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한의학
1. 한의학의 정의 및 특성
1-1. 한의학 정의
1) 한의학 개요
2) 체질과 질별과의 관계
3) 한의학 학파
4) 인체와 한의학의 관계
5) 신토불이
1-2. 상수(상수지학)
1) 사상
2) 6경
3) 수(數)
1-3. 진단과 진단
1) 문진(聞診)
2) 문진(問診)
3) 망진
4) 한의학의 진단 및 치료용 기계
5) 절진
1-4. 장부와 생리
1) 경혈
2) 오장육부
3) 칠정
4) 맥
1-5. 음양
1) 음과 양의 관계
2) 음양에 의학적 운용
3) 음양에 따른 사물의 분류
1-6. 오행
1) 오행에 따른 사물의 분류
2) 오행의 의미
3) 오행간의 관계
4) 오행의 의학적 운용
1-7. 운기(오운육기)
1-8. 병리
1) 담
2) 어혈
3) 화병
4) 중풍
5) 염좌
6) 소갈병
7) 역질
8) 식체, 급체
9) 구안와사
10) 경기
1-9. 한의학 특징
1) 개요
2) 발달 역사
3) 중국 의학의 차이점
4) 서양 의학의 차이점
1-10. 한국 한의학의 특징
1-11. 한의사
1-12. 한의학의 발전사
1) 고조선시대
2) 삼국시대 및 남북국시대
3) 고려시대(918-1391)
4) 조선시대(1392-1875 개항기까지)
5) 개항이후 현대(1875- )
1-13. 인식과 전망
1) 질병의 인식
2) 서양 한의학
3) 한의학과 의료제도
1-14.한의학과 의료제도
1) 한의사
2) 진료 과목
3) 보험제도
2. 사상의학과 스포의한의학
2-1. 사상의학(四象醫學)
1) 사상의학의 정의
2) 기원과 역사
3) 사상의학의 특징
4) 체질 진단 기준
5) 사상의학의 교육과 전문의배출
2-2. 스포츠한의학
1) 정의
2) 기원 및 역사
3) 기본 이론
4) 임상 응용
5) 최근의 연구동향
6) 기대효과
3. 한의학 배경
3-1. 한국 한의학 학파(學派)
4. 한방산업
4-1. 한약재 시장 현황
1) 한약재 생산현황
2) 한약재 제조현황
3) 한약재 수출입 현황
4-2. 한약제제 시장 현황
1) 한약제제 생산 현황
4-3. 한방의료기기 시장 현황
1) 한방의료기기 생산현황
2) 한방의료기기 수출입 현황
4-4. 지자체 한방산업 동향
1) 지자체 한방산업 추진 현황
5.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5-1. 국내외 치미병(治未病) 사업
1) 중국 치미병 센터
2) 치미병 센터 현황
3) 국내 미병연구(한국한의학연구원)
4)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에 대한 평가
5-2.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추진 현황
1)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 현황
2)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5-3. 한의약 건강증진 사업의 정의 및 범위
1) 한의약 건강증진
2) 한의약의 생명관과 건강개념
5-4.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의 우선순위 선정
1) 기존의 우선순위 선정 연구
2)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의 우선순위 선정
5-5. 건강증진사업 구성요소
1) 개념
2) 범위
3)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기본 구조
4) 한의약 건강유지 및 건강증진방법(양생법)
5-6.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중장기 발전전략
1)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중장기 로드맵
2)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핵심과제
5-7.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표준 모형 개발
1)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개발 방법
2) 한의약 건강증진사업 매뉴얼 모형 개발
6. 한의학치료방법
