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내 안의 역사

내 안의 역사

  • 전우용
  • |
  • 푸른역사
  • |
  • 2019-01-19 출간
  • |
  • 436페이지
  • |
  • 152 X 224 X 30 mm /639g
  • |
  • ISBN 9791156121282
판매가

19,500원

즉시할인가

17,5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5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시간을 이기는 것은 없다. 세월이 흐르면 망가지고, 변하는 것이 비단 물질만이 아니다. 시대에 따라 옳고 그름은 물론 미추美醜와 미덕의 기준마저 바뀌기도 한다. 이를테면 우리 몸을 보는 시선도 지금이야 날씬함과 구릿빛 피부를 이상형으로 치지만 뚱뚱한 몸, 햇볕에 그을지 않은 허여멀건 피부가 귀족의 표상인 적도 있었다.
한때 우리가 미덕으로 꼽았던 ‘현모양처론’이나 박력?추진력은 일제가 필요해 의해 주입한 것이었다. 현모양처론은 중세 유교의 덕목이 아니라 메이지 시대 일본에서 창안된 천황제 국민국가의 여성관이다. 남성이 나라에만 충성할 수 있도록 뒤에서 가정을 맡아 꾸리며 자식을 충성스런 신민으로 키우는 것을 여성의 미덕으로 내세운 것이 ‘현모양처론’의 실체다(77쪽).
세월호 사고에서도 드러났듯 1970년대까지 모범생의 조건이었던 온순?착실과 이에 대비되는 박력?추진력도 일제가 남긴 의식 조작의 흔적이다. 남이 시키는 대로 순순히 따르는 게 온순, 천하의 대세나 인간의 도리 같은 ‘허황한’ 생각은 하지 않고 실용과 실리에만 집착하는 게 착실이기 때문이다. 또 일본이 군국주의로 치닫던 1930년대 초반 명령에 따라 물불 안 가리고 진격해야 하는 졸병에게나 어울리는 박력迫力?추진력이 남성적 가치로 자리 잡은 것도 마찬가지다(362쪽).

우리 안에 새겨진 어제
우리 곁의 모든 것에는 뿌리가 있고, 우리가 겪는 모든 현상에는 까닭이 있기 마련이다. 어제가 없는 오늘이 없기 때문이다. 오늘날 많은 한국 남성들의 통과의계처럼 되어버린 ‘포경수술’이 한국전쟁 당시 성병 예방과 미 군의관의 수련 필요성이 겹쳐 대거 시술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은 아는지.
1968년 세종대왕과 충무공 동상이 동시에 완성되었을 때, 멸사봉공과 위국충정의 정신으로 무장한 군인이 나라의 중심에 서 있어야 한다는 당시 집권자의 지론에 따라 뜬금없이 세종로에 충무공 동상이 들어섰다. 세종대왕상은 덕수궁 한 구석으로 밀려나고(327쪽). 이는 훗날 지금의 자리에 들어섰지만 서울교육대학교 앞길에 사임당 당호가 새겨진 이유, 포은 정몽주 동상이 양화대교 북단에 세워진 까닭은 그저 춤추는 ‘공간정치’로 치부하기엔 아리송하다(331쪽).
종로에 최신 서양식 건축물과 전통 양식의 건조물들이 들어서는 등 제왕남면의 전통적 도성 조영 원칙에서 이탈하여 종로와 신문로를 잇는 동서축으로 서울이 근대적 도시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것이 1902년 고종의 즉위 40주년과 망육순을 기념하는 칭경예식 준비가 계기였다는 사실은 얼마나 알려졌을까(275쪽).

