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기반 스마트/바이오센서 R&D현황 및 주요 산업분야별 응용기술 실태분석 R&D정보센터
★★★★★ 평점(5/5)
지식산업정보원 | 2016-06-27 출간
판매가
350,000
즉시할인가
31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본서의 특징

첨단 스마트센서, 바이오센서는 반도체 나노 및 MEMS 등 제조기술과 접목을 통해 외부 환경감지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센서와 데이터처리, 자동보정, 자가진단, 의사결정 등의 신호처리가 유기적으로 내장된 지능형 센서를 통칭하며 자동차, 바이오ㆍ의료, 기계, 로봇 등 우리나라 주력산업 전반에 경쟁력을 크게 제고시킬 수 있는 핵심 부품이다. 시장분석 전문기관에 따르면 세계 센서시장은 2012년 기준 796억달러로 메모리반도체의 685억 달러 규모를 넘어서는 등 2020년까지 연평균 9%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첨단 스마트센서의 비중은 현재 20%에서 2020년에는 49%까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지난해부터 향후 6년 동안 1천 508억원을 투입해 첨단 스마트 센서를 육성한다고 밝혔다.

스마트센서는 사물인터넷(IoT) 환경이 확대됨에 따라 스마트카, 웨어러블, 모바일, 헬스케어, 스마트홈, 환경센싱,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위주의 센서 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센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는 센서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장악하는 기업이 시장에서 높은 영향력을 행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하여 스마트센서, 바이오센서 관련 산업 응용분야별 기술개발 방향이 핵심과제 일 뿐만 아니라, 향후 상용화 및 국내기술 수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원 R&D정보센터에서는 스마트센서, 바이오센서 산업 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보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관련기관들의 정보를 분석 정리하여 「IoT기반 스마트/바이오센서 R&D현황 및 주요 산업분야별 응용기술 실태분석」을 발간하였다. 본서에서는 스마트/바이오센서 산업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모바일/웨어러블기기용, 스마트카용, 환경용, 바이오센서 산업의 기술 및 시장전망과 생산사례, 산업동향을 수록, 학계·연구기관 및 관련 산업분야 종사자 여러분들에게 다소나마 유익한 정보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목차
제1편 스마트센서 산업
제1장 IoT시대 스마트센서 산업 스마트홈/플랫폼 동향 및 시사점
1. IoT 시대의 스마트센서 산업 현황
1) IoT 시대 스마트센서 시장 현황
(1) 사물인터넷 시대의 핵심기기는 센서
가. 정부, 스마트센서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육성 계획
나. 삼성전자, 애플 등 스마트폰 제조업체 생체인식센서 도입 확대
다. 시장을 확대하며 스마트센서로 진화
(2) 시장현황
가. 모바일 및 웨어러블용 스마트센서
나. 자동차용 스마트센서
다. 헬스케어 및 바이오 스마트센서
(3) 스마트 센서 개발동향
가. 지문인식센서
나. 홍채인식센서
다. 카메라 센서
라. 오감인식센서
마. 스마트 압력센서
바. 스마트 관성 센서
사. 스마트 헬스케어 센서
(4) 관련업체 현황
