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 위대한 유산들-여성문학의 계보
- ‘우리’라는 호명?글쓰는 여자의 탄생과 근대 여성문학의 형성 / 김양선
- 여류문학의 죽음?해방부터 1960년대까지 / 김은하
- 히스테리와 노동?1970, 1980년대 여성 전업 작가의 등장과 여성 글쓰기 주체의 신체성 / 이선옥
- 성적 주체로서 개인의 발견과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1990년대 여성문학의 네 전선 / 이명호
- 작품을 중심으로 개관한 한국 근현대 여성시사 / 이경수
리뷰: 소설
- 『귤의 맛』 우리 모두의 초록 / 소유정
- 『내가 말하고 있잖아』 복수와 용서에 대한 고백록 / 신수진
- 『두 사람이 걸어가』 불쌍한 표범 그림과 문학 / 이여로
- 『떠도는 땅』 목소리들의 행렬 / 이철주
- 『여름의 빌라』 당신과 나 사이의 빛 / 박하빈
- 『에이프릴 마치의 사랑』 새벽 4시의 흐릿함 / 박혜진
- 『일곱 해의 마지막』 혁명이 끝나고 난 뒤 / 한영인
- 『시선으로부터,』 좋은 것을 상상하는 힘: 인간을 사랑하는 방법 / 선우은실
- 『천 개의 파랑』 천 개의 사랑, 아니, 파랑 / 박다솜
- 『칵테일, 러브, 좀비』 킬러가 된 유교걸과 유토피아의 K-좀비들 / 인아영
- 『폭죽무덤』 거기 없어서 그리 간다 / 김건형
리뷰: 시
- 『나는 겨울로 왔고 너는 여름에 있었다』 어디가 아닐 수 없는 방법 / 홍성희
- 『동물의 자서전』 혁명적 시간과 흑백 풍경으로서의 시인 / 박동억
- 『무슨 심부름을 가는 길이니』 밤 중의 밤은 / 양순모
- 『아가씨와 빵』 일상의 레시피, 비일상의 반죽, 그리고 빵 / 김지윤
- 『앙앙앙앙』 a, a, a, a / 홍승택
-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시간이 아주아주 오래 걸리는 나를 견디는 일 / 전영규
- 『사랑을 위한 되풀이』 사랑한다고, 다시금 말하면 / 임지훈
- 『세 개 이상의 모형』 사이를 사유하는 ㅅ자 모양의 시 / 김나영
- 『작가의 탄생』 반복은 우리를 어느 곳으로 이끄는가 / 조대한
- 『한 사람의 불확실』 불확실성에 머물기 / 김영임
- 『희망은 사랑을 한다』 케르베로스?여성의 시 하기 / 김보경
- 『힌트 없음』 바깥의 서정으로 / 장은영
리뷰: 에세이
- 『길 하나 건너면 벼랑 끝』 벼랑 끝에서 나로 되돌아오기 / 신새벽
- 『동생이 생기는 기분』 ‘동생’이라는 ‘Kybun’ / 정용준
- 『바깥은 불타는 늪 정신병원에 갇힘』 제로(0)를 걷다가 실패하기 / 김홍
- 『삐삐언니는 조울의 사막을 건넜어』 조울병이라는 특수한 사막 / 김세희
- 『영화와 시』 오직 이름만으로 사랑하기 / 서이제
작가론
- 박서련론 / 이지은
- 최진영론 / 오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