동향 144
2) 연비규제 강화 148
(1) EPA와 NHTSA의 2012~2016모델년도 규제목표 149
(2) 세그먼트별 연비목표 소형차도 연비향상 필요 151
(3) 엔진 소형화 추진 152
(4) 2016모델년도 연비향상 기술 전망 153
(5) 2016모델년도 세그먼트별 판매 전망 155
(6) 2025모델년도 규제에서 EV, PHEV, FCV 우대조치 확대 155
3) Bio Fuel 관련 동향과 전략 156
(1) 바이오 연료 157
(2) 바이오 연료 엔진 161
1-3. EU(유럽)의 주요 정책과 전략 165
1) European Emission Standards 165
(1) 규정의 개요 165
(2) Stages & Legal Framework 166
(3) Emission Limits Standards 167
2) 독일의 R&D 지원정책 171
(1) 독일의 R&D 정책 내용 171
(2) 특징 및 유의점 173
3) 프랑스 174
(1) Bonus-Malus 제도 174
1-4. 일본의 주요 정책과 동향 176
1) 그린카(에코카) 보급 정책 176
(1) 에코카 보조금 정책 176
(2) 그린성장전략 177
(3) FCEV를 위한 수소 스테이션 규제 완화 178
2) 일본정부의 R&D 지원 정책 178
(1) R&D 지원 예산 동향 178
(2) 세부 항목별 지원내용 179
(3) 특징 및 유의점 185
2. 국내 그린카 정책 동향과 전략 187
2-1. 정부의 그린카 R&D 지원 동향과 전략 187
1) 지원정책 경과 187
2) 정부 R&D 지원현황과 연구성과, 기술수준 188
(1) 국내 그린카 분야 기술개발 현황 188
(2) 국내의 그린카 분야 기술수준 194
(3) 산업통상자원부의 그린카 R&D 지원현황 204
(4) 국가 연구개발사업 투자현황 분석 214
3) 그린카 R&D 지원전략 229
(1) 전망 및 기본전략 230
(2) 세부 추진 전략 232
(3) 그린카 양산 로드맵 235
2-2. 저탄소차 협력금제도 시행 236
1) 저탄소차 협력금제도의 도입 배경 237
2) 저탄소차 협력금제도의 내용 238
3) 기대효과 239
Ⅲ. 국내외 주요 완성차, 부품업체 사업동향 및 대응전략 243
1. 해외 주요 완성차, 부품업체 그린카 사업동향과 전략 243
1-1. 개요 243
1-2. 글로벌 주요 완성차업체 246
1) Toyota(일본) 246
(1) 일반현황 246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246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270
(4) 그린카 사업 전략 271
2) 폭스바겐(독일) 273
(1) 일반 현황 273
(2) 그린카 개발 연혁 및 현황 274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284
(4) 그린카 사업전략 287
3) GM(미국) 289
(1) 일반 현황 289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290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301
4) Renault Group(France) 309
(1) 일반 현황 309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310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315
5) Nissan Motor Co Ltd. (일본) 320
(1) 일반 현황 320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321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333
(4) 그린카 사업전략 339
6) Ford(미국) 342
(1) 일반 현황 342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344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354
(4) 그린카 사업전략 363
7) FIAT S.p.A. (Italy) 364
(1) 일반 현황 364
(2) 그린카 개발 연혁 및 현황 365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372
8) Chrysler LLC (Fiat S.p.A.의 자회사) 375
(1) 일반 현황 375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376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381
9) Honda(일본) 383
(1) 일반 현황 383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383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397
10) PSA Group(Peugeot Citro?n Automobiles-프랑스) 403
(1) 일반 현황 403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403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410
11) Daimler AG (독일) 413
(1) 일반 현황 413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415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426
12) BMW(독일) 430
(1) 일반 현황 430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431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440
13) Volvo Car Corporation(스웨덴) 448
(1) 일반 현황 448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449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464
14) Tesla Motors(미국) 469
(1) 일반 현황 469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470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472