2) 사물인터넷의 국내외 시장 및 정책 동향
(1) 사물인터넷의 정의와 중요성
(2) 사물인터넷의 국내 시장 및 정책 동향
(3) 세계 주요국의 사물인터넷 시장 및 정책 동향
가. 미국의 사물인터넷
나. 영국의 사물인터넷
다. 중국의 사물인터넷
라. 일본의 사물인터넷
(4) 정책 및 시사점
3) IoT시대 스마트센서 시장 전망 및 시사점
(1) IoT 실현의 기반, 스마트 센서
(2) 자동차·헬스케어 산업, 센서에 오감 집중
(3) 센서의 IQ(IoT Quotient)를 높이는 방법
(4) 시사점
2. IoT기반 스마트홈과 스마트센서 산업 현황
1) 사물이 연결됨에 따른 기회
(1) IoT가 창출하는 시장
(2) 세그먼트별 IoT시장 전망
(3) 통신사업자가 변화의 주축이 될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
2) IoT 성장에 따른 스마트홈 주요 현황
(1) 스마트홈 발전단계
가. 초고속인터넷 기반 홈네트워크
나. 스마트폰 기반 스마트홈
다. IoT 기반 상황 인지형 스마트홈
(2) 스마트홈과 스마트센서
가. 본격 성장기 진입이 기대되는 스마트홈
나. 시장 전망과 국내외 기업들의 추진 동향
다. 시장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주요국 정책
라. 시사점
(3) 스마트홈 개발 동향
가. 구글
나. 애플
다. 삼성전자
라. 국내 통신사업자
(4) 스마트홈 사업 전망
가. 스마트폰 홈 서비스
나. 스마트폰 홈 시장 전망
3) 국내 사물인터넷 서비스동향
(1) 국내 사물인터넷 서비스 현황/전망
(2) 통신서비스 업체가 주도 중인 국내 사물인터넷 서비스
(3) 제조업체, 사물인터넷 적용된 프리미엄 제품을 출시
(4) 정부, 다수 사물인터넷 시범 프로젝트로 다양한 사업자 결집
4) 2016년 홈IoT 로부터의 시장 확대 전망
(1) 확대되는 홈 IoT 시장
(2) 다수 이해관계자들의 활발한 진입: 시장확대 포인트
(3) IoT플랫폼 개방: 사업화 장애물 제거
(4) 소물인터넷 중심의 애프터 마켓 활성화
3. 스마트센서 기술 R&D 현황
1) 스마트센서 기술의 정의 및 범위
(1) 기술의 정의
가. 스마트센서 기술의 정의
나. 등장배경
다. 구조 및 운영방식
(2) 기술의 범위
가. 기술의 분류
나. 적용범위
(3) 사물인터넷용 센서 응용사례 및 산업동향
가. 센서 응용 사례
⒜ 스마트폰용 센서
⒝ 자동차용 센서
⒞ 헬스케어용 센서
나. 센서 산업 동향
2) 기술트렌드 및 산업기술 동향
(1) 국내외 시장 및 주요기업 분석
가. 해외시장 동향
나. 국내시장 동향 및 전망
다. 국내외 주요기업 현황
(2) 기술개발/표준화 동향 및 전망
가. 해외 기술개발/표준화 동향 및 전망
나. 국내 기술개발/표준화 동향 및 전망
(3) 정책 및 투자 동향
가. 해외 주요국 정책 및 투자동향
나. 국내 정책 및 투자동향
(4) 글로벌 트렌드 요약
(5) SWOT 분석
3) 스마트 센서 및 사물인터넷(IoT) 기술
(1) 사물인터넷 기술 활용을 위한 산업네트워크 기술
가. IO-Link
나. 적용사례
(2) 스마트 디바이스와 사물인터넷 (IoT) 융합기술 동향
가. 적용 사례
⒜ 헬스케어 분야
⒝ 공공복지 및 건설분야
나. 기반 기술동향
⒜ 인터넷 기반의 융합
⒝ 기기 간 직접 융합
⒞ 센서 정보 관리
4. IoT 기반의 스마트센서 플랫폼 동향 및 시사점
1) IoT 디바이스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1) 스마트센서에서 중요한 IT 플랫폼
가. 향후 산업의 견인차는 스마트센서
나. IT 플랫폼
다. 스마트센서의 핵심은 수명과 가격
라. 고도의 융합?협력연구 현장
(2) IoT 디바이스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가. IoT 디바이스 플랫폼 기술
나. 센서?스마트 디바이스 인터랙션 기술
다. 사물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
라.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3) 다양한 IoT 환경을 고려한 IoT 통합 플랫폼 기술 동향
