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의료산업
1. 보건의료
1-1. 보건의료 개요
1-2. 보건의료서비스
1) 보건의료서비스의
종류
2) 적정 보건의료서비스의 요건
3) 보건의료서비스의 사회경제적 특성
1-3. 보건의료의 의의
1-4.
보건의료전달체계
1) 보건의료전달체계의 개념
2) 보건의료의 목표
3) 보건의료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4)
보건의료전달체계의 유형
5) 보건의료체계 개혁
1-5. 보건의료의 성격 변화
2. 질병ㆍ질환관리
2-1.
만성ㆍ퇴행성질환(고혈압 등) 관리
1) 개요
2) 만성질환의 특성 및 현황
2-2. 심뇌혈관질환의 관리
1)
심뇌혈관질환 관리의 중요성
2) 제1기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3)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주요 실적
2-3. 희귀ㆍ난치성질환
관리
1) 희귀ㆍ난치성질환 관리사업
2) 2012년도 사업실적
3) 향후 계획
2-4.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1)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 관리의 중요성
2)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종합대책
3) 아토피ㆍ천식 예방관리 종합대책 주요
실적
4) 향후 계획
2-5. 암질환 관리
1) 개요
2) 국가 암 관리사업 현황
3) 국립암센터 운영 지원
2-6. 국가 감염병 관리
1) 개요
2) 보장성 강화
3) 향상된 예방접종 관리
2-7. 감염성 질환 등
관리
1) 주요 감염병별 추진실적 및 방향
2) 감염병 감시
3) 예방접종 관리
2-8. 결핵관리
1) 개요
2) 2012년도 결핵관리사업 추진실적
3) 2013년도 결핵관리사업 추진 계획
2-9. 후천성면역결핍증 및 성매개감염병
관리
1)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 예방관리
2) 성매개감염병 관리
2-10. 검역관리
1) 개요
2) 주요업무 추진 실적 및 향후 계획
3. 공중보건의료
3-1. 공중보건의료 개요
1) 건강권 보장을 위한
사회기반
2) 국공립의료기관의 활동
3) 국가의료체계 내 정부 개입영역 - 공공부문
3-2. 공공보건의료의 취약성
1) 공공보건의료기관의 기능 편중과 시설 낙후
2) 공공보건의료 재정
3) 공공보건의료 시설 및 인력의 취약
4)
공공보건의료기관 관리 및 평가시스템 미흡
3-3. 공공의료기관
1) 공공의료기관의 기능
2) 공공의료와 공공의료기관
4. 결핵검사 지침
4-1. 결핵검사실의 생물안전
1) 개요
2) 세부 절차
4-2. 검체 전처리
1) 개요
2) 검사절차
3) 검체 전처리법
4-3. 항산균 도말검사
1) 개요
2) 검사절차
4-4. 항산균 배양검사
1) 개요
2) 검사절차
5. 의료관련 통계
5-1. 의약품 및 의료기기
생산실적
5-2. 건강보험적용인구, 보험료및급여비
5-3. 의료기관 및 입원진료병상
5-4. 면허의료인 및 이료기관 종사자
수
5-5. 국민의료비
6. 건강보험
6-1. 건강보험 체계
1) 보험급여 체계
2) 재원조달 체계
3) 관리운영 체계
6-2. 건강보험 관리조직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국민건강보험공단
6-3.
건강보험료 부과ㆍ징수제도 운영
1) 보험료 부과ㆍ징수체계
2) 제도 개선
6-4. 재정 현황
6-5. 건강보험 분석
1) 건강보험 고액환자 분석
2) 노인성 질환자 진료 추이 분석
3) 주요 환경성 질환 진료환자 분석
4) 암
관련정책
5) 보험료 부담 대비 급여비 분석
제2장. 의료정책
1. 의료제도 개선방향
1-1.
의료제도 개발전략
1) 보건의료 환경 분석
2) 건강보장제도의 발전방향
1-2. 일차의료
1) 일차의료 정의
2) 일차의료의 중요성
3) 일차의료의 속성
4) 일차진료 육성의 중요성
5) 일차진료의사의 양성
6)
개혁의제로서의 일차진료
7) 국가별 일차진료 형태
8) 주요국가의 일차의료제도
9) 일차의료 관련 시도
10)
일차의료 기능의 후진성
11) 주요국가의 일차의료 형태
1-3. 일차 보건의료
1) 일차보건의료의 등장
2)
일차보건의료의 개념
3) 일차보건의료의 필수요소
4) 일차보건의료의 접근방법
1-4. 일차의료의 강화
1) 개선방안
및 추진전략
2) 현황 및 문제점
3) 일차의료강화를 위한 건강관리 의사제
1-5. 보건의료정책
1) 개요
2) 의료서비스 공급체계 개선
3) 의료의 질 관리
4) 의료소비자 권익강화
1-6. 보건의료자원의 적정화
1) 보건의료자원 현황
1-7. 의료전달체계의 확립
1) 의료전달체계 현황
2. 의료관련 정책
2-1. 의약품정책
1) 의약품 정책의 기본방향
2-2. 응급의료정책
1) 응급의료 체계구축
2) 응급의료
기본계획
3)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평가
4) 응급의료 이송 효율화
2-3.의료자원정책
1) 민간의료기관
2)의료자원 육성
3) 국가시험 및 면허제도
2-4. 공공보건의료정책
1)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
2)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현대화
3) 공공의료체계 구축
4) 보건기관 정보화 추진
5) 공중보건의 제도 운영
제3장. 관련뉴스
제4장, 관련사이트
제5장. 관련기한
제6장.
관련법률
의료급여법
의료급여법 시행령
의료급여법 시행규칙
의료법
의료법 시행령
의료법 시행규칙
의료기기법
의료기기법 시행령
의료기기법 시행규칙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