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우리 한시 삼백수 7언절구 편

우리 한시 삼백수 7언절구 편

  • 정민 (평역)
  • |
  • 김영사
  • |
  • 2013-12-29 출간
  • |
  • 660페이지
  • |
  • ISBN 978893496624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

가야산 ㆍ 최치원
달빛과 산빛 ㆍ 최항
성난 물결 ㆍ 박인량
소를 타고 ㆍ 곽여
강남 꿈 ㆍ 정지상
대동강 ㆍ 정지상
늦가을 ㆍ 김부식
산수벽 ㆍ 김부의
눈물만 ㆍ 한교여
비단 글자 ㆍ 고조기
곱던 얼굴 ㆍ 정습명
산새 ㆍ 김약수
꾀꼬리 소리 ㆍ 임춘
어부 ㆍ 김극기
시골 아낙 ㆍ 김극기
비 맞고 ㆍ 김극기
군밤 ㆍ 이인로
물고기 ㆍ 이규보
여름날 ㆍ 이규보
부끄러움 ㆍ 이규보
봄비 ㆍ 진화
늦봄 ㆍ 진화
은세계 ㆍ 혜심
소식 ㆍ 혜심
자적 ㆍ 혜심
서리달 ㆍ 장일
배꽃 ㆍ 김구
나무 그늘 ㆍ 백문절
산 소식 ㆍ 충지
연꽃 구경 ㆍ 곽예
산속 집 ㆍ 이진
구요당 ㆍ 이제현
눈 온 아침 ㆍ 이제현
작은 집 ㆍ 백이정
백화헌에서 ㆍ 이조년
나는 가겠다 ㆍ 이성
고목 ㆍ 이담지
세월 ㆍ 김득배
눈 오는 밤 ㆍ 최해
솟을대문 ㆍ 이곡
시내와 구름 ㆍ 경한
이별 ㆍ 정포
기다림 ㆍ 최사립
풍파 ㆍ 이집
스님께 ㆍ 김제안
산집에서 ㆍ 혜근
세 칸 집 ㆍ 혜근
여강 ㆍ 이색
동지 팥죽 ㆍ 이색
보슬비 ㆍ 이색
봄바람 ㆍ 조운흘
시 짓는 일 ㆍ 정몽주
들풀 ㆍ 김구용
그림 속 ㆍ 정도전
어린 아들 ㆍ 이첨
성남에서 ㆍ 권근
시냇가 띠집 ㆍ 길재
죽장사 ㆍ 정이오
삼월 ㆍ 정이오
문 닫고 ㆍ 박의중
이역(異域)에서 ㆍ 정총
경포대 ㆍ 황희
가을날 ㆍ 권우
넘실넘실 ㆍ 강회백
만권서 ㆍ 유방선
봄날 ㆍ 서거정
매화 ㆍ 성임
앓고 난 뒤 ㆍ 강희맹
석양 무렵 ㆍ 성간
봄옷 ㆍ 성간
강가에서 ㆍ 김종직
가마우지 ㆍ 김종직
풍경 ㆍ 김시습
날마다 ㆍ 홍귀달
채찍 ㆍ 유호인
맥추 ㆍ 정여창
안개 물결 ㆍ 김굉필
늦가을 ㆍ 안응세
꽃비 ㆍ 신종호
잠 깨어 ㆍ 최숙생
메밀꽃 ㆍ 김천령
새벽 ㆍ 김천령
강가 정자 ㆍ 성몽정
나비 떼 ㆍ 한경기
여름 ㆍ 박상
배움 ㆍ 심의
처세법 ㆍ 심의
접시꽃 ㆍ 김안국
두견이 ㆍ 이행
꽃길 ㆍ 이행
산사에서 ㆍ 신광한
주막 ㆍ 신광한
멧비둘기 ㆍ 신광한
갈대밭 ㆍ 신광한
