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현직 시장이 가슴으로 쓴 영상일기
고양시장 최성의 산문집 『울보 시장』의 개정증보판. 세상에서 가장 눈물 많은 ‘울보 시장’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 과정을 책과 ‘영상’으로 전하기 위해, 최근 사회적 이슈에 관한 자신의 생각 등을 보완하여 이 책에 담았다. 저자는 이번 책과 40분 분량의 다큐멘터리 영상에서 자신의 개인적 삶의 굴곡들을 과감히 고백하는 것은 물론, 민심의 현장에서 만난 시민들의 삶에 깊이 천착해 있다.
저자 특유의 소통법은 주황색 점퍼를 입고 녹색 하이브리드 소형차로 현장을 누비며, 시민을 만나는 소탈한 면모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이면에 청각장애인 누나를 비롯한 가족사적 아픔은 물론 돈과 권력에 의해 이중으로 억압받는 서민들의 삶을 처음 직시한 젊은 시절 등 개인적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역지사지의 정신이 바탕으로 깔려 있다. 세월호 참사와 고양터미널 화재 사고 등 사회적 아픔은 그 깊이를 더했다. 그리고 이 책 한 권에는 그가 ‘진보적 학술연구자’, ‘청와대 행정관’, ‘국회의원’ 등의 길을 걸어오면서 축적된 이력이 오롯이 녹아 있다.“부끄러운 것은 눈물이 아니라 현실이다!”
국내 최초, 현직 시장이 가슴으로 쓴 영상일기
★★★★★ 오래전 나는 최성 시장에게 ‘정치학’을 가르쳤지만,
이제 나는 그에게 ‘정치’를 배우려 한다. - 최상용(고려대 명예교수, 전 주일대사)
고양시장 최성의 산문집 『울보 시장』의 개정증보판. 세상에서 가장 눈물 많은 ‘울보 시장’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 과정을 책과 ‘영상’으로 전하기 위해, 최근 사회적 이슈에 관한 자신의 생각 등을 보완하여 이 책에 담았다. 저자는 이번 책과 40분 분량의 다큐멘터리 영상에서 자신의 개인적 삶의 굴곡들을 과감히 고백하는 것은 물론, 민심의 현장에서 만난 시민들의 삶에 깊이 천착해 있다.
저자 특유의 소통법은 주황색 점퍼를 입고 녹색 하이브리드 소형차로 현장을 누비며, 시민을 만나는 소탈한 면모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이면에 청각장애인 누나를 비롯한 가족사적 아픔은 물론 돈과 권력에 의해 이중으로 억압받는 서민들의 삶을 처음 직시한 젊은 시절 등 개인적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역지사지의 정신이 바탕으로 깔려 있다. 세월호 참사와 고양터미널 화재 사고 등 사회적 아픔은 그 깊이를 더했다. 그리고 이 책 한 권과 영상 한 편에는 그가 ‘대학교수’, ‘청와대 행정관’, ‘국회의원’, ‘고양시 재선시장’ 등의 길을 걸어오면서 축적된 이력이 오롯이 녹아 있다.
출판사리뷰
“나는 항상 웃고 있었지만,
마음으로는 늘 울어야만 했다!”
지극히 평범한 모습으로 시정을 펼치는, 최성 시장의 시정 에세이
항상 웃고 있으면서도 마음으로는 울어야 했다고 고백하는 ‘울보 시장’. 그는 재선 시장으로서 인구 100만 도시 고양시를 ‘전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었고, 지방자치와 시민들과의 SNS 소통 면에서도 전국 1위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는 목민자치대상을 수상한, 청렴하고 능력 있는 시장이다.
그는 자신의 눈물이 슬픔과 절망으로 가득한 삶을 이어가는 시민들의 눈물과 만났다고 고백한다. 책 서두에서 그가 ‘눈물은 낮은 곳으로 흐른다’라고 밝힌 것처럼, 그는 지극히 평범한 모습으로 최대한 시민들에게 다가가기 위해 노력했다. 시민들 역시 그에게 마음을 열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재선 시장이 되는 과정에서 감당하기 힘든 고통을 겪게 된다. 세월호 참사에 이은 고양터미널 화재, 그리고 아버지의 별세다.
“불길 속에서 생사를 알 수 없는 가족을 기다리며 발버둥 치는 일과, 병실에서 말기 암 투병 중인 가족을 앞에 두고 가만히 서 있는 일은 얼마나 다른 것일까?”
‘시민을 섬기는 훌륭한 시장이 되라’는 아버지의 유언을 꼭 받들겠다고, 그는 자신과 시민에게 몇 번이고 다짐했다. 그리고 그 시련의 시간들을 그간 기록해온 영상일기와 함께 과감하고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내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실패가 아니라, 시민들의 마음이었다.”
5년 시정의 길, 30년 민주주의의 길, 50년 인생의 길
지역구의 현안 해결과 예산 확보는 물론 개혁적 입장에서 거대담론과 남북화해협력에 심혈을 기울이며 국회 청문회 스타, TV토론 프로그램 단골 패널 등으로 활약해온 17대 국회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18대 총선에서 쓰라린 패배를 겪는다.
그는 잠시나마 시민들에게 야속함을 느끼기도 했지만, 결국 그가 원망했던 시민들은 이후 새로운 시장이라는 도전에 전폭적인 지지와 성원을 보내주었다. 항상 남들보다 앞서 나간다고 생각했고 위만 바라보며 달려왔던 저자는 비로소 ‘민심과 시대정신의 무서운 힘’의 존재를 새로 배울 수 있었다고 진술한다.
시민들로부터 시장 임명장을 받고 본격적으로 시작된 저자의 시정기는 어느 반전영화보다도 파란만장했다. 신문지에 식칼을 싸들고 시장실로 들어온 민원인을 응대해야 했고, 청사 앞에서 장송곡을 틀고 관 속에서 잠을 자며 단식투쟁을 했던 어느 젊은 부부도 만났다.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세 자매를 만나 그 소녀들과 함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관습적으로 내려온 잘못된 행정들을 재편해 도시의 미래비전을 새로 그려야 하는 책임 있는 일들이 주어졌으며 ‘서울시 기피시설’ 등으로 중앙정부나 다른 지자체의 모순에 전면적으로 맞서야 하는 날도 있었다.
그는 이런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 국내 최초로 현직 시장의 시정 다큐멘터리로 제작, 이번 개정증보판에서 이 한 편의 영상일기를 QR코드를 통해 감상할 수 있도록 무료로 제공한다.
“내가 생각하는 신뢰란
서로 간의 진실된 마음이 통할 때 생기는 것이다.”
삶의 무게에 힘들어하는 이들을 위하여
저자는 1부 ‘가슴으로 쓰는 일기’에서 대한민국을 ‘우울증 공화국’이라 명명하고 날로 심화되고 있는 사회병리현상들을 시민들의 삶에서 발견하고 함께 모색해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