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목 차
제1장. 식품안전관리
1. 수입식품 안전관리
1-1. 수입식품 관리체계
1) 수입식품 동향
2) 수입식품 검사
3) 주요 업무 성과
4) 주요 업무 계획
1-2. 수입 식품등 사전 안전관리
1) 수입 식품등 사전 안전관리
2) 수입 축산물 사전 안전관리
3) 수입 수산물 사전 안전관리
1-3. 수입 식품등 사후관리
1) 수입 식품등의 사후관리
2) 수입 건강기능식품의 사후관리
3) 수입 축산물의 사후관리
4) 수입 수산물의 사후관리
5) 부적합 수입식품의 대한 신속 대응
6) 식품등에 대한 검사명령제 운영
7) 수입 식품등 신고 대행자 관리
8) 수입자 등 성실신고 평가 및 교육 · 홍보 강화
9) 수입식품 검사업무 담당공무원 전문성 향상
10) 보세창고 수입식품 위생관리
11) 수입식품 현황(사진) 데이터베이스(D/B) 구축
1-4. 수입 식품등 검사
1) 수입 식품등의 검사
2) 수입 건강기능식품의 검사
3) 수입 축산물의 검사
4) 수입 수산물의 검사
5) 수입식품 신속통관
1-5. 현황 및 문제점
1) 농 · 수산식품의 안전관리 체계
2) 주요 업무 성과
3) 주요 업무 계획
1-6. 수입축산물 사전안전성 확보
1) 수입축산물 사전안전성 확보
2) 수입수산물 사전안전성 확보
1-7. 유전자변형 식품 등 신소재식품 안전관리
1) 수입단계 유전변형 식품 등 안전관리
2) 제조 · 유통단계 유전자변형식품 등 안전관리
3)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안전관리
4) 한시적 인정 식품원료 안전관리
1-8. 축산물안전관리인중기준(HACCP) 적용확대
1) 추진과정
2) 축산물안전관리인증기준 성과평가
3) 외국의 사례
4) 축산물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확대 추진
2. 식품안전관리 정책 동향
2-1. 사전예방을 통한 식 · 의약품 안전관리체계 구축
1) 위해우려물질에 대한 선행조사
2) 식품 제조 · 조리 · 가공 중 생성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저감화
2-2. 식품안전관리 정책 추진 방향
2-3. 식품안전관련업체 관리 및 지도 · 감독
1) '14년 식품 안전관리 기본방향
2) 식품안전관리 체계
3) 식품제조가공엡체 등 안전관리
4) 식품접객업체 등 안전관리
5) 유통식품 등 안전관리
6) 부정 · 불량식품 등 특별 관리
7) 부정 · 불량식품 민원업무 처리
8) 주류 제조업체 등 안전관리
9) 영양성분 표시관리 및 교육 · 홍보
10) 기타사항
2-4. 생산에서 소비까지 먹을거리 안전관리 강화
1) 유통 식품등 안전관리 활동
2) 수입식품 안전관리체계 구축
3) 주류 안전관리 강화
4) 식품안전정보원 설립 · 운영
5) 소비자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식품표시체계 개선
6) 식품안전관리 인증(HACCP) 활성화
제2장. 식품위생관리
1. 어린이 식품관리
1-1. 식중독 예방관리 강화로 국민건강 증진
1-2. 어린이 먹을거리와 국민영양관리를 통한 미래 건강 확보
1)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관리 강화
2) 국민영양 관리
1-3.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1)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지정
2) 어린이 기호식품 지도 · 점검
3) 어림이 기호식품 전담관리원 지정 및 운영
4) 우수판매업소 지정
5) 고열량 · 저영양 식품 등 관리
6) 식품접객업소의 영양성분 표시 관리
7)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관리
8) 시 · 군 · 구 식생활 안전 · 영양수준 조사
9)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교육 및 홍보