15) Mitsubishi Motors Co.(일본) 478
(1) 일반 현황 478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479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493
16) Suzuki Motor Corporation(일본) 498
(1) 일반 현황 498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498
17) Beijing Automotive Industry Holding Co., Ltd.(중국) 500
(1) 일반 현황 500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501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503
18) SAIC Motor Corporation Ltd. 506
(1) 일반 현황 506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507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511
19) BYD Auto Co Ltd. (중국) 513
(1) 일반 현황 513
(2) 그린카 개발 연혁 및 현황 514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517
20) 완샹(萬向)그룹(중국) 524
1-3. 글로벌 주요 자동차 부품업체 그린카 대응전략 526
1) Bosch (Robert Bosch GmbH-독일) 529
(1) 일반현황 529
(2) 기술 및 제품 현황 529
(3) 최근 동향 534
2) Denso Corp.(일본) 536
(1) 일반현황 536
(2) 기술 및 제품 현황 536
(3) 최근 동향 544
3) Continental AG(독일) 547
(1) 일반현황 547
(2) 그린카 기술 및 제품 현황 547
(3) Products 550
(4) 최근 동향 553
4) Magna International Inc.(캐나다) 556
(1) 일반현황 556
(2) 그린카 관련 기술 557
(3) Products 559
5) Aisin Seiki Co., Ltd.(일본) 560
(1) 일반현황 560
(2) Products 560
(3) 최근 동향 563
6) Faurecia(프랑스) 564
(1) 일반현황 564
(2) 기술 및 제품 동향 565
7) Johnson Controls, Inc.(미국) 566
(1) 일반현황 566
(2) 기술 현황 566
(3) Products 567
(4) 최근 동향 570
8) ZF Friedrichshafen AG (독일) 574
(1) 일반현황 574
(2) 기술 현황 574
(3) Products 577
9) Delphi Automotive PLC(미국) 578
(1) 일반현황 578
(2) 기술 현황 578
(3) Products 582
(4) 최근 동향 583
10) BASF SE(Societas Europaea-독일) 585
(1) 일반현황 585
(2) 기술 및 Products 585
11) Cummins Inc.(미국) 587
(1) 일반현황 587
(2) 기술 및 Products 587
2. 국내 주요 완성차, 부품업체 그린카 사업동향과 전략 592
2-1. 개요 592
2-2. 국내 완성차업체 사업동향과 전략 593
1) 현대자동차 593
(1) 일반 현황 593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594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605
2) 기아자동차㈜ (Kia Motors Co. KMC) 609
(1) 일반현황 609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609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613
3) 르노삼성자동차(주) (Renault Samsung Motors) 616
(1) 일반 현황 616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617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619
4) 한국GM(주) (GM Korea Co.) 621
(1) 일반 현황 621
(2) 그린카 분야별 개발 연혁 및 현황 622
(3) 그린카 생산 및 판매 현황 623
5) 쌍용자동차(주) (SsangYong Motor Company) 625
(1) 일반 현황 625
(2) 그린카 개발 현황 626
2-3. 국내 주요 부품업체 그린카 대응 전략 628
1) 현대모비스(주) (Hyundai Mobis) 628
(1) 일반 현황 628
(2) 기술 현황 628
(3) Products 629
(4) 최근 동향 629
2) LS산전(주) (LSIS) 631
(1) 일반 현황 631
(2) 기술 현황 631
(3) Products 633
(4) 업체 동향 641
3) ㈜LG화학 643
(1) 일반 현황 643
(2) 기술 현황 644
(3) Products 648
(4) 업체 동향 651
4) 삼성SDI(주) 655
(1) 일반 현황 655
(2) 제품 현황 656
(3) 업체 동향 660
5) ㈜현대케피코 (Hyundai KEFICO) 661
(1) 일반 현황 661
(2) 기술 현황 661
(3) Products 662
(4) 업체 동향 667
6) SK이노베이션(주) 667
(1) 일반 현황 667
(2) 기술 현황 668
(3) Products 670
(4) 업체 동향 671
7) 에스앤티모티브(주) (S&T Motive Company) 673
(1) 일반 현황 673
(2) 기술 현황 673
(3) Products 676
(4) 업체 동향 677
8) ㈜이아이지(EIG) 678
(1) 일반 현황 678
(2) 기술 현황 678
(3) Products 679
(4) 업체 동향 682
9) ㈜코캄 (Kokam Co., Lrd.) 683
(1) 일반현황 683
(2) 기술 현황 684
(3) Products 685
(4) 업체 동향 693
10) ㈜뉴인텍 694
(1) 일반 현황 694
(2) 기술 현황 695
(3) Products 696
(4) 업체 동향 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