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 터미널 직류 송ㆍ배전(HVDC) 시스템과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기술, 시장 실태와 개발전략 (학술도서) MARKET REPORT 2015-05 데이코 편집부
★★★★★ 평점(5/5)
데이코 | 2015-06-19 출간
판매가
300,000
즉시할인가
27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Ⅰ. 19대 미래성장동력 개요와 실천 전략 19
1. 19대 미래성장동력 개요와 실천전략 19
1-1. 개요 19
1-2. 19대 미래성장동력, 산업엔진 종합실천계획(안) 21
1) 주력산업 고도화(주력산업) 21
2) 미래 신시장 선점(미래신산업) 23
3) 복지·산업 동반 육성(공공복지·에너지 산업) 25
4) 지속성장 기반 조성(기반산업) 28
2. 19대 미래성장동력별 개념과 시장동향, 전망 31
2-1. 스마트 자동차 31
1) 개념 및 범위 31
(1) 개념 31
(2) 범위 32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32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35
2-2. 5G 이동통신 37
1) 개념 및 범위 37
(1) 개념 37
(2) 범위 38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38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41
2-3. 심해저/극한환경 해양플랜트 42
1) 개념 및 범위 42
(1) 개념 42
(2) 범위 42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43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45
2-4. 고속-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46
1) 개념 및 범위 46
(1) 개념 46
2) 산업 생태계 47
(1) 무인기 기술 특성 47
(2) 무인기 산업 생태계 48
2-5. 지능형 로봇 50
1) 개념 및 범위 50
(1) 개념 50
(2) 범위 50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51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53
2-6. 착용형 스마트 기기 54
1) 개념 및 범위 54
(1) 개념 54
(2) 범위 54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55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56
2-7. 실감형 콘텐츠 57
1) 개념 및 범위 57
(1) 개념 57
(2) 범위 57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58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60
2-8. 스마트 바이오 생산시스템 61
1) 개요 61
2) 산업 생태계 61
2-9. 가상훈련시스템 64
1) 개념 및 범위 64
(1) 개념 64
2) 산업 생태계 65
2-10. 맞춤형 웰니스 케어 67
1) 개념 및 범위 67
(1) 개념 67
(2) 범위 67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68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70
2-11.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71
1) 개념 및 범위 71
(1) 개념 71
(2) 범위 71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72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73
2-12.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74
1) 개념 및 범위 74
(1) 개념 74
(2) 범위 74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75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77
2-13. Multi-Terminal HVDC(직류 송ㆍ배전) 시스템 78
1) 개요 78
(1) HVDC 시스템 78
(2) HVDC 시스템 분류 79
2) 개발 방향 80
2-14.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82
1) 개요 82
(1) 목표 82
(2) 전략 82
(3) 효과 82
2) 발전산업측면에서 의미 83
2-15. 지능형 반도체 85
1) 개념 및 범위 85
(1) 개념 85
(2) 범위 85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86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88
2-16. 융복합 소재 89
1) 개념 및 범위 89
(1) 개념 89
(2) 범위 89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90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92
2-17. 지능형 사물인터넷 94
1) 개념 및 범위 94
(1) 개념 94
(2) 범위 94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95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96
2-18. 빅데이터 97
1) 개념 및 범위 97
(1) 개념 97
(2) 범위 97
(3) 주요 핵심 기술별 정의 99
2)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101
2-19. 첨단소재가공시스템 104
1) 개념 및 범위 104
(1) 개념 104
(2) 범위 104
2) 산업생태계 105
3) 국내외 시장 전망 105

Ⅱ. Multi-Terminal HVDC(직류 송ㆍ배전) 시스템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동향 109
1. 직류 송ㆍ배전 개발동향과 전망 109
1-1. 개요 109
1-2. 직류 송ㆍ배전 시장 동향과 전망 112
1) 산업 생태계 현황 112
2) 시장 현황 114
3) 기술 현황 116
4) 우리나라의 경쟁력 117
2. 직류 송ㆍ배전 분야 미래성장동력 종합 실천계획과 전략 119
2-1. 종합분석 및 추진전략 119
1) 문제점 119
2-2. 목표 및 추진전략 120
2-3. 전략별 세부 추진내용 121
1)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경쟁력 확보 121
(1) 추진전략 1?Multi-Terminal 직류 송·배전시스템 개발 121
(2) 추진전략 2 DC-Grid 국제공동 연구센터 설립 및
국제 공동연구 122
2) 산업발전 생태계 조성 123
(1) 추진전략 1 중소기업 기술 및 마케팅 지원을 통한
그루터기 기반 조성 123
(2) 추진전략 2 창조적 전력 산업 지식 및 인력 양성 123
(3) 추진전략 3 직류 송·배전 시스템 및 핵심부품 실증
기반구축 124
3) 법·제도 기반구축 125
(1) 추진전략 1 국내 직류 송·배전 이용촉진을 위한 관련
제도개선 125
(2) 추진전략 2 직류 송·배전 국제 표준화 활동 125
2-4. 실행계획 추진 일정 126
3.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 127
3-1. 제6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13. 8월) 127
1) 송배전설비계획 수립 방향 127
2) 송배전설비 확충기준 130
(1) 송변전설비 상정고장시 공급신뢰도 허용범위 130
(2) 발전소 계통연계기준 131
(3) 송배전설비 신증설 기준 132
3) 장기 송배전설비계획 수립결과 134
(1) 발전소 계통연계 134
(2) 제5차 계획 대비 주요사업 변경내역 135
4) 연도별 송변전설비 계획 140
5) 발전설비 건설계획 154
(1) 전국권 154
(2) 수도권 158
(3) 제주권 160
6) 발전설비 폐지계획표 161
7) 신재생에너지 설비계획 161
8) 집단에너지 설비계획 168
9) 도서지역 전력수급계획 및 전망 169
4. 제3차 에너지기술 개발계획(‘14∼‘23) 174
4-1. 개요 175
1) 수립배경 및 추진경과 175
(1) 수립배경 175
(2) 추진경과 176
2) 미래 에너지사회 도래에 따른 여건변화 177
(1) 글로벌 트렌드에 따른 기술수요 변화 177
(2) 해외 에너지 R&D 동향 179
(3) 국내 에너지기술 동향 182
3) 에너지기술개발 성과 및 평가 183
(1) 에너지 R&D 투자현황 183
(2) 성과 및 시사점 184
4) 제3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87
(1) 에너지 R&D 기본방향 187
(2) 비전 및 추진전략 188
5)『Energy Innovation Architecture 2025』프로그램 189
(1) 추진배경 189
(2) 프로그램 구성 190
(3) 프로그램별 세부 추진내용 192
4-2. 주요 정책과제별 추진전략 196
1) 미래선도를 위한 新 R&D체계 구축 196
(1) 시장-미래-세계를 지향하는 기술개발 196
(2) 공급-수요관리-혁신 R&D체계 운용 197
(3) 사업화 지향 기획평가 프로세스 구축 199
2) 시장창출을 위한 사업화 R&D 강화 201
(1) 실증 R&D와 사업화 진흥기능 강화 201
(2) 보급 및 타분야 연계로 신시장창출 204
(3) 신산업분야 기반R&D 지원 강화 204
3) 생태계 중심의 협력R&D 기반 마련 206
(1) 공공R&D 협력 거버넌스 고도화 206
(2) 에너지산업 생태계의 지역확산 촉진 207
(3)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 208
4) 역량강화를 위한 혁신인프라 구축 209
(1) 신산업을 선도하는 창의적 인력양성 209
(2) 글로벌 생태계를 감안한 국제협력 210
4-3. 기대효과 및 소요예산 211
1) 기대효과 211
2) 소요예산 212
4-4. 이행 계획 213