가. IoT 국내ㆍ외 기술 동향
⒜ IoT 사물 데이터 처리ㆍ관리 기술
⒝ IoT 이기종 사물들의 물리ㆍ논리적 융합 가상화 기술
⒞ IoT 데이터 분석 기술
⒟ IoT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기술
나. IoT 국내ㆍ외 표준화 동향
⒜ IoT 국내 표준화 동향
⒝ IoT 국외 표준화 동향
다. IoT 통합 플랫폼 기술 동향
2) 개방형 플랫폼 기술동향
(1) 개방형 시맨틱 USN 서비스 플랫폼 기술 동향
가. 국내 기술 동향 및 수준
나. 국외 기술 동향 및 수준
나. 개방형 시맨틱 USN 서비스 플랫폼 파급 효과
다. 시사점 및 발전방향
(2) 개방형 IoT 플랫폼 기술 동향
가. 개방형 IoT 디바이스 및 표준플랫폼 기술 동향
나. 개방형 IoT 디바이스 및 표준플랫폼 파급 효과
제2장 모바일/웨어러블기기 스마트센서 기술개발동향 및 발전방향
1. 모바일/웨어러블기기 스마트센서의 발전방향
1) 모바일 센서 시장 및 기술 동향
(1) 모바일 센서 정의
(2) 모바일 센서 시장 전망
(3) 모바일 센서 기술 및 개발동향
(4) 모바일 센서 분야 R&D 이슈
2) 웨어러블 센서 시장 및 기술 동향
(1) 웨어러블 디바이스 정의 및 발전 과정
(2)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분야 및 기능
(3)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현황
(4) 웨어러블 디바이스 업계 현황
가. 해외 IT 업체
나. 기타 업체
다. 국내 업체
라. 기타 업체
(5)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능적 메커니즘 및 주요 기술
(6)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Chasm*을 극복하기 위한 주요 사항
(7) 향후 응용 분야
2. 모바일/웨어러블기기용 주요센서 기술개발동향
1) 생체인식 기술, 스마트기기 혁신의 길
(1) 주목 받는 생체인식 기술
(2) 기술 도입현황과 문제점
(3) 웨어러블 기기로 눈을 돌리다
(4) 기술 대중화와 혁신의 방법
2) 터치센서 기술 및 산업동향
(1) 터치센서 기술동향
가. 터치센서 기술 개요
나. 터치센서 기술 로드맵
(2)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 기술
가. 작동원리 및 응용
나. 패턴설계 기술
다. 소재 및 장비기술
라. IC 기술
(3) 터치센서 기술개발 방향
가. High End 및 Low End 전략
나. 단일층 터치센서 기술개발
다. 플랙시블 터치센서 기술개발
라. Embedded 터치센서 기술개발
마. 대면적 터치센서 기술개발
바. 다기능 융/복합 터치센서 기술개발
(4) 터치제품별 산업동향
가. Smart Phone
나. Tablet PC
다. Notebook PC
라. All-in-One PC
(5) 전 세계 터치제품 시장동향
3) 압력과 온도측정 기능을 갖는 고성능 플렉시블 촉각센서
(1) 개요
(2) 촉각센서 설계 및 제작 공정
가. 촉각센서 설계
나. 촉각센서 제작을 위한 MEMS 공정
(2) 압력 온도 동시 측정 가능한 촉각센서의 동작평가
가. 구동기 회로 개발 및 특성 평가 장치 구성
나. 압압센서 특성 평가
다. 촉각센서의 동작평가
(3) IoT & 웨어러블 디바이스용 플렉시블 센서 및 밴드기반 입력기술
가. 기술의 현황
나. 시장동향 및 전망
4) MEMS 센서 기술 및 산업 동향
(1) MEMS 센서 시장 동향
가. 외부 환경 검출 및 모니터링 도구로 활용되는 MEMS 센서
나. 국내 MEMS 센서 시장 2017년 2,010억 원으로 성장 예상
다. 모바일 디바이스 MEMS 센서 시장, 주요 4개 기업이 독과점
라. 모바일 디바이스 시장에서의 MEMS 센서 시장 기회
(2) 센서 공정기술
가. 센서 방향성: 지능화 + 복합화 + 소형화 → MEMS 기술 확대 전망
