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작가란 무엇인가 2』 역시 1권과 마찬가지로 헉슬리, 보르헤스, 나보코프 등 이제는 고전으로 불리는 작품을 쓴 거장들과 레싱, 요사, 그라스, 모리슨 등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걸출한 작가들을 만날 수 있다. 모두 뚜렷한 개성을 지닌 작가들로 인터뷰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글쓰기 습관과 삶, 열정을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또한 1권 출간 시 독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한 현학성을 고려하여 좀 더 쉽고 편안한 문장과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 전달에 심혈을 기울였고, 스릴러소설의 거장인 스티븐 킹의 인터뷰가 실려 있어 더욱 다채로워졌다.
“작가의 비참과 영광은 먼 거리에 있지 않다.
작가들의 육성을 들으며 당신은
문학을 좀 더 가슴 가까이에 놓고 싶어질 것이다.”
_이현우 (로쟈, 문학평론가)
보르헤스, 나보코프, 오츠, 레싱, 스티븐 킹 등
독특하고 뚜렷한 개성을 지닌 세기의 거장들
‘왜 문학을 하는가’와 ‘어떻게 문학을 하는가’에 대한 진지한 질문
1권에 비해 부드럽고 읽기 편한 문장으로 접근성 높여
『작가란 무엇인가 2』는 작년 2014년 1월 출간된 『작가란 무엇인가 1』의 후속권이다. 『작가란 무엇인가 1』은 출간 이후 주요 일간지 호평은 물론, 활동 중인 작가들과 작가 지망생 및 세계문학 독자들에게 큰 관심과 사랑을 받았다. 『작가란 무엇인가 2』 역시 1권과 마찬가지로 헉슬리, 보르헤스, 나보코프 등 이제는 고전으로 불리는 작품을 쓴 거장들과 레싱, 요사, 그라스, 모리슨 등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걸출한 작가들을 만날 수 있다. 모두 뚜렷한 개성을 지닌 작가들로 인터뷰를 통해 자신만의 독특한 글쓰기 습관과 삶, 열정을 솔직하게 털어놓는다. 또한 1권 출간 시 독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한 현학성을 고려하여 좀 더 쉽고 편안한 문장과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지식 전달에 심혈을 기울였고, 스릴러소설의 거장인 스티븐 킹의 인터뷰가 실려 있어 더욱 다채로워졌다.
작지만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문학잡지 『파리 리뷰』의 인터뷰
『작가란 무엇인가』는 세계적인 작가들이 미국의 저명한 문학잡지 『파리 리뷰』와 가진 인터뷰 모음집이다. 언제 어떻게 글을 쓰고, 어떻게 자신의 열정을 이어가는가. 또 어떤 이유로 작품에 성공하고 실패하는가. 문학에 관심을 둔 이들이라면 모두 궁금해하지만 답을 듣기 어려운 이 질문들에 작가들은 60년 동안 세계 유수의 작가들을 만나온 저명한 문학잡지 『파리 리뷰』와 만나 한 인간이자 작가로서 자신의 생각을 털어놓았다.
『파리 리뷰』는 뉴욕에서 출판되는 문학잡지로, ‘작지만 세상에서 가장 강한 문학잡지’(타임)라는 격찬을 받기도 했다. 1953년 창간된 이후 60년간 노벨 문학상, 퓰리처상, 부커 상을 수상한 더는 유명해질 수 없을 만큼 명성을 얻은 세계적 작가들과 인터뷰해왔다. 이 인터뷰는 신간이나 작가 홍보를 넘어선 소설 기법과 글쓰기 방식, 삶에 관한 진솔한 내용을 다루어 작가 인터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인터뷰를 하나의 문학 장르로 격상시켰다는 평을 들었다. 『파리 리뷰』의 작가 인터뷰는 단발성이 아니다. 작가의 성장과 변화를 담기 위해 최소한 1~2년에 걸쳐서 이뤄지며 십 년 이상 지속되거나 인터뷰어가 다수인 경우도 여럿 있다.