달라진 시대, 낯선 풍경
시대에 따라 풍속도 바뀐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보는 청춘남녀의 데이트, 부부가 대형 마트에서 나란히 쇼핑 카트를 끄는 모습도 그리 오래된 것이 아니다.
근대 이전의 사랑은 결혼의 전제도 아니었고, 결혼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필수 구성요소도 아니었다. 조선시대는 물론 개화기에조차도 기생들이나 사랑을 표현하고 순간이나마 실현할 수 있었다. 1913년 5월 13일, 《매일신보》에 소설 〈장한몽〉이 연재되기 시작하면서 이수일과 심순애의 비극적 행로를 그린 이 소설은 장안의 선풍적 인기를 모았지만 두 주인공에게 감정을 이입할 수 있는 미혼 남녀는 거의 없었다. 주인공의 감정을 이해할 나이가 된 사람들은 대개 기혼자들이었다. 그러나 이윽고 ‘사랑 없는 결혼은 비극’이요 ‘결혼은 연애의 완성’이라는 메시지를 담은 소설, 연극, 영화, 대중가요들이 쏟아져 나왔고 혼인 연령도 차츰 높아졌다(69쪽).
여성들의 장보기 또한 낯설었다. 내외 구별이 엄격하던 시대, 집 바깥에 있던 장은 ‘남성들의 공간’이었다. 여성들이 모르는 남정네들과 말을 섞는 것은 남 입에 오르내릴 만큼 수치스러운 일이었다. 개항 이후 전차, 기차, 극장 등의 등장으로 ‘남녀칠세부동석’을 지키기 어렵게 되면서, 1905년 이준 열사의 소실이 안국동에 연 ‘여인상점’과 1920년 종로에 문을 연 여성전용 상점 ‘동아부인상회’ 등을 거쳐 한국전쟁 이후엔 시장은 아예 ‘여성들만의 공간’으로 바뀌었다. 시장에서 생선이나 콩나물을 팔아 자식 대학 보낸 여성들에 관한 신화가 널리 유포되는 사이에, 시장에서 물건 값 흥정하는 것은 남자 체면을 구기는 일이라는 생각도 함께 퍼졌다(103쪽).

스러져가는 것들을 돌아보다
눈에 덜 띈다고 해서 그저 잊힐 수는 없다. 그래서도 안 된다. 그것 역시 우리 삶의 일부였고, 우리 역사의 흔적이기 때문이다. 연탄이나 식모가 대표적인데 이 또한 묻어두기만 할 수 없는 이야기가 있다.
인천상륙작전 일주일 뒤인 1950년 9월 22일, 부산에서 농림부 장관 윤영선은 난데없이 산림녹화를 위해 향후 신탄薪炭 채벌을 엄금하며, 그 대신 연탄을 공급할 터이니 집집마다 아궁이를 개량하라는 겨울철 연료대책을 발효했다. 인명조차 돌보기 어렵던 전시에, 뜬금없이 나무를 보호하자는 얘기가 나온 데에는 미군의 조언이 작용했던 듯하다. 낙동강 방어선 전투를 치르면서, 미군은 한국의 야산에 나무가 없어 엄폐물이 없는 탓에 병사들의 공포감은 극에 달했고, 미군 3명 중 1명꼴로 정신과적 문제를 겪었다는 것이다. 이 직후 연탄 화로를 넣었다 뺐다 하며 취사와 난방을 겸할 수 있도록 아궁이를 ‘개량’하는 사업이 전쟁 중에 시작되어 휴전 후까지 계속됐다(136쪽).
지금은 잊힌 이름 ‘식모’에 얽힌 역사도 애틋하다. 1970년대에는 공장 노동자, 버스 안내원과 식모를 묶어 ‘삼순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각각을 구분해 부르는 이름은 공순이, 차순이, 식순이였다. 식모에게는 유년노동 금지도 최저임금도 해당되지 않았다. 먹이고 입히고 일 가르치고 부리다가 때맞춰 시집보내는 사람은 맘씨 좋은 주인이었다(206쪽). 1980년대 초, 5공 정부가 ‘귀천貴賤 의식’을 지운다는 취지로 직업 이름을 개조할 때, 식모는 ‘가사보조원’이라는 새 이름을 얻었다가 86아시안게임을 앞두고 ‘도우미’라는 이름이 생긴 뒤에는 다시 ‘가사도우미’가 됐다. 그러나 이런 공식적 명칭 보다는 ‘파출부’라는 비공식 명칭이 훨씬 더 널리 쓰였다(207쪽).