나. 센서 공정기술: 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다. 모바일/자동차/의료용 센서 + MEMS 공정 기술 중요
라. MEMS 공정: 전구체 증착 + 에칭 (Etching) 소재 중요
(3) MEMS 압력센서의 기술 및 산업
가. 압력센서 기술동향
나. 산업동향
(4) CMOS Image Sensor(CIS) 제작기술동향
가. 기술의 개요
나. 동작원리
다. 기술 개선방향
라. 후면 조사형 CIS(BIS CIS)
마. 나노기술을 이용한 고감도 이미지센서
바. 이미지센서의 Wafer level package
사. CMOS 이미지센서의 미래
제3장 스마트 자동차용 스마트센서 기술개발동향 및 발전방향
1. 스마트 자동차용 스마트센서의 기술개발 및 핵심과제
1) 스마트 자동차용 센서 시장 및 기술 동향
(1) 스마트 자동차용 센서
(2) 스마트카 센서 시장 전망
(3) 스마트카 센서 분야 R&D 이슈
2) 자율주행차 기본 부품현황
(1) 자율주행의 미래
(2) 자율주행의 조건들
가. Tech vs. 완성차
나. 센서, 내재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
다. HMI, 기술과 사용자의 간극을 줄여준다
3) 자동차용 차세대 센서 디바이스 동향
(1) 자동차용 차세대 센서 디바이스
(2) 차량 내 차세대 센서 네트워크
가. CAN FD(CAN with Flexible Data rate)
나. 차량용 이더넷
(3) 기능안전을 위한 차세대 전자 디바이스
2. 스마트 자동차용 지능형 센서모듈 및 소재기술 동향
1) 센서 기술 개발 현황
(1) 자동차용 카메라
가. 센서 개발 동향
나. 카메라 응용 시스템
(2) 자동차용 레이더
가. 센서 개발 동향
나. 레이더 응용 시스템
(3) 자동차용 초음파 근접 센서
가. 센서 개발 동향
나. 초음파 센서 응용 시스템
다.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
(4) 카메라+레이더 모듈
가. Over Speed Prevention(OSP)
나. 조향각 센서
다. 레인 센서?
라. 조도 센서
(5) 카메라+비+조도 센서 모듈
가. 가속도 센서
나. 유량 센서
다. 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TPMS)
라. Knock 센서
마. 수소 센서
바. 근접 속도 센서
(6) 카메라+레이저 센서 모듈
2) ADAS용 센서 (카메라/적외선 센서 중심) 관련 시장 및 기술 동향
(1) ADAS용 센서 산업개요 및 특성
(2) ADAS용 센서(카메라/적외선 센서 중심) 시장 및 기술 동향
(3) ADAS용 센서 (카메라/적외선 센서 중심) 관련 해외기업 리스트
3) 차량 내 센서기술 현황
(1) 차량 내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술
가. 기술현황
나. 차량 내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술의 적용 사례
다. 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결과
라. 차량 내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술의 동향 및 전망
(2) 스마트 재료를 이용한 자동차용 센서 및 작동기
가. Smart Material-based Automotive Actuators
나. Smart Material-based Automotive Sensors
(3) 자동차 안전시스템을 지원하는 센서 기술 동향
가. 안전시스템 동향
나. 안전시스템의 대표적 센서 기술
(4)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레이더기술
가. 차량용 레이더 사용의 목적
나. 레이더 기술의 기본
다. 최신 차량용 레이더 기술의 동향
(5) MEMS 기술을 활용한 자동차용 센서
가. 전장 시스템과 센서
나. MEMS 기술과 자동차용 센서
다. 자동차용 MEMS 센서의 최신 동향
⒜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 가스 센서(Gas Sensor)
