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Q(인터넷윤리자격)는 국민의 건전한 인터넷 문화 확립을 위해 한국생산성본부(KPC)에서 시행하는 자격시험으로 인터넷 문화 및 인터넷 역기능 대응 방안, 인터넷 윤리와 정보보호 등에 대한 내용을 CBT방식으로 시행한다. 유소년층을 대상으로 한 3급(Basic), 청소년층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2급(Advanced), 청년층과 사회인을 대상으로 한 1급(Expert)으로 나눠어져 있으며 2013년에 지도사등급이 국가공인을 취득하여 국내 최초의 국가공인 윤리자격이 되었다.
IEQ 인터넷윤리자격 시험에는 응시자격 제한이 없어 학력, 경력, 전공에 관계없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하다. '지도사' 등급은 1차 이론이 4과목이며 40분간 시행되고 2차 실무는 총 4개 과목으로 28문항(선택형, 서답형)으로 총 40분간 실시된다. '2급'의 1차 이론은 3과목으로 20문항을 30분간 응시하게 되며 2차 실기도 3과목으로 20문항(선택형)을 30분간 실시하며, '3급'은 1차 이론이 2과목이며 15문항을 20분간 응시하고, 2차 실무는 1개 과목으로 10문항(선택형)을 20분간 응시하게 된다. 합격기준에도 차이가 있다. '지도사'등급은 이론·실무 평균이 70점 이상 되어야 하며 각 과목은 5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 50점 미만이 되는 경우 과락으로 불합격 처리가 된다. '2급'은 이론·실무 평균이 60점 이상 되어야 하고 과락의 기준은 40점이며, '3급'은 이론실무를 하나의 시험으로 통합하여 평균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