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한일합방조약 강제 조인 ※박스 / 정한론과 요시다 쇼인
조선총독부 설치와 역대 조선 총독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박스 / 동양척식주식회사
신민회 ‘독립전쟁 전략’ 채택
이회영·이시영 6형제 만주로 망명 ※박스 / 이상룡
황현의 자결과 ‘매천야록’
부채표·활명수 우리나라 최초 상표·상품 등록 ※박스 / 박승직과 두산
파울 에를리히, 매독 치료제 개발 ※박스 / 로베르트 코흐, 루이 파스퇴르
토머스 모건, 유전자가 염색체 안에 있음을 증명 ※박스 / 그레고어 멘델, 찰스 다윈
안토니 가우디 설계 ‘카사 밀라’ 완공
버트런드 러셀 ‘수학 원리’ 출간
멕시코 혁명, 그 험난한 역정
[1911년]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설립
안악 사건과 105인 사건
이범진 주 러시아 공사 자결과 아들 이위종 ※박스 / 최재형
주시경 ‘조선어강습원’ 설립
제1차 조선교육령 공포 ※박스 / 경기고와 초기 고등학교
백용성 스님 ‘대각사’ 창건
중국 신해혁명과 중화민국 수립
로알 아문센 인류 최초로 남극점 탐험 성공 ※박스 / 프리드쇼프 난센
프레더릭 테일러 ‘과학적 관리법’ 출간
바실리 칸딘스키 ‘청기사’ 그룹 결성
[1912년]
손문 중화민국 임시대총통 취임
청조의 몰락과 원세개의 실권 장악
발칸전쟁 개전
비타민 추출과 명명
아르놀트 쇤베르크 ‘달에 홀린 피아노’ 초연
타이태닉호 침몰 ※박스 / SOS·CQD
필트다운인(人) 화석 사기 사건
김은호 ‘어용화사’ 발탁
[1913년]
안창호 흥사단 설립
이상재, 한국인 최초 YMCA 총무로 임명
할리우드 시대 개막과 미국의 초기 영화사 ※박스 / 뤼미에르 형제와 세계 최초 영화
찰리 채플린 할리우드 입성
닐스 보어, 획기적인 원자모형 제안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작곡 ‘봄의 제전’ 초연
존 록펠러 ‘록펠러 재단’ 설립
카를 구스타프 융, 프로이트와 결별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출간
에드문트 후설 ‘순수 현상학… 이념들’ 출간
알베르트 슈바이처 아프리카로 떠나
가브리엘 샤넬 첫 의상실 개점
[1914년]
박용만의 국민군단 창설과 이승만과의 갈등 ※박스 / 이승만과 독립운동가들의 노선 갈등
이상설 ‘대한광복군정부’ 정도령으로 추대
아사카와 다쿠미·노리타카 형제, 조선에 정착
1차대전 발발
파나마운하 개통 ※박스 / 수에즈운하
어니스트 섀클턴의 남극 탐험 사투
마커스 가비, 세계흑인개선협회 결성
[1915년]
박은식 ‘한국통사’ 출간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 미 대륙 횡단 전화 성공 ※박스 / 헬렌 켈러
데이비드 그리피스 감독 ‘국가의 탄생’ 개봉
알프레트 베게너 ‘대륙과 해양의 기원’ 출간 ※박스 / 한반도 기원, 지구 나이
프란츠 카프카 ‘변신’ 출간
카지미르 말레비치 ‘검은 사각형’ 전시
독가스 첫 전쟁터 살포와 프리츠 하버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갈리폴리 전투’ 참사
[1916년]
김두봉 ‘조선말본’ 간행과 ‘말모이’ 사전
김관호의 ‘해질 녘’ 일본 문부성전람회 특선
프랭크 스코필드, 세브란스 의전 교수 부임
일제의 공창 법제화
다다이즘의 등장
마거릿 생어 ‘산아제한클리닉’ 개소
페르디낭 드 소쉬르 ‘일반언어학 강의’ 출판
베르?·솜 전투… 1차대전의 분수령
[1917년]
러시아혁명과 제정 러시아 붕괴 ※박스 / 블라디미르 레닌,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무제한 잠수함 작전, 치머만 전보, 미국의 참전
마르셀 뒤샹, 미술 전시회에 ‘소변기’ 출품
영국의 ‘맥마흔 선언’과 ‘밸푸어 선언’ ※박스 / 토머스 에드워드 로런스
마타 하리 총살형
야사 하이페츠 미국 데뷔
[1918년]
러시아 황제 일가 총살과 아나스타샤 공주 ※박스 / 라스푸틴, 로마노프 왕조의 몰락과 혈우병
러시아혁명 반대 내전과 열강의 무력 간섭 ※박스 / 펠릭스 제르진스키와 KGB
우드로 윌슨 ‘14개조 평화 원칙’ 발표
오스트리아 황제 퇴위와 합스부르크가 몰락
스페인 독감, 전 세계 강타
오스발트 슈펭글러 ‘서구의 몰락’ 출간 ※박스 / 아널드 토인비 ‘역사의 연구’
‘타잔’ 영화 최초 개봉
마쓰시타 고노스케 ‘마쓰시타 전기’ 창업
일본·한국의 쌀값 폭등과 폭동
한인사회당 창당과 이동휘
[1919년]
3·1 운동과 2·8 독립선언
일제의 제암리 학살 만행
유관순의 만세운동과 순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이승만, 상해 임시정부 대통령으로 피선
이동녕 상해 임정 초대 의정원 의장으로 피선
김원봉의 의열단 결성과 의열 투쟁
강우규 의사,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 투척
조지 쇼 ‘이륭양행’에 임시정부 교통국 설치
안재홍 일제하 9차례의 구속 중 첫 구속
김광서 만주로 망명… ‘김일성 신화’의 시작
김동인, 순수문예지 ‘창조’ 창간
조선 최초 영화 ‘의리적 구토’ 상영과 박승필
베르사유 평화조약 체결 ※박스 / 한국 대표
독일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
로자 룩셈부르크 피살 ※박스 / 베른슈타인과 수정자본주의 논쟁
일본의 21개조 요구와 중국의 5·4운동
발터 그로피우스와 바우하우스 개교