⒞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 각속도 센서(Angular Velocity Sensor/Yaw Rate Sensor /Gyro Sensor)
(6) 자동차 조향토크센서의 기술 및 동향
가. 조향토크센서의 종류
나. 국내외 기술동향
다. 응용분야
3. 스마트 자동차용 라이다센서 및 3D 상황인지센서 동향
1) LiDAR 기술개발 추이 및 시장현황
(1) LiDAR의 센싱 원리 및 주변기술
가. LiDAR의 센싱 원리
나. LiDAR의 주변기술
(2) LiDAR 기술의 현황 및 적용분야
가. LiDAR 기술의 현황
나. LiDAR 기술의 적용분야
(3) LiDAR 기술의 미래
가. 모바일 LiDAR 기술
나. 3D 레이저 스캐너 기술
다. 3D Flash Lidar
라. LiDAR 기술의 적용분야
(4) LiDAR 기술의 시장현황
가. 글로벌 시장
나. 국내 시장
2) 3D 상황인지 센서와 스마트앱 기술융합
(1) 특허기술 Landscape
가. 국가별 Landscape
⒜ 주요시장국 기술개발 활동현황
⒝ 기술시장 성장단계 파악
⒞ 미국특허로 살펴본 국가간 기술경쟁력 현황
나. 경쟁자 Landscape
(2) 세부기술 분석
가. 특허동향으로 본 세부기술
⒜ 세부기술별 출원증가율 및 점유율 분석
⒝ 세부기술별 IP시장성 분석
⒞ 세부기술별 주요출원인 동향분석
나. 세부기술에 대한 R&D 전략방향 도출
⒜ 주요 출원인별 IP History 분석
(3) 지재권장벽 및 기술경쟁력 분석
가. ㅇㅇㅇ 기술 (핵심기술1)
제4장 환경용 스마트센서 응용분야별 기술개발동향 및 응용사례
1. 환경융합 센서 기술 및 시장 현황
1) 환경모니터링 기술 현황
(1) 기술 개요
가. 정의
나. 기술의 필요성
다. 환경 모니터링 관련기술 현황
⒜ 대기환경 원격 모니터링
⒝ 물환경 모니터링
⒞ 토양 및 지하수환경 모니터링
⒟ 환경위해성 감시기술 및 시스템 개발
(2) 국내외 환경센서 기술 정책 동향
가. 환경센서 정책 동향
나. 국내 환경센서 기술 정책 동향
다. 주요국의 환경센서 기술 정책 동향
(3) 국내외 정책 및 기술동향
(4) 국내외 특허기술 동향
(5) 국내외 시장전망
2) 산업체 동향
(1) 환경센서 산업의 기술동향
가. 선진국의 산업 기술동향
나. 국내 센서 산업 기술동향
다. 나노바이오 센서 및 모니터링 기술
(2) 나노바이오 환경센서 동향
가. 나노기술 이용한 환경센서
나. 바이오기술 이용한 환경센서
다. 나노바이오기술의 환경센서 응용사례
라. 환경모니터링 기타 센서
3) 환경융합 센서 기술 동향과 전망
(1) NBIT 환경융합 센서 기술의 필요성
(2) 환경 센서 기술의 국내외 동향
(3) 국내외 NBIT 기술 정책 동향
(4) NBIT 기술 분야의 주요한 환경융합 센서 기술
가. NBT 융합 분야
나. IT 융합 분야
4) 기술 시장동향
(1) 환경센서 시장 동향
가. 시장예측
나. 산업발전전망
다. 환경오염물질 검지 방법론
(2) 환경색센서 기술시장 동향
가. 색센서 검출 방식
⒜ Paper 형태
⒝ Tube 형태
⒞ Chip, device 형태
다. 환경색센서 적용을 위한 킬레이트 예시
라. 다기능성 환경색센서 시제품 예시
(3) 파급효과 및 전망
가. 기대효과
나. 파급효과
다. 환경색센서 분야의 연구전략
(4) 발전방향 및 전망
2. 대기모니터링 스마트센서 개발 동향과 응용 사례
1) 대기모니터링 센서 시장 및 기술현황
(1) 기술개요
(2) 유망기술 키워드
(3) 관련 연구자 DB
(4) 업체동향
가. 맥스포
나. APM엔지니어링
나. KNJ엔지니어링
다. 신우전자
(5) 시장동향 분석
(6) 응용시장 및 제품
(7) 환경·기상 기술분야별 투자전략
가. 투자현황
나. 정책동향
다. 성과 및 평가
라. 기술동향 및 미래전망
마. 투자포트폴리오(중기) 조정방향
바. ’16년도 투자방향
사. 효율화 방향
2) 모바일 USN 기술을 이용한 대기환경 측정 시스템 개발 및 적용
(1) 모바일 USN 대기환경 측정차량 시스템
가. 시스템 개요
나. 위치기반 동영상 데이터 수집장치 개발
다. 모바일 통합 게이트웨이 시스템 개발
라. 모바일 USN 차량시스템 개발
