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광복 70주년을 맞아 출간된『사랑할 때와 죽을 때』는 한국인 남편 김찬(1911~1939)과 중국인 아내 도개손(1910~1939) 항일투쟁가 부부의 평전이다. 부부가 나란히 평전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세계적으로도《주은래 부부평전》 등 몇 건 뿐이다. 부부가 나란히 평전의 주인공이 된 이유는 두 사람의 항일투쟁이 대등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부인의 역량이 더 높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이다. 그리고 두 사람의 사랑과 항일투쟁은 물론, 무엇보다 마지막 죽음까지 함께했기 때문이다. 우리 현대사에서 부부가 항일투쟁에 헌신한 경우는 많지만 마지막 순간까지 같이한 경우는 없었다. 역사학자 이덕일도 “김찬·도개손의 삶이 다른 사회주의 혁명가 부부와 달랐던 점은 죽음까지 함께했다는 점”이라고 평가했다.광복 70주년, 80년 만에 발굴된 최초의 한·중 항일혁명가 부부 평전
광복 70주년을 맞아 항일투쟁가 부부의 평전이 나왔다. 한국인 남편 김찬(1911~1939)과 중국인 아내 도개손(1910~1939) 부부의 평전이다. 부부가 나란히 평전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세계적으로도『주은래 부부평전』 등 몇 건 뿐이다.
부부가 나란히 평전의 주인공이 된 이유는 두 사람의 항일투쟁이 대등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부인의 역량이 더 높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이다. 그리고 두 사람의 사랑과 항일투쟁은 물론, 무엇보다 마지막 죽음까지 함께했기 때문이다. 우리 현대사에서 부부가 항일투쟁에 헌신한 경우는 많지만 마지막 순간까지 같이한 경우는 없었다. 역사학자 이덕일도 “김찬·도개손의 삶이 다른 사회주의 혁명가 부부와 달랐던 점은 죽음까지 함께했다는 점”이라고 평가했다.
이 책에는 이들 부부뿐 아니라, 김찬의 여동생이자 또 다른 한·중 항일혁명가 부부인 김순경 부부(남편 장문열은 중국인 항일혁명가)와 ‘만주 항일투쟁사의 신화’로 불리던 항일혁명가 양림·이추악 부부도 함께 소개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항일 여(女) 영웅’으로 불리던 이추악 역시 일제의 고문과 악형에도 굴복하지 않자 결국 총살되었다. 특히 이 책에서는 김찬의 여동생 부부 김순경·장문열 역시 강생의 모략으로 모스크바에서 누명을 쓰고 함께 처형된 사실도 새롭게 밝혀냈다.
한국과 중국이 사랑으로 손 맞잡고 이뤄낸 새로운 항일운동의 역사
이 부부 평전의 또 다른 특징은 김찬은 조선인, 부인 도개손은 중국인이라는 점이다. 김찬은 평안북도 진남포에서 태어나 중국으로 이주했으나 혁명적 노동운동을 통해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해 다시 조선에 들어왔다. 1930년대 조선에서 노동운동가로서 그의 역할은 컸다. 하지만 일제에 검거돼 조봉암 등과 함께 신의주 형무소에서 복역했다.
김찬은 출감 후 중국인 부인 도개손을 만나 결혼했다. 부인 도개손은 중국 명문가 집안 출신으로 1930년대 북경대 최초의 이과계 여학생일 정도로 재원이었다. 그러나 그녀는 무명의 조선인 노동운동가를 사랑했다. 도개손은 주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랑하고 결혼했다. 그리고, 아들(김연상)과 딸(소나)을 낳았다. 도개손은 조선인 남편을 버리면 살려주겠다는 마지막 제안을 망설임 없이 거부하고 남편과 함께 생을 마감했다. 중앙당교에서 도개손과 함께 학교를 다닌 강청(모택동의 부인)과 북경대 재학 시절 절친한 후배였던 탁림(등소평의 부인)을 비롯, 당시 연안에 살던 300명 가량의 중국 명문대 출신 엘리트 여성들은 후에 대부분 중국공산당 지도자들과 결혼했다. 그리고 모두 큰 영화를 누렸다. 오직 조선인 남자와 결혼했던 도개손만이 비극적이고 참혹한 운명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이 김찬·도개손 평전의 제목이『사랑할 때와 죽을 때』라고 정해진 것도 그 때문이다. 원래「사랑할 때와 죽을 때」는『서부 전선 이상 없다』로 유명한 독일 태생의 반전 소설가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장편소설 이름이다. 출판사측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가장 치열했던 러시아 전선을 배경으로 이뤄진 슬프고 아름다운 운명적 사랑을 서정적으로 그려낸 장편소설「사랑할 때와 죽을 때」에서 이 평전의 제목을 따왔다”고 설명했다.