강 길 ㆍ 신광한
길가의 소나무 ㆍ 김정
봄꿈 ㆍ 김정
쏙독새 ㆍ 서경덕
시냇물 소리 ㆍ 서경덕
사물 ㆍ 서경덕
이화정에서 ㆍ 신잠
자적 ㆍ 이언적
청산 ㆍ 이언적
변화 ㆍ 성수침
빈 강 ㆍ 성효원
낙화암 ㆍ 홍춘경
단절 ㆍ 성운
빈손 ㆍ 조식
목욕 ㆍ 조식
시새움 ㆍ 김인후
농사일 ㆍ 윤현
인생 ㆍ 윤현
기다림 ㆍ 노수신
칠석 ㆍ 권벽
향로봉에서 ㆍ 휴정
적막 ㆍ 참료
앵두 ㆍ 백광홍
지팡이 소리 ㆍ 박순
새 달력 ㆍ 강극성
접시꽃 ㆍ 황정욱
흰 구름 ㆍ 황정욱
물안개 속 ㆍ 고경명
달 보며 ㆍ 송익필
산길 ㆍ 송익필
솔 ㆍ 정인홍
신기루 ㆍ 이이
다락에서 ㆍ 하응림
봄바라기 ㆍ 백광훈
용호에서 ㆍ 백광훈
기다림 ㆍ 백광훈
포구 풍경 ㆍ 이산해
꽃 꺾어 ㆍ 이달
보릿고개 ㆍ 이달
제사 ㆍ 이달
장미 ㆍ 최경창
수유꽃 ㆍ 최경창
매화 구경 ㆍ 최경창
님에게 ㆍ 최경창
전송 ㆍ 이순인
깨달음 ㆍ 유정
해당화 ㆍ 유희경
애도 ㆍ 심희수
추운 봄 ㆍ 홍적
버들 실 ㆍ 임제
작별 ㆍ 정지승
봄잠 ㆍ 이옥봉
옛 절 ㆍ 허봉
난리 후 ㆍ 이호민
가을 생각 ㆍ 차천로
흥취 ㆍ 차천로
한 해를 보내며 ㆍ 손필대
허공에 쓴 글자 ㆍ 유몽인
독촉 ㆍ 유몽인
새만 홀로 ㆍ 김상용
도중에 ㆍ 이수광
부끄러워 ㆍ 허난설헌
어떤 방문 ㆍ 이정구
유거(幽居) ㆍ 이정구
단풍 숲 ㆍ 유숙
상심 ㆍ 신흠
비 갠 아침 ㆍ 신흠
큰 눈 ㆍ 신흠
노숙 ㆍ 이경전
비바람 ㆍ 이경전
연잎 고깔 ㆍ 강항
채마밭 ㆍ 강항
한식 풍경 ㆍ 조위한
병아리 ㆍ 양경우
화담 선생 ㆍ 양경우
한식 ㆍ 권필
솔바람 ㆍ 권필
슬픔 ㆍ 권필
장미 ㆍ 허균
귀뚜라미 ㆍ 정온
가을 비 ㆍ 정온
그리움 ㆍ 청학
간서(看書) ㆍ 이민성
사미인곡 ㆍ 이안눌
편지를 부치며 ㆍ 이안눌
담쟁이덩굴 ㆍ 김류
난리 후 ㆍ 김광현
물새 ㆍ 이현
강남 땅 ㆍ 이경여
너스레 ㆍ 장유
허풍 ㆍ 장유
미친 노래 ㆍ 윤선도
환향 ㆍ 신익성
시비 ㆍ 허후
석별 ㆍ 이명한
기다림 ㆍ 송희갑
낙화 ㆍ 임유후
아내를 묻으며 ㆍ 이계
나귀 등 ㆍ 김득신
시벽(詩癖) ㆍ 김득신
올빼미 ㆍ 김득신
물결 꽃 ㆍ 홍우원
샘물 소리 ㆍ 홍우원
꿈에 ㆍ 송준길
백발 ㆍ 송시열
공부 ㆍ 이유태
까마귀 ㆍ 이유태
석양 무렵 ㆍ 정린경
산새 ㆍ 홍주세
남녘의 봄 ㆍ 이건
귀뚜라미 ㆍ 이건
가슴속 ㆍ 허장
산길 ㆍ 김시진
달빛 ㆍ 정수
세월 ㆍ 백암
봄바람 ㆍ 조성기
강 길 ㆍ 김창협
이장 ㆍ 김창흡
속리

