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보건복지
1. 보건복지정책지원
1-1. 보건복지통계 생산ㆍ관리
1) OECD 통계 생산 및 관리
2) 통계관리 체계 및 조직
3) 통계생산 및 대국민서비스 현황
1-2. 주요정책 홍보관리
1) 주요 정책홍보 추진
현황
2) 정책홍보 방향
3) 향후 계획
1-3. 국제협력의 증진
1) 국제협력사업
2) 남북보건의료협력사업
1-4. 정보화추진
1) 보건의료분야 정보화
2) 사회복지분야 정보화
3) 의약품분야 정보화
4)
사회보험분야 정보화
5) 보건복지 행정분야 정보화
6) 정보화 평가
7) 보육행정분야 정보화
2. 보건복지정책 성과
2-1. 촘촘한 사회안전망 확충
1) 촘촘하고 효율적인 사회안전망 인프라 구축
2) 노인ㆍ장애인ㆍ아동 등 취약계층 지원
강화
3) 근로빈곤층의「일을 통한 탈빈곤 지원」활성화
2-2. 국민의 건강과 안전보장
1) 의료안전망 내실화
2)
수요자 중심 보건의료제도 선진화
3) 질병관리체계 강화
4) 사전예방적 건강관리체계 구축
5) 식품ㆍ의약품 안전체계 선진화
2-3. 저출산ㆍ고령사회대책강화
1) 제2차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 및 공감대 확산
2) 보육지원 확대 및
임신ㆍ출산 비용부담 완화
3) 미래 노인빈곤 방지를 위한 국민연금 제도개선
2-4. 보건의료산업의 글로벌경쟁력확보
1)
글로벌 헬스케어 활성화
2) 보건의료산업 세계시장 진출 및 투자유치 지원
3)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보건의료 R&D
역량 확보
3. 보건의료정책
3-1. 보건의료정책
1) 개요
2) 보건산업 육성
3) 의료서비스 공급체계
개선
4) 의료소비자 권익강화
5) 의료의 질 관리
3-2. 공공보건의료정책
1) 수요자 중심 공공의료체계 구축
2)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
3)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현대화
4) 보건기관 정보화 추진
5) 공중보건의
제도 운영
3-3. 응급의료정책
1) 개요
2) 응급의료 이송체계 구축
3) 응급의료계획 수립 및 추천
4)
응급의료기관 평가 및 육성
3-4. 의료자원정책
1) 의료자원의 합리적 육성
2) 민간의료기관의 육성ㆍ지원
3)
보건의료인 국가시험ㆍ면허제도 적정관리
4. 식품ㆍ의약품정책
4-1. 기본방향
1) 의약품 정책의 기본방향
2)
의약품 등의 공급ㆍ유통체계 개선
3) 안전하고 합리적인 의약품 사용
4) 식품환경의 변화
5) 식품안전 관련 제도 개선
6) 식품정책 방향
5. 사회복지서비스
5-1. 아동복지정책
1) 개요
2) 아동의 권리와 참여 증진
3) 아동 복지체계 확충
4) 유해환경으로부터 아동 보호
5-2. 사회서비스정책
1) 개요
2)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
3) 사회서비스 이용권 사업 활성화
4) 사회서비스 제도적 기반조성
5)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제2장. 노인복지정책
1. 노인복지
1-1. 노인복지정책
1) 국민연금 제도 개선
2)
고령친화산업 육성
3) 노인일자리 확충
4)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운영
5) 노인여가복지 지원 및 사회참여 활성화
1-2. 노인여가복지 지원 및 사회참여 활성화
1) 노인여가복지 지원
2)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1-3. 노인복지보장
시설
1) 노인주거복지시설
2) 노인의료복지시설
3) 재가노인복지시설
4) 노인보호전문기관 설치 운영
5)
노인복지관 설치ㆍ운영
6) 노인 건강진단
7) 노인실명예방사업
8) 노인일자리사업 지원
9) 대한노인회 취업지원센터
운영
10) 노인자원봉사 활성화
1-4. 노인 주거복지 지원 활성화
1) 노인 주거복지시설 지원
2) 노인
복지시설의 종류
1-5. 노인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1) 치매예방관리사업
2) 노인 건강검진 및 안 검진 사업
1-6. 치매상담센터 서비스 운영
1) 노인 건강 서비스
제3장. 관련뉴스
제4장.
질의회신
제5장. 관련법률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시행령
보건의료기술 진흥법
시행규칙
보건의료기본법
보건의료기본법 시행령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의 기준에 관한 규칙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국민건강증진법
국민건강증진법 시행령
국민건강증진법 시행규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