전우용이 차린 ‘보통사람들을 위한 보통사람의 역사’를 살피다 보면 의외로 흥미로운 이야기와 생생한 생각거리를 풍성하게 만날 수 있다. 글은 모두 52꼭지지만 주 소재 이외에도 ‘소매치기’나 ‘하마평’의 기원, 경성대(현재의 서울대) 입학시험에 한국어 과목을 넣자 교수들이 들고 일어난 일 등 이야깃거리가 넘쳐나는 덕분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저 재미로만 읽기엔 아깝다. “현재의 자기 삶이 어떤 역사적 계기들에 의해 구성되었는지 알아야. 더 나은 미래의 삶을 위해 어떤 계기들을 만들어야 하는지 알 수 있다”는 지은이의 생각에 공감이 가기 때문이다.

[책속으로 이어서]
한국 땅에서 동상이 될 뻔했던 두 번째 인물은 이토 히로부미였다. …… 이토 히로부미가 하얼빈에서 안중근 의사에게 척살 당하자, 일본에 빌붙어 일신의 영달을 꾀하려는 한국인들이 앞 다투어 추모와 사죄의 뜻을 밝혔다. …… 안중근 의거 10일 후, 장석주, 민경호, 민영우, 이민영 등 20여 명이 동아찬영회東亞贊英會라는 단체를 조직했다. …… 이들은 북부 순화방(현재의 통인동 일대)에 이토 동상과 송덕비, 비각碑閣을 세우되, 동상은 일본에 주문하여 제작하기로 계획했다. 이들이 계획한 비각의 규모는 80여 칸, 현재 광화문 교보빌딩 앞에 있는 ‘황제어극40년 망육순 칭경기념비전’보다 훨씬 컸다. 건립비는 전국 13도에서 집집마다 10전씩을 거둬 충당하기로 했다(321쪽).

1934년 말, 남대문로에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 교통신호기가 등장했다. 이듬해 봄에는 종로와 을지로에도 설치됐다. 교통 순사나 이 물건이나 일본산인 건 매일반이었으나, 이 물건에게 달려가 “네까짓 게 뭔데 이리 가라 저리 가라 명령하느냐?”고 대드는 사람은 없었다. 다른 인격체의 지시를 받는 데 굴욕감을 느꼈던 사람들도 기계의 지시를 받는 데에는 별다른 불만을 표시하지 않았다(336쪽).

1946년 6월 17일, 해방 뒤 처음으로 치르게 된 입학시험을 앞두고 경성대학 법문학부 교수회에서 입시 과목 문제로 한바탕 소란이 일었다. 그 전에 열린 교수회에서 국어와 한문 과목을 제외하기로 결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에는 국어 시험이 포함된 것으로 발표되자 교수들이 한 목소리로 학장의 독단적 처사를 성토했다. 국문학자인 조윤제 학장은 자리를 박차고 나가 그 길로 총장에게 사표를 제출했다(351쪽).

18세기 말부터 기방妓房이 소규모 유흥장 구실을 했으나, 문자 그대로 ‘방房’이었다. 수백 명, 또는 1,000명 이상을 수용하는 대규모 요릿집이 생겨 신분 고하를 따지지 않고 돈 있는 사람은 아무나 출입시키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벽두부터의 일이었다. 이런 요릿집의 대표가 명월관明月館이다. 3?1운동 때 민족대표들이 모여 독립을 선언한 태화관은 명월관 인사동 분점이었다(392쪽).

1930년대의 명월관은 장구 소리 가야금 소리보다 서양식 댄스에 더 어울리는 공간이었다. …… 1925년 전조선도시문제연구회를 앞두고 조선인 위원들은 행사의 여흥을 반드시 명월관에서 열어야 한다며 집단행동에 돌입했다. 조선의 도시문제를 토의하는 자리에는 반드시 ‘조선기생’이 있어야 한다는 이유였다. 해방 이후 한국인 정치가와 모리배들은 군정청 장교들을 주로 명월관에서 접대했다. 군정청 장교들도 명월관 기생에게서 ‘한국’을 발견했을 것이다(411쪽).

