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금강경』소疏 서설
1장 법회인유분法會因由分 - 경전의 무대
2장 선현기청분善現起請分 - 붓다에게 길을 묻다
3장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 거기 '나'는 없다
4장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 세상에 공짜도 있다
5장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 "여래는 오지 않는다"
종합 1장에서 5장까지 설파한 내용 정리Ⅰ두 번의 설법이 끝났다
6장 정신희유분正信希有分 - 뗏목으로서의 불교
7장 무득무설분無得無說分 - 무위법無爲法 안의 개성들
8장 의법출생분依法出生分 - 이 사구게四句偈를 수지하는 복덕이
9장 일상무상분一相無相分 - 아라한, 혹은 불교적 성숙의 네 단계
종합 1장에서 9장까지의 가르침 정리Ⅰ"산은 산, 그리고 물은 물"
10장 장엄정토분莊嚴淨土分 - 누가 불국토佛國土를 장엄하는가
11장 무위복승분無爲福勝分 - 온 세상을 얻고도 이 진실을 놓치면
12장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 『금강경』은 어디 있는가
13장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 이 지혜를 '반야바라밀'이라 이름하노니
14장 이상적멸분離相寂滅分 - 법문을 듣고 뜨겁게 울다
마무리 왜 불교인가 - 무실무허無實無虛, 삶의 역설적 기술
부록 혜능의 『금강경 구결口訣』, 그 서문序을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