1-4. 소비자단체 업무협력을 통한 소비자 권익 증진
1-5.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위기관리 능력 향상
2. 식품위생 기준 및 관리
2-1. 안전한 식품을 제조 · 유통기반 조성
1) 식품등의 영업허가 등 관리
2) 즉석판매제조 · 가공업체 관리
3) 식품 위탁 제조 · 가공업체 관리
4)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관련 업무
5) 식품위생검사기관 관리
6) 식품등의 자가품질검사 관리
7) 특수용도식품 표시 및 광고 관리
8) 의약품제조시설의 식품제조 · 가공시설 이용 기준
9) 해썹(HACCP) 제도 운영
10)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 운영
11) 식품분야 통계관리
12) 식품등 선행조사
13) '14년도「제13회 식품안전의 날」기념행사 추진
2-2. 식품첨가물 기준과 규격관리
1) 식품첨가물의 기준 · 규격 제 · 개정 절차
2) 주요 추진 실적
3) 향후 계획
2-3. 식품 기준과 규격관리
1) 개요
2) 식품안전관리 역량 강화
3) 기준 · 규격 제 · 개정 절차 및 주요내용
4) 기대효과 및 향후 계획
2-4. 소비자 주권실현을 위한 식품효시제도 개선
1) 개선 필요성
2) 식품 등의 표시 기준
3) 주요 개선내용
2-5. 기구 및 용기 · 포장 기준 · 규격 관리
1) 주요 추진 실적
2) 향후 계획
2-6) 식중독 예방 및 관리
1) 식중독 예방관리 체계
2) 식중독 발생 · 조사결과 보고
3) 식중독 원인조사
4) 식중독균 추적관리 사업
5) 노로바이러스 감시체계 사업
6) 클로스트리듐 보툴리눔 검사강화
7) 식중독 예방 교육 및 홍보
8) 식중독 발생 우려 집단급식시설 집중관리
9) 지하수 살균소독장치 사후관리
10) 음식문화개선사업 관리
2-7. 식품안전정보원 설립 · 운영
1) 식품안전정보원 설립
2) 식품안전정보원 운영(사업) 현황
2-8. 주류 안전관리 강화
1) 개요
2) 주류안전관리 강화의 필요성
3) 그간의 추진내역
4) 향후 추진계획
2-9. 향후 추진 계획
1) 식품안전정보수집 · 분석 · 제공
2) 협력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3) 식품이력추적 관리시스템 홍보· 교육 · 운영
2-10. 유통 식품등 안전관리 활동
1) 개요
2) 전국 합동 단속
3) 수거 · 검사 실적
4) 민 · 관 합동 감시 체계 구축
5) 허위 · 과대광고 모니터링
6) 위해식품 회수체계 및 소비자 정보 공개
3. 건강기능식품
3-1. 건강기능식품 및 신소재식품의 안전성 · 기능성 확보
1)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2) 유전자재조합식품 등 신소재식품 안전관리 강화
3-2. 건강기능식품관리
1)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영업허가 및 관리
2) 건강기능식품 수입업 · 판매업 영업신고 및 관리
3)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 운영 관리 및 활성화
4) 건강기능식품 품질관리
5) 의약품제조시설의 건강기능식품제조시설 이용 및 관리
6) 영업자 및 품질관리인 교육관리
7) 기능성 표시 및 광고 관리
8) 건강기능식품 관련정보 공개
9) 건강기능식품 위해사실(부작용 사례 포함) 보고
10) 건강기능식품 불법 함유성분 안전 관리
제3장. 관련뉴스
제4장. 관련업체
제5장. 관련법률
식품산업진흥법
식품산업진흥법 시행령
식품산업진흥법 시행규칙
식품기부 활성화에 대한 법률
식품기부 활성화에 대한 법률 시행령
식품위생법
식품위생법 시행령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식품안전기본법
농업협동조합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 · 지원에 관한 법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