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간화선 수행

간화선 수행

  •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불학연구소(엮음)
  • |
  • 조계종출판사
  • |
  • 2020-12-08 출간
  • |
  • 324페이지
  • |
  • 155 X 230 mm
  • |
  • ISBN 9791155801505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불교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는
간화선(看話禪) 수행에 대해 여러 방면에서 고찰!
조계학술총서 1권 ≪간화선 수행≫ 출간!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해마다 소정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종단이 필요로 하는 연구를 담당하거나, 종단의 승가교육기관에서 학인스님을 지도하도록 종단의 위촉을 받은 교육소임자이다. 비구의 경우 중덕 법계, 비구니의 경우 정덕 법계를 수지한 승랍 10년 이상의 자격을 갖추거나 박사과정 수료 이상의 학력을 가졌거나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교육과 연구 전문 경력이 2년 이상이어야 한다. 또 사찰승가대학원의 전문과정을 졸업하고 교육과 연구 경력이 3년 이상이거나 사찰승가대학원 연구과정을 졸업해 번역 혹은 연구 성과가 있는 스님들에게 교육아사리 위촉 자격이 주어진다. 연구 분야는 초기불교를 비롯한 대승불교, 선불교, 계율, 한문 불전, 응용 불교, 불교사 등 7개 전문 영역으로, 불교사 중에서는 한국불교사와 율장, 불교윤리 분야 전공자를 우선하여 선발한다.

조계학술총서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 주관으로 교육아사리 스님들의 주제별 연구 논문을 정리해 책으로 출간한다. 교육아사리 스님들의 연구 증진과 더 나아가 선(禪)사상의 대중화, 교학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조계학술총서 01
간화선 수행

기나긴 불교사(佛敎史) 흐름 속에서 부처님의 수행법, 특히 선(禪) 수행이 면면히 이어진 것은 기적과도 같은 일이다. 선은 체계적인 이론으로 가르치고 이해를 구하는 수행이 아니기 때문이다. 언어나 글을 통하지 아니하고 마음에서 마음으로 가르침을 전한 염화시중(拈華示衆)의 미소, 그것이 바로 부처님께서 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한 선 수행의 시작일 것이다.
한반도에 선(禪) 수행이 전해진 시기는 통일신라 시대였던 840년으로, 당나라에서 귀국한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도의국사(道義國師)를 종조(宗祖)로 모시고 가지산문(迦智山門)을 개산(開山)한다. 대한불교조계종은 가지산 선문의 초조인 도의국사를 종조로 모시고 있다.
조계학술총서 1권《간화선 수행》은 우리나라 수행법을 고찰한 서적이다. 우리나라 선은 이론적으로는 조사선이지만, 방법상으로 간화선이다. 한국은 세계 유일의 간화선 종주국으로서, 한국선의 정립을 시도한 책이다. 이 책은 조사선~간화선 사상과 수행법에 대해 여러 방면에서 고찰하고, 앞으로 미래 한국불교 선에 방향을 제시한다.

[ 지은이 ]

명준明俊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1996년에 청암사에서 지형 스님을 은사로 출가 득도. 청암사승가대학 졸업후 도감 역임. 제방선원에서 8안거 성만. 동국대학교에서 선학, 한문학, 영어영문학 전공으로 학사학위 취득. 중국어문학, 불교한문번역학 전공으로 각각 석사과정 수료, 선사상 전공으로 석사학위 취득. 선사상 전공으로 박사과정 중이며, 불교한문번역학 전공으로 박사학위 취득(2021.2 예정). 중국, 미국, 인도의 대학교에서 교환학생과 어학연수로 유학 후 수행과 탐방체험을 하였고, 중국, 태국, 대만 등지에서 학술문화 탐방을 하였다. 〈禪宗言語 ‘是甚?’와 ‘이뭣고’ 화두의 관계 정립에 대한 고찰〉(제1회 수불학술상 우수상 수상, 제5회 간화선국제학술대회에서 수상논문 발표), 〈《碧巖錄》 ‘是甚?’의 用處에 관한 一考〉, 〈중국 成語사전의 ‘百尺竿頭’ 용례와 의미 考察〉, 〈《碧巖錄》 飜譯을 통한 禪宗言語 ‘是甚?’에 대한 硏究〉(석사), 〈백파 긍선《禪要記》 연구와 역주〉(박사)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2004년부터 현재까지 매일 千佛禮懺 중이다.

