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한영 번역, 이럴 땐 이렇게』는 통번역사이자 통번역 강의를 하고 있는 저자 조원미가 자신이 직접 경험한 영어 글쓰기 방법과 노하우를 학생들에게 조곤조곤 이야기하듯 풀어낸 책이다. 우리말과 영어의 구조를 비교해 가며 우리말의 주어와 서술어를 영어로 옮길 때 겪는 어려움과 그 해결법은 무엇인지, 우리말의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이 영어에서 어떻게 번역되는지 용례와 예문을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통번역사 조원미 교수가 알려 주는
분야별, 주제별, 용도별 영어 글쓰기 노하우
『한영 번역, 이럴 땐 이렇게』는 통번역사로 일한 지 20년, 대학에서 통번역 강의를 한 지 10년 된 조원미 교수가 자신이 직접 경험한 영어 글쓰기 방법과 노하우를 학생들에게 조곤조곤 이야기하듯 풀어낸 한영 번역 입문서이자 영작문 책이다.
우리말과 영어의 구조를 비교해 가며 우리말의 주어와 서술어를 영어로 옮길 때 겪는 어려움과 그 해결법은 무엇인지, 우리말의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이 영어에서 어떻게 번역되는지 용례와 예문을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유의해야 할 콩글리시, 대조 표현, 관용 표현 등을 알려 준다. 또 기사, 기고문, 논문, 실용문(메일, 초대장, 축사 등), 수필 등의 우리말 원문을 제시하고 비전문가의 번역과 전문가의 번역을 번갈아 보여 주면서 영작을 잘하는 방법을 꼼꼼히 짚어 준다.
<출판사 리뷰>
『한영 번역, 이럴 땐 이렇게』는 일찍이 미국 9.11사태 때 한인 피해자들을 위한 통번역사로 활동하여 미국 적십자사로부터 감사장을 받은 조원미 교수가 통번역사 20년, 번역 강의 10년 경험을 총체적으로 풀어낸 책이다. 번역사를 꿈꾸는 많은 이들, 그리고 영어를 쓰거나 읽는 일이 많은 직장인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영어 글쓰기 방법과 노하우를 담고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말과 영어의 구조를 비교해 가며 우리말 주어와 서술어를 영어로 옮길 때 겪는 어려움과 그 해결법은 무엇인지, 우리말 명사, 동사, 형용사 등이 영어에서 어떻게 번역되는지 용례와 예문을 통해 알기 쉽게 설명하고 유의해야 할 콩글리시, 대조 표현, 관용 표현 등을 알려 준다. 또 기사, 기고문, 논문, 실용문(메일, 초대장, 축사 등), 수필 등의 우리말 원문을 제시하고 비전문가의 번역과 전문가의 번역을 번갈아 보여 주면서 영작을 잘하는 방법을 꼼꼼히 짚어 준다. 책장 사이사이에 있는 저자의 영어 학습 팁, 학습 의욕을 고취시켜 주는 이야기, ‘빵~ 터지는 펀치라인(Punchline)’을 읽는 재미 또한 쏠쏠하다.
한영 번역, 이럴 땐 이렇게
우리말과 영어의 구조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 배경이 되는 문화와 의식이 다르다. 그래서 우리말을 영어로 옮기거나 영어로 글을 쓸 때면 주어, 서술어, 목적어 등 문장 구조에서 비롯되는 문제, 직역과 의역, 콩글리시나 관용 표현 때문에 고민에 빠지게 된다. 이 책은 이럴 때 특히 큰 도움이 된다. 우리말의 주요 문형을 한영 번역한 예와 함께 수정 번역을 제시하거나 상세한 설명을 해 주기 때문이다.
가령 우리말과 다른 영어 구조에 유의하면서 우리말의 ‘주어+동사(형용사)’ 구조를 영어로 옮길 때 다음과 같이 예문을 제시하고 설명을 더했다.
Ex 1. 그 그림은 색채가 화려하다.
[번역] The painting is replete with dazzling colors.
[설명] “색채가 화려하다”를 “화려한 색채”로 바꾸어 번역합니다. 다시 말해 형용사 “화려한(dazzling)”+명사 “색채(color)” 구조로 바꾸는 것입니다.
Ex 2. 한국이 그 행사를 주최할 가능성이 크다.
[번역] Korea has a large(=high) possibility of hosting the event.
[설명] “가능성이 크다”를 영어의 형용사+명사 구조인 “큰 가능성”으로 번역합니다.
_본문 23쪽 중에서
또한 “우리말의 ‘주어+동사(형용사)’ 구조가 영어로 번역될 때 동사는 형용사로, 주어는 명사로 바뀌어 ‘형용사+명사’ 구조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잘 알아 두면 ‘은, 는, 이, 가’가 붙는 단어가 2개 이상 들어 있는 문장을 영어로 번역할 때 아주 유용합니다.”라며 한영 번역을 잘하기 위한 방법을 정리해 준다.
그런가 하면 ‘사람이 주어가 아닌 경우가 많은’ 영어의 특성을 고려한 번역 방법도 알려 준다. 일례로 영어에서는 The table bears my photo.처럼 탁자가 주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무생물을 주어로 하여 영어 글쓰기를 할 때는 그에 따른 동사의 구조와 표현에도 유의해야 한다.
Ex 1. 우리는 예산이 부족해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수 없었다.
[직역] We could not begin a new project because our budget is insufficient.
[설명] “우리는” 대신 “예산이 부족해서”를 영어의 형용사+명사 구조인 “부족한 예산”으로 바꾸어 주어로 하여 번역해 봅시다.
[번역] Our limited budget did not allow us to begin a new project.
_본문 33쪽 중에서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말 “∼한다면”에 해당하는 조건절을 주어로 하여 영어식 구조를 만드는 방법도 있다.
Ex 1. 낮잠을 자면 기억력이 좋아진다.
[직역] If you take a nap, your memory will be good.
[설명] 우리말의 주어+동사 구조인 “기억력이 좋아진다”를 영어의 형용사+명사 구조로 만들기 위해 “좋은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