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로운 통일 왕조, 고려
01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의 힘은 어디서 나왔을까?
02 고려 초기의 왕들이 취한 왕권 강화 정책은?
03 고려 전기 사회를 이끌어 간 통치 제도들은?
04 고려 전기의 탁월한 외교 전략은 무엇일까?
05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이 일어난 까닭은?
06 무신 정권은 어떻게 유지되었을까?
07 무신 정권기에 농민과 천민의 저항 운동이 활발했던 까닭은?
08 고려는 몽골의 침입에 어떻게 맞섰는가?
09 원나라 간섭기에 공민왕은 어떤 정책을 펼쳤는가?
10 고려 왕조가 망한 까닭은?
11 고려의 종교와 사상의 발전은 어떠했을까?
12 귀족들이 주도하여 화려하게 꽃핀 고려 문화는?
역사돋보기 - 왕건이 나주 지역을 점령한 의미는?| 장화왕후와 왕건의 썸씽 스페샬|고려 시대 향리는 과거를 볼 수 있었을까?|‘Korea’의 기원은?|이자겸과 굴비|최씨 무신 정권을 유지했던 권력 기구들|만적의 봉기가 실패한 이유|어느 시대에나 배신자는 있다?|노국대장공주가 끝까지 살아 있었다면?|이방원과 정몽주의 시조 대결| 고려 초기 불상들은 왜 하나같이 못생겼을까?|원과 교류하면서 받아들인 문물은?
한눈에 정리 - 무신 정권의 결말은?|공민왕의 개혁 정책
2 아침의 나라, 조선이 서다
13 조선은 어떻게 국가의 기틀을 갖추었는가?
14 조선의 통치 체제는 어떻게 정비되었는가?
15 훈구 세력과 사림 세력은 왜 다투었을까?
16 조선 전기에 발달한 민족 문화는?
17 우리 민족은 왜란을 어떻게 극복하였는가?
18 광해군이 중립 외교 정책을 편 까닭은?
역사돋보기 - 한양 천도와 왕십리 이야기|조선 시대 봉수제는 어떻게 운영되었을까?|우후죽순처럼 세워진 서원의 말로는?|몽유도원도는 어떻게 그려졌을까?|필사즉생, 필생즉사(必死卽生, 必生卽死)| “열지자(裂之者)도 가(可)요, 습지자(拾之者)도 가(可)라”
한눈에 정리하기 - 조선의 기틀을 마련한 왕들
3 조선 후기에 불어닥친 변화
19 조선 후기로 접어들며 통치 체제는 어떻게 변했을까?
20 붕당 정치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21 영조와 정조가 탕평책을 실시한 까닭은?
22 사회 경제 분야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변화들은?
23 실학자들이 꿈꾸었던 사회는?
24 조선 후기 문화의 새로운 변화들은?
25 세도 정치는 어떤 폐단을 가져왔는가?
26 천주교와 동학이 널리 퍼진 배경은?
역사돋보기 - 대동법 실시가 가져온 변화|숙종 때의 환국 정치|영조의 어머니는 천민이었다|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했던 무역상 임상옥|연암 박지원의 실학 정신을 보여 주는 『허생전』|이것이 대동여지도다!|홍경래는 누구인가?| 천주교 박해 사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