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9_ ‘정치 복원’ 시대
2ㆍ12 총선에서 ‘민심의 홍수’를 만나다 / 전례 없는 개원 협상: ‘대화’로 ‘돌파구’를 마련하다 / 학원안정법의 희생양들 / 노태우, ‘박종철 사건’으로 경쟁자들 정리 / ‘6월 드라마’의 주인공은 누구인가 / ‘대한민국’은 언제 ‘건국’되었나 / ‘지는 해’의 착각, ‘뜨는 해’의 술수 / “소선거구제는 망국적 제도!” / 정말 힘들게 오른 ‘3선 고지’ / ‘여소야대’의 뜨거운 맛 / ‘중간평가’로 정국 돌파하라 했건만 / 징검다리 ‘동해 재선거’
10_ 망국적 3당 합당
‘허공의 메아리’ 혹은 역린 / 무력하게 지켜본 3당 합당
11_ 민주자유당 대선 후보 경선
제14대 총선 참패와 김영삼의 ‘국면 뒤집기’ / 청와대의 ‘박태준 비토’ / 김종필의 밀약 / 민정계 후보 단일화 / 경선 전초전 / “김영삼과 김종필의 시대는 갔다” / 아내가 김옥숙 여사를 만나다 / 최후의 선택을 향해 / 나는 패배하지 않았다
12_ 새로운 모색
‘새정치모임’ 결성과 YS의 ‘백기 투항’ 요구 / ‘독립운동 세력이 왜 퇴조했는지 알겠다!’ / 신당 창당 작업과 김우중의 아리송한 행보 / 새한국당 창당: ‘수평적 정권 교체’를 위해 / 눈물의 합당 / 처절한 파탄 / ‘야당 정치인’으로 거듭나기 / 민주당 합류: ‘정치 초심’으로 돌아가기 / 1995년 지방선거의 명암
13_ 김대중 대통령 만들기
15대 총선 패배를 딛고 대선기획팀을 꾸리다 / DJ 비서실장직을 고사하다 / 야권 단일화 작업에 끼어든 JP의 ‘정치적 음모’ / ‘DJP’를 넘어 ‘DJT’로! / ‘준비된 대통령’론으로 ‘비자금’ 파고를 넘다 / 외래형 책사 vs. 토착형 책사 / 마지막 고빗길 ‘외환 사태’
14_ 헌정 사상 최초의 인수위 활동
김대중 대통령 당선 직후의 나날들 / 사상 첫 정권인수위원회의 명과 암 / ‘국민의 정부’의 새 지평을 열다
15_ 국정원에서 바라본 세상
17년 5개월 만의 귀향 / 북풍과 총풍의 전모 / IMF 사태에 자극받아 국제경제조사연구소 신설: 경제 시스템 붕괴되면 국가 안보도 동반 약화 / 북한 읽기의 어려움 / 국내정보에서 손 떼기는 쉽지 않았다: 방향 전환을 위한 시도와 시행착오 / 국가 정보기관장의 평양행: 그곳에는 무슨 좋은 것이 있을까 / 대우 해체의 막전 막후 / 김대중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이야기 / ‘통신감청 논란’의 뿌리 / ‘이제 떠날 때가 되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