(2) 모바일 USN 대기환경 측정센서 성능 테스트
(3) 모바일 USN 대기환경 측정 현장실험
가. 실험 개요
나. 실험 방법
다. 실험 결과
3) 가스센서 개발동향과 응용 사례
(1) 가스센서의 원리와 응용
가. 반도체식 가스센서
나. SnO2계 가스센서의 원리
다.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구조와 제작법
라. SnO2 가스센서의 특성
마. 센서의 초기 동작 특성
바. 온도, 습도의 영향, 바람의 영향, 기압의 영향
사. 가스감도 변화
아. 기본 감지회로와 각종 보상회로, 경보 방식
자. 접촉연소식 센서
(2) 지능형 무선통신용 가스 센서 모듈 구현
가. 가스센서 기술
⒜ 감지 물질을 이용한 가스센서 기술
⒝ 광학 방식을 이용한 가스센서 기술
나. 가스 감지 무선 센서 시스템
⒜ 시스템의 설계
(3) 유기박막트랜지스터 화학가스센서
가. 유기박막트랜지스터 센서 소자
나. 화학가스 센서
다. 향후 유기센서 시장 및 개발 방향
3. 수질모니터링 스마트센서 개발 동향과 응용 사례
1) 수질오염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1) 시장 및 기술 분석
가. 개요
나. 시장현황 및 전망분석
다. 기술동향 분석
라. 핵심요소기술 선정
(2) 첨단센서 및 USN기반 하천·물환경 모니터링 기술개발 분석
가. 기술추세 분석
나. 기술수준 분석
다. 기존사업과의 중복성
(3) 수질오염 방지를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연구
가. 시스템 구성
나. 시스템 특징
다. 실험 방법 및 결과
(3) 수중통신을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가. 수중통신을 이용한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념
나. 시스템 구성
다. 수중 통신시스템 시험
2) 수질센서/환경칩 기술동향
(1) 기술의 분류
가. 센서(probe-type)
⒜ 전기화학센서
⒝ 광학센서
⒞ 나노센서
⒟ 바이오센서
나. 환경칩(Environment-on-a-chip)
⒜ 요소기술
⒝ 기술의 활용
⒞ 데이터 전송기술
(2) 센서(probe type)
가. 연구개발 동향
⒜ 해외 기술개발 동향
⒝ 국내 기술개발 동향
나. 산업체 동향
⒜ 해외 산업체 동향
⒝ 국내 산업체 동향
다. 시장 동향
⒜ 해외시장 동향
⒝ 국내시장 동향
(3) 환경칩(Environment-on-a chip)
가. 연구개발 동향
⒜ 해외 기술개발 동향
⒝ 국내 기술개발 동향
⒞ 기술 경쟁력 비교
나. 산업체 및 시장 동향

제2편 바이오센서 산업
제1장 바이오센서 산업실태 및 연구/기술개발 현황
1. 바이오센서 시장 트렌트 및 현황
1) 바이오센서 트렌트
(1) 정의
(2) 바이오센서의 기술적 이슈
(3) 활용분야
(4) 글로벌 기술 및 시장 트렌드
가. 기술 트렌드
나. 시장 트렌드
⒜ 주요 성장 촉진 요인
⒝ 주요 성장 저해 요인
2) 바이오센서 시장현황 및 성장률
(1) 바이오센서 산업의 특징
가. 성장 플러스 요인
나. 성장 마이너스 요인
(2) 시장 규모 현황
가. 세계 시장 규모
나. 국내 시장 규모
2. 바이오센서 응용 및 주요 업체 현황
1) 바이오센서 분야별 응용 현황
(1) 해외 시장
가. 의료분야
나. 환경 분야
(2) 국내 시장
가. 의료분야
나. 환경분야
(3) 분아별 시장 동향
가. Research Laboratories
나. Point of Care
다. Home Diagnostic
라. Process Industries
마. Environment Monitoring
바. Security & Biodefense
2) 주요 업체 동향
(1) 국외
(2) 국내
(3) 수출입현황
가. 기술의 수출입 현황
나. 기술의 수입대체효과
(4) 주요 기업현황
가. 인포니아
나. 엑세스바이오
다. 케이맥
라. 아이센스
마. 에스디바이오
⒜ 신규 사업 진출로 성장 동력 강화
⒝ 주요 상품
3. 국내외 바이오센서 R&D 동향 및 특허 현황
1) 기술 개요
(1) 기술(제품)의 특징
(2) 기술(제품)의 용도