도서소개

시와 멀어진 세상에 던지는 짙고 아름다운 단장의 미학! 정민 교수가 던지는 일곱 자의 깊은 울림 『우리 한시 삼백수: 7언절구편』.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한시 미학 산책》, 사계절에 담긴 한시의 시정을 정리한 《꽃들의 웃음판》, 한시 속 신선세계의 환상을 분석한 《초월의 상상》등의 한시 관련 저서를 펴낸바 있는 정민 교수가 시와 멀어진 세상에 깊은 고전의 감성과 정수가 배어든 우리 한시 삼백수를 소개한다. 최치원의 ‘가야산’, 이조년의 ‘백화헌에서’, 송시열의 ‘백발’, 김옥균의 ‘양계’, 한용운의 ‘종소리’ 등 삼국부터 근대까지 우리 7언절구 백미 삼백수를 가리고, 오늘날 독자들의 감성에 닿을 수 있게 순수한 감성 비평으로 적절히 풀이하였다. 사랑과 인간을 비롯하여 존재와 자연, 달관과 탄식, 풍자와 해학 등 일곱 마디의 좁은 행간 안에 녹아 있는 우리네 인생사를 오롯이 펼쳐낸다.
“단 일곱 자에 마음밭 물꼬가 터진다!”
시와 멀어진 세상에 정민 교수가 던지는 일곱 자의 깊은 울림!
시와 멀어진 세상에 정민 교수가 던지는 단 일곱 자의 깊은 울림! 오래된 장처럼 깊은 고전의 감성과 정수가 배어든 우리 한시 삼백수! 삼국부터 근대까지 우리 7언절구 백미를 가려 뽑고 그 아마득하고 빛나는 아름다움을 망라하면서 오늘날 독자들의 정서에 닿을 수 있게 풀이했다. 사랑과 인간, 존재와 자연, 달관과 탄식, 풍자와 해학, 일곱 마디의 좁은 행간 안에 웅장한 성채가 솟았다. 이토록 마음이 아리고 통쾌해본 적이 언제였는가? 고목에 물기 오르듯 메마른 마음밭에 물꼬가 터진다!

출판사 소개

“단 일곱 자에 마음밭 물꼬가 터진다!”
시와 멀어진 세상에 정민 교수가 던지는 일곱 자의 깊은 울림!

시의 시대가 있었다. 김수영과 고은, 이성복과 김남주, 곽재구와 기형도… 대학 문 앞 서점에 꽂힌 신간 시집의 표지만 보아도 가슴이 두근대던 시절. 지금은 아무도 지하철에서 빛바랜 종이의 시집을 펼치지 않는다. 이 책은 비수처럼 예리한 감성을 지닌 인문학자가 시와 멀어진 시대, 인간다움을 점점 잃어가는 세상에 던지는 일곱 자의 웅숭깊은 울림이다. 그 인문학자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지식 경영에서 한국학 속의 그림까지 고전과 관련된 전방위 분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정민 교수다. 한시는 간결한 언어의 가락 속에 깊은 지혜와 감성을 숨긴 고전 인문학의 정수다. 삼국부터 근대까지 우리 7언절구 삼백수를 가려 뽑고 그 빛나는 아름다움을 망라했다. 원문에는 독음을 달아 독자들이 찾아보기 쉽게 했으며 우리말로 번역한 시는 3ㆍ4조의 리듬을 타고 읽히도록 했다. 원시元詩를 방불할 만큼 아름다운 평설은 순수한 감성 비평으로 국한했고 구조와 형식 미학에 대한 비평, 고사에 대한 서술은 할애割愛했다. 부록에서 시인의 생애에 대해 간략히 서술했다. 삼백수는 《시경詩經》 삼백 편의 남은 뜻을 따르려 함이다. 시삼백은 동양 문화권에서 최고의 앤솔러지란 뜻과 같다. 최고의 걸작만 망라했다는 의미다. 날마다 한 수씩 읽어나가도 휴일을 빼고 나면 근 한 해 살림에 가깝다.