6-1. 침 치료
1) 경혈
2) 이침
3) 수족침
4) 약침
5) 레이저 침
6) 침술마취
7) 사암침법
6-2. 부항 치료
6-3. 뜸 치료
6-4. 추나 치료
6-5. 기공 치료
6-6. 약물과 처방
제2장. 한의학과 관련산업 및 제도
1. 질병 및 질환 관리제도
1-1. 결핵관리
1) 결핵관리 개요
2) 2012년도 결핵관리사업 추진실적
3) 2013년도 결핵관리사업 추진계획
1-2. 감염성 질환 등 관리
1) 주요 감염병별 추진실적 및 방향
2) 예방접종 관리
3) 감염병 감시
1-3. 후천성면역결핍증 및 성매개감염병 관리
1) 성매개감염병 관리
2)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에이즈) 예방관리
1-4. 만성·퇴행성질환(고혈압 등) 관리
1) 만성·퇴행성질환 개요
2) 만성질환의 특성 및 현황
1-5. 검역관리
1) 검역관리 개요
2) 주요업무 추진 실적 및 향후 계획
1-6. 희귀·난치성질환 관리
1) 2012년도 사업실적
2) 희귀·난치성질환 관리사업
3) 향후 계획
1-7.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1)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 관리의 중요성
2)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종합대책 주요실적
3) 아토피·천식 예방관리 종합대책
4) 향후 계획
1-8. 심뇌혈관질환의 관리
1)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주요 실적
2) 심뇌령관질환 관리의 중요성
3) 제1기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
1-9. 국가 감염병 관리
1) 국가 감염병 개요
2) 향상된 예방접종 관리
3) 보장성 강화
1-10. 암질환 관리
1) 암질환 개요
2) 국립암센터 운영 지원
3) 국가 암 관리사업 현황
2. 의료정책 동향
2-1. 의약품 정책
1) 의약품 정책의 기본방향
2-2. 의료자원정책
1) 의료자원 육성
2) 민간의료기관
3) 국가시험 및 면허제도
2-3. 응급의료정책
1) 응급의료 기본계획
2) 응급의료기관에 대한 평가
3) 응급의료 체계구축
4) 응급의료 이송 효율화
2-4. 의료제도 개발전략
1) 보건의료 환경 분석
2) 건강보장제도의 발전방향
2-5. 의료전달체계의 확립
1) 의료전달체계의 현황
2-6. 보건의료자원의 적정화
1) 보건의료자원 현황
2-7. 일차의료의 강화
1) 현황 및 문제점
2) 개선방안 및 추진전략
3) 일차의료강화를 위한 건강관리 의사제
3. 의료 서비스 동향
3-1. 면허의료인 및 의료기관 종사자 수
3-2. 의료기관 및 입원진료병상
3-3. 국민의료비
3-4. 건강보험적용인구, 보험료및급여비
3-5. 의약품 및 의료기기 생산실적
3-6. 일차의료
1) 일차의료 개요
2) 일차의료의 속성
3) 일차의료의 중요성
4) 일차의료의사의 양성
5) 개혁의제로서의 일차진료
6) 일차의료 육성의 중요성
7) 주요국가의 일차의료제도
8) 일차의료 관련 시도
9) 국가별 일차의료 형태
10) 주요국가의 일차의료 형태
11) 일차의료 기능의 후진성
3-7. 일차보건의료
1) 일차보건의료의 등장
2) 일차보건의료의 필수요소
3) 일차보건의료의 개념
4) 일차보건의료의 접근방법
3-8. 보건의료서비스
1) 적정 보건의료서비스의 요건
2) 보건의료서비스의 종류
3) 보건의료전달체계의 개념
4) 보건의료서비스의 사회경제적 특성
5) 보건의료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6) 보건의료의 목표
7) 보건의료체계 개혁
8) 보건의료전달체계의 유형
3-9. 공공보건의료의 취약성
1) 공공보건의료 재정
2) 공공보건의료기관의 기능 편중과 시설 낙후
3) 공공보건의료기관 관리 및 평가시스템 미흡
4) 공공보건의료 시설 및 인력의 취약
3-10. 공공의료기관
1) 공공의료와 공공의료기관
2) 공공의료기관의 기능
제3장. 관련뉴스
제4장. 한의원리스트
제5장. 관련법률
한의약 육성법
한의약육성법시행령
의료법
의료법 시행령
의료법 시행규칙
의료기기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