김찬· 도개손 부부가 처형된 후 이들이 남긴 자녀들의 삶은 어떻게 흘러갔을까. 부모님의 생애를 글로 남기는 작업을 하며 이 책의 자료 다수를 제공한 아들 김연상은 역시 중국 땅에서 터전을 잡은 김찬의 둘째 형수, 이석경의 손에 맡겨져 십대가 될 때까지 큰어머니를 친어머니로 알고 자랐다. 딸 소나는 도개손의 큰언니 도위손의 손에 자랐다. 김찬·도개손 부부의 자녀들도 조선인과 중국인으로 헤어져 자란 것이다.
일제 하 [동아일보]에 연일 사진과 기사가 오르내리며 혁명적 노동운동을 통한 항일투쟁을 전개한 김찬
현재 한국과 중국, 일본을 둘러싼 국제상황은 김찬, 도개손이 활동하던 1930년대 상황과 비슷하다. 지금도 일본 제국주의는 계속 부활을 노리고 있고, 한국과 중국은 이에 맞서고 있다. 김찬은 조국 조선의 독립을 위해, 도개손도 조국 중국을 지키기 위해 일본에 맞서 싸웠다. 80년 전 동북아 국제상황이 지금과 비슷하다는 것은 ‘역사는 바로 현재’라는 명제와 맞아 떨어진다.
김찬은 1930년대 혁명적 노동운동을 통해 조선공산당을 재건하려던 인물이다. 그는 코민테른 국제선 김단야와 함께 마지막까지 조선에서 활동했다. 그러나 김찬은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완전히 잊혀진 존재였다. 김찬이 활동 무대를 중국으로 옮긴 이유도 있지만 얄궂은 동명이인(김찬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한 본명 김락준)의 변절 때문이다.
김찬은 45일간 일제 경찰의 혹독한 고문을 견뎌냈다. 박헌영은 일제 경찰의 잔혹
목차
추천의 글_광복 70주년에 우리 곁으로 돌아온 김찬·도개손의 삶|이덕일(역사학자,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소장)
작가의 말_망각 속에 묻혀 있던 김찬과 도개손의 짧은 삶을 꺼내며
프롤로그_1939년 연안의 겨울
1장 운명을 느끼다
1. 1911년 진남포, 혁명아의 고향에서 태어나다
2. 1922년 중국 통주, 혁명가의 싹을 키우다
2장 혁명가와 연인의 이름으로
3. 1929년 상해, 혁명가의 길을 걷다
4. 1930년 북경, 영원한 동지이자 연인 도개손을 만나다
3장 혁명가 김찬
5. 1931년 조선, 혁명적 노동운동가로 활동하다
6. 1932년 진남포, 삼성정미소 파업을 조종하다
7. 1932년 경성, 위기일발 도피하다
8. 1932년 선천, 45일간 고문을 이겨내다
9. 1933년 신의주형무소, 혹독한 겨울과 싸우다
10. 1934년 상해, 국경을 초월해 사랑하다
11. 1936년 만주, 할빈에서 위기를 넘다
12. 1936년 다시 북경, 나란히 항일투쟁에 나서다
13. 1937년 연안, 혁명의 성지가 공포의 땅으로 바뀌다
에필로그_1982년, 43년만의 복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