대한제국 시기에 처음 한국인 모델을 찍은 포르노 사진이 제작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과 외국에서 제작된 포르노 사진들이 부유층과 신지식층 사이에서 은밀하게 돌아다녔다. 여성의 성性을 표상하던 복숭아에서 ‘귀신 쫓는 힘’이 사라지고 포르노그라피의 이미지만 남은 것도 이 무렵부터였다(419쪽).

1933년 6월, 대전의 모 보통학교에서 교사가 어린 학생을 성폭행한 사건이 일어났는데, 당시 언론은 이 사건을 ‘대전 도색桃色 교원 사건’으로 명명했다. 이 뒤로 음란성과 변태성을 주조主調로 한 인쇄물이나 영상물 앞에 도색, 즉 복숭아 색이라는 단어를 붙이는 관행이 급속히 일반화했다. 도색영화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46년 10월 초 서울의 명월관, 국일관, 청향원, 난정의 네 요정에서 ‘모리배, 기생, 유한마담’을 모아 놓고 미국 포르노 영화를 상영했을 때다(419쪽).


목차


책머리에

1부 개인

1_몸에 대한 시선의 역사
2_유리거울, 외모 지상주의 시대의 서막을 열다
3_한국 남성의 새로운 통과의례, 포경수술
4_기생충 박멸운동의 역사
5_가문에서 개인으로, 이름 석 자에 담긴 역사성과 사회성
6_태초에 도장이 있었다

2부 가족과 의식주

1_낯설어라 사랑, 낯뜨거워라 연애
2_현모양처론, 메이지 시대의 이데올로기
3_서자와 양자의 분쟁사
4_장보기, 남자들의 바깥일에서 여자들의 집안일로
5_가족을 ‘관객’으로 만든 TV
6_‘쌀밥에 고깃국’, 천년의 소원
7_담배 냄새가 ‘향香’이던 시절
8_가짜 양주에서 폭탄주까지
9_목숨과 바꾼 온기, 연탄
10_과거사가 된 ‘셋방살이 설움’
11_375칸짜리 ‘장안 제일가’와 옥인동 아방궁

3부 직업과 경제생활

1_천직? 평생직장? 그 아련한 추억
2_‘정경유착’과 ‘가족 같은 회사’의 민낯
3_위세의 상징, 가마에서 인력거로
4_몸 고생에 마음 고생
5_침모, 식모, 파출부, 가사도우미
6_‘구멍가게’에서 슈퍼마켓으로
7_외식시대를 개척한 음식, 탕수육과 짜장면
8_‘소 보험’에서 ‘암 보험’까지, 시대의 불안감
9_망한 나라의 99칸 대가大家, 여관이 되다

4부 공간과 정치

1_서울을 바꾼 ‘황제어극 40년 망육순 칭경 기념예식’
2_한양도성, 유물이 된 서울사람의 정체성
3_일제가 독립문을 보존한 이유
4_무방비 도시, 서울
5_영생불사의 동상으로 거듭난 위인들
6_교통신호기, 인간을 지휘하는 기계의 출현
7_불신받는 국가의 얼굴, 경찰
8_참언과 예언에 혹하다

5부 가치관과 문화

1_해방 직후 대입시험의 ‘국어 소동’
2_식민지 백성의 덕목, 온순과 착실·박력과 추진력
3_빼앗긴 문화재, 갖다 바친 문화재
4_번역을 포기한 단어, ‘가방’과 ‘구두’
5_한국의 역제, 음?양력의 공존 이유
6_광고와 기사의 ‘동거’가 끼친 영향
7_명월관 기생과 ‘접대문화’
8_외설의 상징, 복숭아
9_‘묵은 빚’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