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기의 조선, 근대 국가 건설로 나아가다
01 흥선 대원군이 가슴속에 품은 야망은?
02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의 문은 열리는가?
03 흔들리는 조선, 개화냐 척사냐?
04 동학 농민 운동은 왜 일어났는가?
05 갑오개혁의 내용과 한계는?
역사돋보기 - 해외에 떠도는 우리 문화유산은 얼마나 될까?|강화도 조약의 굴욕, 그 내용은?|우리나라 국기 ‘태극기’가 탄생한 이야기|동학 농민군을 이끈 세 명의 지도자|갑오개혁 추진으로 달라진 조선 사회
한눈에 정리 - 흥선 대원군의 고민과 선택은?
2 국권을 지키기 위해 일어서다
06 을미년에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07 독립 협회가 만민 공동회를 개최한 까닭은?
08 조선이 대한 제국으로 나라 이름을 바꾼 까닭은?
09 을사조약 체결에 목숨 바쳐 저항한 까닭은?
10 애국 계몽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11 개화기에 들어온 신문물들은?
역사돋보기 - 민비는 누구인가?| 서재필 다시 보기|대한 제국 때 여학교의 생활 모습|외국인 기자 매켄지가 본 대한 제국의 의병들|애국 계몽 운동기 때의 베스트셀러|이것이 한국 최초!
한눈에 정리 - 삼국 간섭과 을미사변
3 우리 민족은 일제에 어떻게 대항했을까?
12 일제의 통치 방식이 세 번 변한 까닭은?
13 기미년 3월 1일, 대한 독립 만세!
14 1920년대 국내의 민족 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15 중국과 만주에서 무장 투쟁을 전개한 까닭은?
16 민족 문화를 지키기 위한 노력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역사돋보기 - 위안부 협상과 평화의 소녀상|독립 만세 운동에 참여한 제암리 사람들|이슈! 물산 장려 운동|청산리 전투의 영웅, 김좌진은 누구인가?|우리의 독립 의지를 고취시킨 두 편의 시
4 대한민국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다
17 조국 광복은 어떻게 찾아왔는가?
18 대한민국 정부는 어떻게 수립되었는가?
19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노력들은?
20 6·25 전쟁이 우리에게 남긴 상처는?
21 1960~70년대 우리나라는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
22 1980년대 이후의 우리나라는 어떤 변화 속에 살고 있나?
23 평화 통일을 위하여 무엇을 해야 하나?
역사돋보기 - 조국 광복을 맞이하던 날, 우리 민족은?|대한민국 헌법 전문|세계 각국의 민족 배신자 처벌|6·25 전쟁! 아직도 아물지 않은 상처들|제4공화국 시절 금지곡이 된 노래들|제1공화국부터 문재인 정부 출범까지|6·15 남북 공동 선언
에필로그 역사를 위한 변명-역사 공부가 필요한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