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20세기 한국 경제를 견인한 巨人 정주영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서로서 이 책을 쓰면서 저자는 제 5부에서 10가지 우리에게 필요한 덕목들을 정리해내고 있다. 피상적인 덕목의 나열을 넘어 서서,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들이 어디서 어떻게 거인 정주영의 기질과 자질들을 받아들이고 유용한 자양분으로 삼을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도출해내려 했다. 이를 통해 이 책은 단순히 인물 소개에 그치는 전기서를 넘어 정주영을 통해 ‘나’를 키울 수 있는 ‘힘’을 가진 인문 자양서가 되고 있다.인문학으로 정주영을 읽다!
정주영 회장을 있게 한 정주영의 내면탐구!
그는 어떤 덕목들을 가지고 20세기의 신화를 창조했나?
인간 정주영의 덕목을 배우기 바란다!
“소떼를 몰고 방북하시던 때의 정주영 회장님의 그 모습이 아직도 눈에 생생한데 회장께서 타계한 지도 15년이 지났다. 회장님이 살아계실 때 나는 그와 함께 국내외 건설 현장이라든가 울산의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공장 등을 많이 견학했다.
그는 사업의 영역과 마찬가지로 인간관계의 폭이 넓어서 나와 같은 글쟁이나 최불암 씨 같은 탤런트에게도 많은 애정을 주셨다. 말이 많은 분은 아니셨지만 한마디 말씀도 깊이가 있고 재치가 넘쳤다.
정주영 회장은 ‘현대’로 일컬어지는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군만을 남긴 것은 아니다. ‘자동차’와 ‘조선’과 ‘건설’의 신화만을 남긴 것은 아니다. 그가 우리에게 남긴 진정한 가치는 낙천성, 불굴의 의지, 인간에 대한 배려 같은 정신적이고 인문학적인 것이다. 정주영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출간한『거인의 길-정주영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는 그러한 점을 잘 조명하고 있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고 인간 정주영의 덕목을 배우기 바란다. 그리고 어려움을 이겨내기 바란다. 그 분은 이렇게 말씀하시곤 했다. “길을 모르면 길을 찾고, 길이 없으면 길을 닦아야지.” _김주영(소설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인물의 단순한 전기를 넘어
오늘의 우리에게 필요한 덕목들을 동서양 고전들을 통해 추출한
보기 드문 설득력을 갖춘 인문학적 정주영 탐구서
아산(峨山)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 탄생 100주년을 맞아 현대그룹 임직원 강의 및 견학과 취재를 통해 현대그룹과의 인연을 가졌던 저자가, 다양한 동서양 고전의 도움과 인문·사회학적 분석을 통해 아산의 삶의 궤적과 내면의 형성 과정을 탐구한다. 이 과정에서 독자들에게 아산이 이룬 거대한 성취의 뿌리를 드러내 주고, 인간과 기업 및 세계에 대한 아산의 이해와 비전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게 해준다. 무엇보다 아산의 내면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 역시 그러한 내면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 그로써 우리 사회에 제2, 제3의 아산이 나올 수 있음을 확신하게 해준 것은 이 책만의 독특한 매력이라 할 수 있다.
20세기 한국 경제를 견인한 巨人 정주영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서로서 이 책을 쓰면서 저자는 제 5부에서 10가지 우리에게 필요한 덕목들을 정리해내고 있다. 피상적인 덕목의 나열을 넘어 서서,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들이 어디서 어떻게 거인 정주영의 기질과 자질들을 받아들이고 유용한 자양분으로 삼을 수 있는지 이론적으로 도출해내려 했다. 이를 통해 이 책은 단순히 인물 소개에 그치는 전기서를 넘어 정주영을 통해 ‘나’를 키울 수 있는 ‘힘’을 가진 인문 자양서가 되고 있다.
출판사 서평
“나로서 최선을 다하는 그 혼신의 집중과 정열과 전심전령을 소진하는 질주의 기나긴 행로만이 있었다.”
-정주영,「새봄을 기다리며」 중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맨손으로 전인미답의 길을 걸어 20세기 한국의 산업화를 이끌었던 인물. 한계를 알지 못했던 불도저 같은 세계 시장의 개척자. 자신이 세운 기업 ‘현대’를 통해 한국 경제 성장의 한 축을 떠맡아 오직 앞으로만 나아간 기업인.?평생 부를 쌓으며 달렸으되 부에 안주하지 않고 부를 통한 보국안민의 길을 걸었던 인물. 아산 정주영(峨山 鄭周永)을 가리키는 수식어는 이 밖에도 많다.
다른 사람이라면 그 같은 상황에서 그처럼 행동할 수 있었을까? 정주영만이 그와 같이 행동할 수 있었다면, 그것도 한두 해가 아니라 수십 년에 걸쳐 종종 그렇게 할 수 있었다면, 대체 그만이 지닌 능력은 무엇인가? 필자는 이러한 물음에 답하고자 먼저 그의 일생을 살펴 아산이 지닌 어떤 탁월성을 찾으려 했다. 다음으로 필자가 아산의 삶에서 받은 의문은, 그와 같은 성취를 가능케 한 그의 내적 동력, 다시 말해 그를 불굴의 개척자로 이끈 내면의 동기는 무엇이었을까, 하는 점이었다.
정주영은 주위 환경의 수많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성공을 이끌어냈다. 때로는 혼자만의 사색과 대비로 기회를 움켜쥐거나 역경을 극복해냈다. 그가 일으킨 거대한 변화를 사람들은 우연이라 부르기도 하고 신화라 부르기도 하지만, 어떻게 부르든 그 변화의 동기는 정주영 자신의 내면에서 비롯된 것이지 외부에서 주어진 것이 아니었다. 잠시 러시아 대문호 도스토옙스키로 돌아가 보자.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제5권 ‘대심문관’ 편에서 그는 예수를 심문하는 늙은 추기경의 입을 빌려 인간적인 삶의 의미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
“인간 존재의 비밀은 그저 살아가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을 위해 살아가느냐에 있다.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