2)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1) 해외 바이오센서 R&D 동향
(2) 국내 바이오센서 R&D 동향
(3) 연구개발 방향
(4) SWOT
3) 국내외 특허출원 현황
(1) 세계 특허 현황
(2) 주요 업체별 특허 현황
(3) 한국 특허의 출원인 현황
4. 응용분야별 바이오센서 동작원리 및 기술기반
1) 신호 변환 방법에 따른 동작원리
(1) 광학적 감지법
가.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나. 심근경색 진단 소자
다. Surface plasmon resonance(SPR)
(2) 전기화학적 감지법
(3) 기계적 감지법
가. Quartz crystal microbalance(QCM)
나. Surface acoustic wave(SAW) 센서
2) 마이크로/나노 기술 기반의 바이오센서
(1) 나노와이어 바이오센서
(2) 나노 입자를 이용한 바이오센서
(3) 나노 갭 바이오센서
(4) 마이크로/나노 캔틸레버 바이오센서
제2장 나노 바이오센서 시스템 기술개발동향 및 발전방향
1. 나노 바이오센서 시장 및 기술 동향
1) 기술의 개요
(1) 기술의 특징
(2) 나노바이오센서의 종류 및 요구조건
2) 나노바이오 관련 정책 동향
(1) 해외 정책 동향
가. 나노바이오기술 정책 동향
나. 시사점
(2) 국내 정책 동향
가. 정부의 과학기술 관련 정책
나. 현 정부의 나노바이오기술 정책
다. 정부 R&D 투자 동향
라. 정부 R&D 추진 전략
마. 시사점
3) 나노 바이오센서 연구개발 동향
(1) 해외 기술개발 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일본
라. 기술개발 주요 이슈
마. 시사점
(2) 국내 기술개발 동향
가. 기술개발 현황
나. 선도기관
다. 나노바이오센서 특허 현황
4) 나노바이오센서 시장동향
(1) 산업화 현황
가. 나노바이오센서 산업
나. 나노바이오센서 해외산업화 현황
다. 나노바이오센서 국내산업화 현황
(2) 시장 확대 전망
가. 나노바이오센서 시장 확대 전망
나. 나노바이오센서 시장 확대 저해 요인
5) 나노바이오센서 발전 전망
(1) 세계시장 발전 전망
(2) 나노바이오센서 기술/시장 전략
2. 나노 바이오센서 소재 및 측정방법 현황
1) 나노 바이오센서 개요
(1) 바이오센서의 나노화
(2) 나노와이어 구조를 이용한 바이오센서
가. 나노와이어 합성방법
나. 전기적 측정 방법
(3) 나노와이어 바이오센서의 개선방향
가. 나노와이어 공정적 이슈
나. 비 특이적 결합 이슈(Non-specific binding)
2) 나노 바이오센서 측정방법 현황
(1) 나노선 및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
(2) AC impedance 측정을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
(3) Nanopore를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
3. 나노 바이오센서 기술연구개발 및 정보 분석
1) 국내외 기술현황
(1) 기술개발 필요성
(2) 국내외 기술동향
(3) 적용분야 및 기대효과
2) 휴대용 연구개발 동향 및 정보 분석
(1)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가. 국외 연구개발동향
⒜ 광섬유 나노바이오센서
⒝ 나노입자 나노바이오센서
⒞ 캔틸레버 나노바이오센서
⒟ 나노와이어/탄소나노튜브 나노바이오센서
⒠ 전자 코/전자 혀 나노바이오센서
나. 국내 연구개발동향
다.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분석
(2) 문헌정보 및 특허정보 분석
가. 문헌정보 분석
나. 특허정보 분석
4. 나노 바이오센서 응용분야 기술개발동향 및 주요과제
1) 나노바이오 의료센서 기술현황
(1) 기술에 대한 정의 및 설명
(2) 해당기술의 핵심요소
(3) 국내외 기술개발현황 및 기술수준
(4) 해당기술이 활용되는 미래의 모습 및 파급효과
가. 고령화 사회 대응 관련