‘우리 한시 삼백수’에는 사랑과 인간, 존재와 자연, 달관과 탄식, 풍자와 해학에 이르기까지 사람이 품을 수 있는 모든 감성과 생각들이 녹아 있다. 그중 정포鄭?의 <이별>(96쪽)은 날것처럼 선득한 슬픔을 고즈넉한 풍경에 빗대어 살며시 드러낸 명편이다.

새벽녘 등 그림자 젖은 화장 비추고
이별을 말하려니 애가 먼저 끊누나.
반 뜰 지는 달에 문 밀고 나서자니
살구꽃 성근 그늘 옷깃 위로 가득해라.

五更燈影照殘粧 欲語別離先斷腸
오경등영조잔장 욕어별리선단장
落月半庭推戶出 杏花疎影滿衣裳
낙월반정추호출 행화소영만의상

창밖이 아슴아슴 밝아온다. 이별의 시간이 왔다. 헤어짐이 안타까운 두 사람은 밤새 잡은 손을 놓지 못했다. 퉁퉁 부은 눈, 화장은 지워져 부스스하다. 그녀는 자꾸 울기만 한다. 이제 헤어지면 다시는 못 만날 것을 둘 다 잘 안다. 이제 가야겠노라고 말하면서 내 애가 마디마디 끊어진다. 달빛도 다 기울어 이젠 마당의 반도 비추지 못한다. 지게문을 밀고 나선다. 차마 뒤돌아볼 수가 없다. 살구꽃 성근 그림자가 내 옷 위에 가득 어리는 것을 본다. 사랑하는 사람아! 아, 끝내 돌아보지 못한다.

한편 삼백수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한용운韓龍雲의 <종소리>(612쪽)에서는 서릿발처럼 쩌렁쩌렁한 시대의식을 만날 수 있다.

사방 산 감옥 에워 눈은 바다 같은데
찬 이불 쇠와 같고 꿈길은 재와 같네.
철창조차 가두지 못하는 것 있나니
밤중의 종소리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

四山圍獄雪如海 衾寒如鐵夢如灰
사산위옥설여해 금한여철몽여회
鐵窓猶有鎖不得 夜聞鐘聲何處來
철창유유쇄불득 야문종성하처래

철창으로 내다보면 온통 푸른 산에 포위당해 그 너머 바깥세상은 보이지 않는다. 산속에 눈이 펑펑 쏟아지자, 창밖은 어느새 광풍 노도에 일렁이는 바다가 된다. 얼음장보다 더 찬 홑이불 속에서 벌벌 떨다 보니, 아련하던 꿈길은 재처럼 싸늘히 식어 이빨만 덜덜 떨린다. 밖으로 나갈 수 없는 육신을 비웃기라도 하듯, 깊은 밤 종소리가 철창을 넘어들어온다. 어디서 온 종소리냐? 누가 보낸 종소리냐? 육신이야 비록 갇혀 영어囹圄의 신세라 해도, 깨어있는 내 자유로운 정신의 푯대만은 아무도 꺾을 수가 없다.

탄식과 달관의 두 경계를 보여주는 시로는 성운成運의 <단절>(226쪽)과 신광한申光漢의 <강 길>(202쪽)을 꼽을 수 있다. 이상하게도 두 시가 보여주는 경계는 서로 다른 듯 닮아 있다.


여름 해 그늘 져서 대낮에도 어두운데
물소리 새소리로 고요 속에 시끄럽다.
길 끊어져 아무도 안 올 줄을 알면서도
산 구름에 부탁하여 골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