혜명慧命 | 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부 조교수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불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동 대학원 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계종 불학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조계종 교육아사리, 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형운亨雲 | 동국대학교 외래교수
삼선승가대학과 동국대학교 선학과 졸업, 동국대학교에서 문학석사 및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소임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달마 이전의 중국선》(정우서적, 2014)이 있으며, 논문은 〈《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고역(古譯) 경전에 나타난 ‘참회’ 용어의 번역과 정착 과정〉, 〈고역(古譯) 및 구역(舊譯) 불경에 나타난 ‘오(悟)’의 연원 규명〉, 〈대혜종고의 전후제단에 관한 一考〉 등 다수가 있다.

영석映昔 | 동국대학교(경주) 겸임교수
운문사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했다. 동국대학교에서 〈진각국사 혜심의 《禪門拈頌》〉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전 보문고 교법사와 포교원 포교연구실 사무국장, 동국대 불교학술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또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 겸임교수 및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연구 논문으로는 〈《화엄경현담중현기》와 《분양송고》에 관한 고찰〉, 〈《설두송고》에 관한 고찰〉, 〈간화선의 수용과 그 특징에 관한 고찰〉, 〈19세기 수선결사의 계승-소림통방정안과 설두봉기의 선교결사〉 등이 있다.

자현玆玄 |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동국대와 성균관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후,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율장)와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건축) 그리고 고려대학교 철학과(선불교)와 동국대학교 역사교육학과(한국 고대사) 및 국어교육학과(불교 교육)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술학과의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동국대학교 강의전담교수와 능인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부에서 교수와 불교학연구원장으로 재직 중이며, 월정사 교무국장과 조계종 교육아사리 그리고 《불교신문》 논설위원과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및 상하이 푸단대학교 객원교수 등을 맡고 있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160여 편의 논문을 수록했으며, 40여 권의 저서를 발간했다. 저서 가운데 《불교미술사상사론》은 2012년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사찰의 상징세계(상·하)》는 2012년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붓다순례》(2014)와 《스님의 비밀》(2016), 《불화의 비밀》(2017), 《스님, 기도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2019)는 각각 세종도서에 선정되었다. 또 《백곡 처능, 조선불교 철폐에 맞서다》는 2019년 불교출판문화상 붓다북학술상을 수상했으며, 제7회 영축문화대상을 수상했다.

철우哲祐 | 동국대학교(경주) 정각원장
동학사에서 운달 스님을 은사로 출가, 자운 스님을 계사로 비구니계를 수지하였다. 동학사 승가대학 및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불학연구소 사무국장,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신도종책위원회 위원, 충남경찰서 경승, 사단법인 동련회 어린이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2012년에 대한불교조계종 포교대상 원력상을 수상했다. BTN 불교TV에서 《육조단경》을 강의하기도 했다. 현재, 동국대학교(경주) 제15대 정각원장, 대한불교조계종 제17대 종회의원, 대한불교조계종 전국비구니회 경부 1지회장, 포항 임허사 주지 등의 소임을 맡고 있다.

원법圓法 | 운문사 승가대학 교수
운문사 승가대학 및 운문사 보현 율원 졸업, 성균관 대학교 및 동국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조선조 18세기 선시 연구〉로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운문사 승가대학 교수 및 대한불교조계종 한문불전분야 교육아사리 소임을 맡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함월해원의 사상과 이종선에 대한 고구〉, 〈청매인오의 선시연구〉, 〈사명 유정의 선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정도正道 | 동국대학교 불교학부 교수
통도사에서 도승 스님을 은사로 출가, 동국대학교에서 경봉선사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조계사 포교국장, 통도사 교무국장, 통도사승가대학 교수, 통도사 포교국장, 통도사 양산전법회관 정각사 주지 등을 역임했다. 또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교육부장, 불학연구소장, 동국대학교(경주) 파라미타칼리지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동국대학교(서울) 교수 및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장, 한국선학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백운경한의 선사상〉, 〈영명연수와 보조지눌의 유심정토와 타방정토〉 등 1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목차


발간사 | 간화선 수행을 논하다

01. 조사선(祖師禪)과 간화선(看話禪)의 수행체계 비교 | 정운
02. ‘염불시수(念佛是誰)’의 간화두 요지와 ‘이뭣고’ 화두의 비교 | 명준
03. 간화선(看話禪)과 천태지관(天台止觀)-선병(禪病)을 중심으로 | 혜명
04. 간화선의 회광반조에 관한 일고(一考) | 형운
05. 고려 시대 간화선의 수용과 그 특징에 관한 고찰 | 영석
06. 혜심의 〈구자무불성화간병론(狗子無佛性話揀病論)〉찬술 배경과 내용 분석 | 자현
07. 청허휴정(淸虛休靜)의 선사상과 임제종의 관계 | 철우
08. 편양언기(鞭羊彦機)의 선시(禪詩) 연구 | 원법
09. 지눌과 경봉의 ‘간화(看話)’에 대한 이해 | 정도

참고문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