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2) 나노 광학 바이오센서 기술개발동향 및 주요과제
(1) 실크 단백질기반, 신개념 나노광학 바이오센서 구현
(2) 누에 실크로 나노광학 바이오센서 개발
(3) 초고감도 그래핀 기반 나노바이오 센서 개발
가. 병원체 진단용 그래핀 나노소재 광학 센서 개발
나. 샘플 전처리 마이크로 플루이딕 소자가 통합된 그래핀 센서 시스템 개발
(4) 초민감 플라스모닉 나노바이오센서
3) 생체모방형 나노센서 개발현황
(1) 새로운 생체모방형 나노센서 현황
(2) 홍합의 접착단백질을 응용한 접착제로 파열된 태아막을 밀봉
(3) 세계 최고 성능의 전자현미경을 구현하는 고성능 전자원 개발
제3장 헬스케어를 위한 바이오센서 사업현황 및 기술개발동향
1. 헬스케어 바이오센서의 트렌드 및 융합 기술
1) 바이오센서 기술 발전 트렌드
(1) 센서 발전 트렌드
(2) 기술 추진 요인
(3) 기술 과제
(4) 이머징 애플리케이션(EMERGING APPLICATIONS)
(5) 미래 응용(FUTURE APPLICATION)
2) 차세대 헬스케어를 위한 융합기술
(1) U-Healthcare 기술 현황
가. 센서 및 생체신호계측
나. 재택의료 서비스
다.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2) 센서정보 융합처리기법을 이용한 차세대 헬스케어 기술
가. 웹기반 생체 신호 측정 및 생물학적인 표지자 기반 헬스케어 융합 연구
⒜ 웹기반 임상 실험
⒝ 분자생물학적 표지자 연구와의 융합
나. 인체대사 모델링 기반 차세대 헬스케어
⒜ Human모델
⒝ Archimedes모델
⒞ Virtual patient모델
다. 인체모형을 이용한 국내 융합연구사례
3) 헬스케어 혁명을 선도하는 스마트 센서
(1) 헬스케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 센서 기술
(2) 활용 분야
가. 질병의 예방
나. 질병의 진단
다. 모니터링
(3) 상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가. 자가 조절과 작동이 가능한 수준으로 진화 예상
나. 상용화를 위한 선결 과제
(4) 바이오센서에 기반한 U-헬스케어 미래
2. 헬스케어 바이오센서 기술개발연구 동향 및 사례
1)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1) 광학적 감지 기술
(2) 전기적 감지 기술
2) 국내외 특허 동향
(1) 국내 특허 현황
(2) 국외 지식재산권 현황
3) 헬스케어 바이오센서 활용 가능한 연구성과 및 사례
(1) 질병 조기 진단하는 스마트한 바이오칩/센서
가. 수용체 단백질 기반 인공 후각/미각 센서
나. 생체-비생체 융합 기반 3차원 바이오센서
다. 압타머-질량분석 기술융합통한 민감도 향상된 질병 진단 칩 시스템
라. 3차원 나노구조체 기반의 광전기화학 세포 칩
(2) 피부에 붙이는 센서 BioStamp, 헬스케어와 인증에 응용
(3) 펩타이드기반의 질병진단용 고감도 프로브 개발 및 바이오센서 적용기술
가. 펩타이드: 분자진단용 프로브
나. Phage display기술을 이용한 신규 펩타이드 발굴
다. In Vitro selection방법을 이용한 암진단용 펩타이드 발굴
라. Cultured cell/in situ selection방법을 이용한 암진단용 펩타이드 발굴
마. In vivo selection방법을 이용한 암진단용 펩타이드 발굴
바. Phage display기술을 이용한 급성심근경색 바이오마커 단백질 트로포닌에
특이적 결합능을 가지는 펩타이드 발굴
책제원정보
ISBN 9791158620257
판형정보 854쪽 / 210 X 297 mm
출판사 지식산업정보원
출판일 2016-06-27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IoT기반 스마트/바이오센서 R&D현황 및 주요 산업분야별 응용기술 실태분석
    315,000원

총 주문금액

31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