Ⅲ.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시장전망과 기술개발 동향 217
1.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개발동향과 전망 217
1-1. 개요 217
1-2.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시장 동향과 전망 220
1) 산업 생태계 220
2) 초임계 CO2 발전 기술 현황 222
2.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분야 미래성장동력 종합 실천계획과 전략 225
2-1. 종합분석 및 추진전략 225
1) 국내 실증기술 확보의 시급성 225
2) 목표와 추진전략 225
2-2. 전략별 세부 추진내용 226
1) 10MW급 실증을 통한 300MW 대형 상용 설계패키지 생산
기술 개발을 통한 선도기술 확보 226
(1) 추진전략 1 : 시장 선점을 위한 10MW 실증기술과
다양한 열원 연계와 300MW급 상용 기술 개발 226
2) 중소?중견?대기업의 실증기술 공동 개발을 통해 산업
생태계 건전성과 경쟁력 확보 230
(1) 추진전략 1 : 주요 핵심기술 보유 강소 글로벌 기업
육성을 통한 발전 산업 생태계 건전성 강화 230
(2) 추진전략 2 : 에너지인력양성사업을 활용한 기술선도
인력양성과 이를 통한 경쟁력 확보 232
(3) 추진전략 3 : 설계ㆍ건설, 운전 단계별 특허 확보 232
2-3. 추진 일정 및 담당 부처 234
3.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안) 235
3-1. 개요 235
1)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방향과 특징 235
(1)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과제로 추진 235
(2) 수요전망의 정밀성과 객관성 확보 236
(3) 에너지신산업을 적극 활용한 수요관리목표 확대 236
(4) POST 2020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 전원구성 강화 237
(5) 분산형 전원기반구축 및 발전사업 이행력강화 238
2)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전원구성 전망 238
3) 신규원전과 고리1호기 239
3-2. 제7차 전력수급계획(안) 세부 내용 240
1) 전력수급기본계획 개요 240
2) 전력수급 현황 240
(1) 전력 수요 및 공급 240
(2) 최근 전력 수요 추이 241
3)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평가 242
4)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기본 방향 243
(1)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 243
(2) 수요전망의 정밀성과 객관성 확보 243
(3) 에너지 신산업을 적극 활용한 전력 수요관리 243
(4) Post 2020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 전원믹스 강화 244
(5) 분산형 전원 확산기반 구축 및 발전사업 이행력 강화 244
5) 중장기 수요전망 245
(1) 모형 및 주요전제 245
(2) 목표수요 전망 246
(3) 수요관리계획 247
6) 발전설비 계획 250
(1) 적정설비규모 및 신규 필요설비 250
(2) 신규 물량에 대한 전원 구성 251
(3) 발전설비 투자비 전망 251
(4) 연도별 전원수급 전망 및 전원 구성(안) 251
7) 분산형 전원 확대방안 253
(1) 적용기준 및 범위 253
(2) 보급목표 및 전망 254
(3) 분산형 전원 확대방안 254
8) 송변전 설비계획 255
4. 국내 발전 산업 주요 통계 257
4-1. 발전 전력 257
4-2. 발전 연료 278
4-3. 발전 설비 288
4-4. 송배전 설비 297
4-5. 전력용 정보통신 설비 304
4-6. 전력 구입, 판매 실적 306
책제원정보
ISBN 9791185037387
판형정보 310쪽 / 210 X 297 mm
출판사 데이코
출판일 2015-06-19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멀티 터미널 직류 송ㆍ배전(HVDC) 시스템과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기술, 시장 실태와 개발전략 (학술도서)
    270,000원

총 주문금액

2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