도서출판 다른에서는 국내 문예창작학과 대학생들과의 설문을 통해 『파리 리뷰』에서 인터뷰한 250여 명의 소설가들 중 ‘가장 만나고 싶은 작가 36명’을 선정했고, 이중 12명인 헉슬리, 보르헤스, 나보코프, 오츠, 레싱, 요사, 그라스, 모리슨, 사라마구, 루슈디, 킹, 오에의 인터뷰를 『작가란 무엇인가 2』로 묶어냈다. 나머지 24명의 작가 인터뷰는 1권과 3권에 각기 실려 있다.
독특하고 뚜렷한 개성을 지닌 12명의 작가들
『작가란 무엇인가』에서 소개하는 작가들은 모두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 거장들이다. 하지만 『작가란 무엇인가 2』의 작가들은 특히나 독특하고 강렬한 개성을 뿜어낸다. 미래에 대한 비판적 비전을 펼쳐 보인 『멋진 신세계』의 작가 헉슬리는 온갖 분야에 대한 백과사전적 지식을 줄줄이 읊어낸다. 보르헤스는 특유의 언어적인 섬세함과 탐구욕을 내보이는데, 인터뷰에서조차 책 속의 책으로 빠져드는 미로 같은 구조로 끌어들인다. 『롤리타』로 엄청난 논란을 불러일으킨 작가이자 직설의 대가인 나보코프는 종종 대화 상대를 배려하지 않는 거침없는 대답으로 인터뷰어가 땀을 뻘뻘 흘릴 법한 상황을 만들기도 했다. 비평가들은 물론이고 기존 문학 전통을 완전히 깔아뭉개는 거침없는 대답을 펼쳤는데, “브레히트, 포크너, 카뮈, 그 밖의 많은 작가들은 제게 완전히 무의미합니다.” 또는 현대 영미 문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제임스 조이스에 대해서는 “가르쳐준 것이 아무것도 없다.”고 딱 잘라 말한다.
백 권이 넘는 책을 쓰고, 천 편이 넘는 단편을 발표한 오츠는 그 비결을 궁금해하는 인터뷰어에게 마르지 않는 원천인 ‘무의식의 힘’을 강조하기도 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자 최근 『다섯째 아이』로 잘 알려진 도리스 레싱은 과학소설에도 탁월함을 보였는데, 높은 장르의 벽을 넘나들면서도 어느 쪽 하나도 실패하지 않았다. 그녀가 어떻게 장르를 선택하는지 읽어보면 그 이유를 쉽게 알 수 있다. 주제에 맞춰 장르를 고르기 때문이다.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나 귄터 그라스는 자국의 정치 상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가이다. 요사는 문학에 대한 완전한
목차
추천사
신들의 인간적 고투, 그 비참과 영광
이현우(문학평론가)
01 추상을 넘어선 심오한 인간
올더스 헉슬리
레이먼드 프레이저 & 조지 위키스, 1960
02 언어로 만든 미로의 도서관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로널드 크라이스트, 1966
03 망명하는 영혼의 새로운 실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허버트 골드, 1967
04 무의식적인 몰입의 창조력
조이스 캐럴 오츠
로버트 필립스, 1976
05 주제가 결정하는 형식
도리스 레싱
토머스 프리크, 1988
06 현실이라는 도약대 위의 거짓말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수재너 휴뉴웰 & 리카르도 아우구스토 세티, 1990
07 예술로 포착하는 시대상
귄터 그라스
엘리자베스 개프니, 1991
08 뿌리로부터 창조된 것
토니 모리슨
엘리사 샤펠, 1993
09 인과관계의 정밀한 배열
주제 사라마구
돈젤리나 바호주, 1997
10 특정한 곳에서 일어나는
모든 곳의 일
살만 루슈디
잭 리빙스, 2005
11 일상적 삶의 기이한 순간
스티븐 킹
크리스토퍼 레만-하우프트 & 너새니얼 리치, 2006
12 개인과 사회, 문학과 비평 사이에서
오에 겐자부로
세라 페이, 2007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